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기본권인 생존권과 직결되는 이동권은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중요한 권리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동권은 국민 전체가 평등하게 누리고 있지 않다. 장애인의 경우, 산재되어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581268
2022
Korean
338
학술저널
353-382(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의 기본권인 생존권과 직결되는 이동권은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중요한 권리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동권은 국민 전체가 평등하게 누리고 있지 않다. 장애인의 경우, 산재되어 있...
인간의 기본권인 생존권과 직결되는 이동권은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중요한 권리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동권은 국민 전체가 평등하게 누리고 있지 않다. 장애인의 경우, 산재되어 있는 다양한 장애물 혹은 관리가 되지 않는 편의시설로 이동 시 많은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장애물이나 편의시설을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더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으면 심각한 사고로 이어지기에 시각장애인들이 도보 중 느끼는 불안감은 가중된다. 이 외에도 다양한 환경적 요소들이 시각장애인의 이동상의 불편함을 야기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도보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집중하여 이동 편의시설, 정부 제도, 기존 민간 차원의 해결책들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시각장애인의 생생한 의견을 접하고자 심층 면접을 통해 도보편의시설에 대한 당사자의 목소리를 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어떻게 도보 환경이 개선되어야 하는지 제언하고,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연대하고 협력하여 함께 살아가는 평등한 사회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ight of mobility,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right to survive, is an important right to lead a human-like life. However, this right of mobility is not given equally to the entire people. This is because people with disabilities face many di...
The right of mobility,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right to survive, is an important right to lead a human-like life. However, this right of mobility is not given equally to the entire people. This is because people with disabilities face many difficulties when moving due to various obstacles or unmanaged facilities scattered. The reality suggests that visually impaired people face more difficulties because it is hard for them to visually recognize obstacles or facilities. In particular, if convenience facilities are not equipped, it can lead to serious accidents, which increases the anxiety that visually impaired people feel while walking. In addition,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cause inconvenience in their movement of them,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iculties arising from the difficult walking environment and closely examines the mobility facilities, government systems, and existing private-level solutions. In particular, the voices of visually impaired people were captu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o access their vivid opinions of them. In conclusion, it is intended to suggest how the walking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and contribute to an equal society in which non-disabled and disabled people live together in solidarity and cooperation.
비장애중심사회에서 장애는 재해석될 수 있는가?: 스피노자의 상상 개념을 중심으로
보이지 않는 감각의 공동체: 시각장애 유아특수학급 내 감각의 사회화와 장애의 재구성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LSTM 기반 장애인 콜택시 대기시간 예측 연구
발달장애 청소년의 음악창조 활동 경험 연구: 장애 정체감 형성과정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