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상경(上京)’을 통해 본 수도 한양의 성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595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시대 수도는 국왕이 거주하며 중앙의 핵심 관서들이 존재하는 곳으로서 다른 지역과 차별 적인 지위를 지녔다. 그러한 수도에 지방 사람들이 올라오는 것을 ‘상경’이라 한다. 조선이 ...

      전통시대 수도는 국왕이 거주하며 중앙의 핵심 관서들이 존재하는 곳으로서 다른 지역과 차별 적인 지위를 지녔다. 그러한 수도에 지방 사람들이 올라오는 것을 ‘상경’이라 한다. 조선이 건국된 후 지방에서 한양에 올라와 벼슬길에 나아가는 방법은 문·무과를 포함한 ‘科擧’ 가 가장 일반적인 통로였다. 과거를 통한 상경은 가장 보편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인 만큼 조선 전시기 동안 이루어졌다. 조선 사회는 임진·병자 양란을 겪으면서 전란의 후유증을 극복하기 위해 의리와 명분을 중시하 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는 지방에서 학식과 덕망이 높은 사람을 정계로 불러들이는 계기가 되었고, 과거가 아닌 또 다른 上京從仕의 길이었다. 이러한 出仕는 17세기에 접어들면서 본격 적으로 전개되었고, 宋時烈·宋浚吉로 대표되는 山林세력이 대표적이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한 상경은 산림과 그 운명을 함께 하여 17세기 이후에도 지속되지만 18세기 탕평군주들이 등장하 면서 그 위세가 한풀 꺾였고, 19세기 세도정치기가 되면서 그 위세가 더욱 위축되었다. 18세기 숙종 후반부터 영조, 정조대는 인구가 증가하고 수도 한양이 상업도시로 변모하면서 벼 슬살이를 위해 상경하는 사람도 증가하지만 그 밖에 상인이나 평민도 수도로 모여드는 추세였다. 그렇다면 상경을 통해 보는 수도의 성격이란 무엇인가. 조선은 건국 초기부터 삼국과 고려 보 다는 수도와 지방 간의 차별적이고 계서적인 면이 완화된 국가였다. 그러한 측면은 ‘상경’, ‘居 京’이라는 면에서도 같은 양상을 보였다.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와 벼슬하고, 그럼으로써 서울 에 거주하는 것에 대한 법적 제약이 없었던 것이다. 또 삼국과 고려 보다는 수도와 지방 간 차별성이 완화되었다고 하더라도 조선의 한양은 여전히 지방에 비해 首位에 위치하였다. 특히 18세기부터 서울[京]과 지방[鄕]의 分岐 현상이 두드러 지고 서울이 상업도시로 변모하면서 신분을 초월하여 지방 사람들의 상경이 늘어났다. 그 이전 시기에 비해 수도 한양의 집중화 현상이 현저해졌고 그 이후는 그러한 현상이 심화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remodern days, the capital, where the king was living and central offices were located, was a place whose status was ‘different’ from others. People’s act of visiting the capital was also referred to as “mounting”[“Sang’gyeong...

