본 연구는 경기도 중등학교 부장교사를 대상으로 부장교사가 직무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직무역량을 분석하고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414735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교육행정전공 , 2014. 2
2014
한국어
371.12 판사항(22)
충청북도
ⅷ, 122 p. ;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기도 중등학교 부장교사를 대상으로 부장교사가 직무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직무역량을 분석하고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
본 연구는 경기도 중등학교 부장교사를 대상으로 부장교사가 직무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직무역량을 분석하고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은 무엇인가?
둘째, 부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의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셋째, 배경 변인별 부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의 우선순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문헌분석을 통한 이론적 고찰과 전문가 집단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하여, 잠정적 직무역량을 도출하였고, 집중면접법과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최종 직무역량 도출하였다. 부장교사의 직무역량은 기초역량, 일반역량, 특수역량으로 구분하였고, 전체 역량을 탐색 후 배경 변인별 요구되는 직무역량을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내의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무선표집방식으로 29개 학교에 배부하여 요구분석을 실시하였고, 회수된 요구분석 설문지는 대응표본 t 검정과 Borich 요구도 공식, 그리고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장교사의 직무역량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종합한 결과 총 19개의 역량이 확인되었으며, 도출된 내용을 기반으로 전문가 기반 설문과 집중면접법을 실시하여 기초역량 19개, 일반역량 19개, 특수역량 22개로 총 60개 역량을 도출하였다.
둘째, 전체 역량을 대상으로 요구분석 한 결과 기초역량은 ‘계획성’, ‘포용력’, 일반역량은 ‘사고의 유연성’, ‘팀 구축 능력’, ‘의사소통’, ‘의사표현능력’, 특수역량은 ‘직무관리능력’, ‘직무지도능력’, ‘부서인화력’, ‘정확한 판단’, ‘문제해결능력’, ‘결단력’ 이상 12개 직무역량이 최우선 항목으로 나타났다. 이는 총 60개의 부장교사의 직무역량 중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역량이다. 차순위 직무역량으로는 ‘용기’, ‘자발성’, ‘비전 제시 및 공유’, ‘조직 활성화’, ‘직무수행능력’, ‘법률적 지식’ 등 총 12개 역량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경 변인별 부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살펴보면 먼저 학교급간 부장교사 직무역량을 요구분석 한 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두 집단 간 최우선 항목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9개 역량을 확인하였고, 차순위 항목으로 4개 역량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경력별 부장교사 직무역량을 요구분석 한 결과, 모든 경력 집단에서 최우선 항목으로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역량은 ‘팀 구축 능력’ 하나였고, 차순위 항목에서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역량은 ‘법률적 지식’ 하나였다. 최우선순위 항목에서 공통적이지 않지만 네 집단 중 세 집단이 공통적으로 포함된 역량은 기초역량에서 ‘계획성’ 있었고, 일반역량에서는 ‘의사소통’, ‘의사표현능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특수역량에서는 ‘직무관리능력’, ‘정확한 판단’, ‘문제해결능력’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중등학교 부장교사에게 최우선 순위로 요구되는 12개 역량을 제시하였다. 최우선 역량을 제안함으로써 부장교사에게 역량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며, 역량 향상을 위한 보다 전문적이고 차별화된 부장교사 직무역량 연수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제시된 역량이 부장교사 임명 시 검토 요건으로 활용되어 우수한 부장교사가 단위학교에 확산됨으로서 교육공동체가 추구하는 공동 목표를 달성하는 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