      In the premodern days, the capital, where the king was living and central offices were located, was a place whose status was ‘different’ from others. People’s act of visiting the capital was also referred to as “mounting”[“Sang’gyeong”]. In the Joseon period, the competitive national examination was the most common and routine way for an individual to visit the capital and become a governmental official. It was the most reasonable reason for a person to come to the capital, and such visits continued for the duration of the dynasty. Going through two major wars, the Joseon society needed to heal itself, and chose to become a society which would uphold the values of righteousness and cause. Persons renowned for their moral integrity and academic achievements were invited to the capital, and such trend formed another pattern of ‘visiting the capital.’ This trend reached its peak in the 17th century, with Song Shi-yeol(宋時烈) and Song Jun-gil(宋浚吉) as prime examples, among others of the Sallim(山林) faction. But with the advent of kings in the 18th century who supported the “Tangpyeong” policy(“Equitable Appointments”), such ‘invitations’ decreased, and continued to do so in the 19th century, with the government overrun by a few powerful houses. In the 18th century, since the latter half of king Sukjong’s reign, the size of capital population continued to grow, and during the reigns of kings Yeongjo and Jeongjo, capital city Han’ yang developed itself as a city of profound commercial activities. Not only people who sought a career inside the government, but also people who were engaged in commercial activities, continued to enter the capital. How shall we define the nature of such capital city, after examining it through all these ‘visits?’ Since its early days, compared to the capital cities of the “Three Dynasties” period and the Goryeo dynasty as well, the Joseon capital was not the most superior city in a hierarchy structure. There was no legal restriction upon people’s decision to join the capital. It is true that Han’yang retained a certain level of seniority, and was indeed above other local cities. But in the 18th century, it became apparent that the capital and other cities were on a different path of development, and people, regardless of their social classes, continued to visit and stay at the capital. Increase in population became a nor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科擧를 통한 상경: 조선 전시기
      • Ⅲ. 遺逸薦擧를 통한 상경: 17세기 이후
      • Ⅳ. 京鄕分岐와 수도집중, 상경: 18~19세기
      • Ⅴ. 맺음말: 수도 한양의 성격
      • Ⅰ. 머리말
      • Ⅱ. 科擧를 통한 상경: 조선 전시기
      • Ⅲ. 遺逸薦擧를 통한 상경: 17세기 이후
      • Ⅳ. 京鄕分岐와 수도집중, 상경: 18~19세기
      • Ⅴ. 맺음말: 수도 한양의 성격
      • 참고문헌
      • ABSTRACT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병규, "호적: 1606-1923 호구기록으로 본 조선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7

      2 李泰鎭, "한국사특강"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0

      3 "한국고전종합DB"

      4 전덕재,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태학사 2002

      5 이익주, "한국 고대, 고려시대 京·外 차별과 수도의 위상" 서울학연구소 (52) : 1-31, 2013

      6 김문식, "조선후기 지식인의 대외인식" 새문사 2009

      7 이현진,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일지사 2008

      8 강명관, "조선후기 여항문학 연구" 창작과비평사 1997

      9 정인숙, "조선후기 시가를 통해 본 서울의 장소성과 그 의미" 한국시가학회 34 : 119-150, 2013

      10 고동환, "조선후기 서울의 공간구성과 공간인식" 서울학연구소 (26) : 1-48, 2006

      1 손병규, "호적: 1606-1923 호구기록으로 본 조선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7

      2 李泰鎭, "한국사특강"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0

      3 "한국고전종합DB"

      4 전덕재,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태학사 2002

      5 이익주, "한국 고대, 고려시대 京·外 차별과 수도의 위상" 서울학연구소 (52) : 1-31, 2013

      6 김문식, "조선후기 지식인의 대외인식" 새문사 2009

      7 이현진,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일지사 2008

      8 강명관, "조선후기 여항문학 연구" 창작과비평사 1997

      9 정인숙, "조선후기 시가를 통해 본 서울의 장소성과 그 의미" 한국시가학회 34 : 119-150, 2013

      10 고동환, "조선후기 서울의 공간구성과 공간인식" 서울학연구소 (26) : 1-48, 2006

      11 고동환, "조선후기 서울 도시공간의 변동 -상업발달과 관련하여-" 서울학연구소 (52) : 149-175, 2013

      12 鄭萬祚, "조선후기 政局動向과 葛庵 李玄逸의 정치적 位相" 20 : 2011

      13 이현진, "조선후기 京·鄕 분기와 수도 집중" 서울학연구소 (52) : 67-90, 2013

      14 한국역사연구회 19세기정치사연구반, "조선정치사(1800~1863) (상)·(하)" 청년사 1990

      15 김범, "조선전기 ‘훈구?사림세력’ 연구의 재검토" 고려사학회 15 : 3-104, 2003

      16 이종묵, "조선의 문화공간 : 조선시대 문인의 땅과 삶에 대한 문화사 (1~4)" 휴머니스트 2006

      17 강명관, "조선의 뒷골목 풍경" 푸른역사 2003

      18 "조선왕조실록"

      19 고동환, "조선시대 한양의 수도성 - 도시의 위계와 공간표현을 중심으로" 역사학회 (209) : 35-61, 2011

      20 오수창, "조선시대 정치, 틀과 사람들"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0

      21 고동환, "조선시대 시전상업 연구" 지식산업사 2013

      22 高東煥, "조선시대 서울도시사" 태학사 2007

      23 박현순, "조선 후기의 과거科擧" 소명출판 2014

      24 장지연, "조선 전기 개념어 분석을 통해 본 수도의 성격" 서울학연구소 (52) : 33-66, 2013

      25 송웅섭, "조선 전기 公論政治의 형성" 서울대 2011

      26 박현순, "정조와 정조시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27 최성환, "정조대 탕평정국의 군신의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28 "장서각"

      29 박희병, "운화와 근대: 최한기 사상에 대한 음미" 돌베개 2003

      30 박광용, "영조와 정조의 나라" 푸른역사 1998

      31 황현, "역주 梅泉野錄" 문학과지성사 2005

      32 전덕재, "신라의 王京과 小京" 역사학회 (209) : 3-33, 2011

      33 전덕재, "신라 왕경의 역사" 새문사 2009

      34 "승정원일기"

      35 이찬, "서울의 옛지도" 서울학연구소 1995

      36 배우성, "독서와 지식의 풍경 -조선 후기 지식인들의 읽기와 쓰기" 돌베개 2015

      37 정약용, "다산시선茶山詩選" 창비 2013

      38 권내현,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 역사비평사 2014

      39 김제정, "근대 수도 개념어의 용례와 번역어 ‘수도’의 등장" 서울학연구소 (52) : 91-117, 2013

      40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1 이태진, "고종시대의 재조명" 태학사 2000

      42 이익주, "고려시대 ‘上京’이 가지는 수도의 상징성" 2015

      43 이익주, "고려 전기 ‘상경(上京)’을 통해 본 개경의 위상" 서울학연구소 (60) : 1-28, 2015

      44 蔡雄錫, "高麗時代의 國家와 地方社會 -‘本貫制’의 施行과 地方支配秩序"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45 전덕재, "韓國 古代의 王京과 都城, 地方都市" 역사학회 (207) : 329-354, 2010

      46 鄭景姬, "肅宗代 蕩平論과 ‘蕩平’의 시도" 서울대 30 : 1993

      47 "經書"

      48 "經國大典" 서울대 규장각 1997

      49 柳柱姬, "河崙의 生涯와 政治活動" 55·56 : 1998

      50 "朝鮮王朝實錄"

      51 鄭萬祚, "朝鮮時代 書院硏究" 集文堂 1997

      52 高東煥, "朝鮮後期 서울 商業發達史 硏究" 지식산업사 1998

      53 "日省錄"

      54 "新增東國輿地勝覽" 솔출판사 1996

      55 "承政院日記"

      56 이옥, "完譯 李鈺全集" 휴머니스트 2009

      57 "存齋集" 民族文化推進會 2000

      58 "大典會通"

      59 "增補文獻備考"

      60 金慶來, "仁祖代 朝報와 公論政治" 서울대 53 : 2007

      61 유영옥, "『頤齋亂藁』를 통해 본 '朝報'의 유통과 함의" 동양한문학회 33 (33): 237-266, 2011

      62 "『新編標題纂圖寰瀛誌』(奎 5477)"

      63 徐京希, "「漢文短篇」에 나타난 李朝後期의 女性象 - 『朝報』를 中心으로 -" 3 : 1978

      64 정민, "19세기 조선 지식인의 생각 창고: 홍길주의 수여방필 4부작" 돌베개 2006

      65 이경구, "18세기말~19세기초 지식인과 지식계의 동향" 한국사상사학회 (46) : 283-312, 2014

      66 배우성, "18세기 지방 지식인 황윤석과 지방 의식" 한국사연구회 (135) : 31-60, 2006

      67 李泰鎭, "18-19세기 서울의 근대적 도시발달 양상" 4 : 1995

      68 鄭萬祚, "17세기 중반 漢黨의 정치활동과 國政運營論" 23 : 1999

      69 鄭萬祚, "17世紀 中葉 山林勢力(山黨)의 國政運營論" 1992

      70 박현순, "16~17세기 예안현 사족사회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서울학연구 -> 서울학연구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2 1.48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