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가정 양립제도와 경력개발에 대한 구조적 탐색 : 고학력 기혼 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ork-Family Alliance System and Career Development : Focused on High-Educational Married Wome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고학력 여성근로자의 경력단절을 줄이고 지속적으로 노동시장 내에서 경력을 유지, 개발하기 위한 조직차원의 개선사항을 찾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가정 양립제도...

      이 연구는 고학력 여성근로자의 경력단절을 줄이고 지속적으로 노동시장 내에서 경력을 유지, 개발하기 위한 조직차원의 개선사항을 찾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가정 양립제도의활용과 경력개발 사이의 관계를 살폈다. 특히 이 연구는 전문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정규직기혼여성근로자의 경력개발에 주목하였다. 분석에는 연세대학교와 한국연구재단의 공동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조사된 ‘고학력 여성의 경력개발요인에 대한 연구’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49세 이하의정규직 기혼 여성근로자 286명을 대상으로 구조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잠재변수로 조직 내 일-가정 양립제도의 활용, 직무만족, 경력만족, 경력개발이다. 연구결과 첫째, 조직 내 일-가정 양립제도의 활용이 고학력 여성의 경력만족과 직무만족에 정(+)적으로 유의미한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직무만족과 경력만족이 고학력 기혼여성의 경력개발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 내 일-가정 양립제도의 활용이 고학력기혼여성의 경력개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확인하지 못했으나, 경력만족과 직무만족에대한 매개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고학력 기혼여성에 있어 조직에서 제공하는 일- 가정 양립제도의 활용이 지속적인 경력개발에 중요한 요인임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뿐만 아니라 조직 내 여성근로자의 역할갈등이나 조직이탈요인을 줄이기 위한 제도적 지원의 활용이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일-가정 양립 제도의 실효성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원, "한국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개선 방안 연구: 일자리창출 중심의 지원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18 (18): 209-238, 2011

      2 채연주, "통합과 분리 : 경계활동으로 살펴본 일과 삶의 균형" 한국인사조직학회 20 (20): 109-165, 2012

      3 통계청,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여성가족부 2019

      4 통계청,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여성가족부 2017

      5 강이수, "취업 여성의 ‘남편’과 일-가족 문제" 여성학연구소 4 (4): 43-87, 2011

      6 한국일보, "직장인 체감 은퇴연령, 평균 50.2세"

      7 강예지, "조직지원인식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경력계획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유통과학회 14 (14): 83-92, 2016

      8 임희정, "조직내 여성의 수직적 경력이동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1 (81): 5-32, 2011

      9 장지연, "일・가족 양립체계의 선진국 동향과 정책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5

      10 김진욱, "일하는 어머니들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5) : 197-220, 2008

      1 김혜원, "한국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개선 방안 연구: 일자리창출 중심의 지원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18 (18): 209-238, 2011

      2 채연주, "통합과 분리 : 경계활동으로 살펴본 일과 삶의 균형" 한국인사조직학회 20 (20): 109-165, 2012

      3 통계청,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여성가족부 2019

      4 통계청,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여성가족부 2017

      5 강이수, "취업 여성의 ‘남편’과 일-가족 문제" 여성학연구소 4 (4): 43-87, 2011

      6 한국일보, "직장인 체감 은퇴연령, 평균 50.2세"

      7 강예지, "조직지원인식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경력계획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유통과학회 14 (14): 83-92, 2016

      8 임희정, "조직내 여성의 수직적 경력이동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1 (81): 5-32, 2011

      9 장지연, "일・가족 양립체계의 선진국 동향과 정책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5

      10 김진욱, "일하는 어머니들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5) : 197-220, 2008

      11 김효선, "일과 삶의 조화와 업무성과 향상의 시너지효과를 위하여:상호협조적 실천연구(CIAR)의 방법론적 중요성" 한국경영학회 10 (10): 1-20, 2007

      12 이연희, "일과 삶의 조화를 위한 정책이 직장선택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13 오현규, "일과 삶의 균형 정책이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공공 및 민간 조직 내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6 (26): 901-930, 2014

      14 이주희, "일과 가족의 양립은 어떻게 가능한가? -기업의 조직문화와 여성관리직 모성보호-" 한국가족학회 15 (15): 2-2, 2003

      15 강유미, "일과 가족 균형 제도의 실행 결정요인과 조절효과 연구 : 모성보호제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16 송다영, "일가족양립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직장내 지원과 가족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7 (37): 27-52, 2010

      17 이혜정, "일가정 양립제도와 여성근로자의 지각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0 (80): 37-79, 2011

      18 신경아, "일-삶의 균형(work-life balance)과 노동시간" 민주사회정책연구원 (16) : 176-211, 2009

      19 정장훈, "일-가정 양립제도의 도입과 디커플링이 조직성과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11 (11): 179-215, 2011

      20 안은정, "일-가정 양립제도가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재무성과와 여성의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 (20): 177-216, 2010

      21 권혜원, "일-가정 양립정책이 여성 관리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후원적 리더십과 조직문화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3 (23): 89-117, 2013

      22 이동선,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개입이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미치는 영향: OECD 국가를 대상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3 (43): 259-284, 2016

      23 안은정, "일-가정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 연구 : 가정친화조직, 직무특성, 역할관여 및 개인특성을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11 (11): 75-120, 2013

      24 윤자영, "육아휴직제도의 여성 고용 효과: 정액제에서 정률제 급여제도로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14 (14): 31-57, 2014

      25 한영선, "여성취업과 일ㆍ가정양립지원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53 (53): 49-66, 2015

      26 김금수, "여성인력에 대한 직장과 가정의 양립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10 (10): 269-289, 2003

      27 조연숙, "여성인력개발기관 직업교육훈련 분류체계 수립 및 관리방안 연구" 여성가족재단 2010

      28 서동희, "여성의 일-가정양립을 위한 육아문화와 기업의 사회적 공헌" 한국콘텐츠학회 8 (8): 173-181, 2008

      29 박민아, "여성의 리더십역량이 직무 및 조직생활 만족, 경력경로 개발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1 (11): 289-299, 2011

      30 민현주, "여성의 경력단절 기간별 생애사건 효과분석" 한국인구학회 34 (34): 53-72, 2011

      31 김흥국, "여성의 경력개발 방안"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7 (7): 1-33, 2005

      32 곽선화, "여성의 경력 장애와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4 (14): 1-23, 2007

      33 성상현, "여성과학기술인의 일‧가정 양립과 리더의 역할" 리더십학회 5 (5): 5-31, 2014

      34 강이수, "여성과 일" 동녘 2015

      35 장지연, "양육형태와 비용이 기혼여성의 취업단절에 미치는 영향" 365-388, 2001

      36 진선미, "사회서비스 지속성이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 및 참여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혼합다항로지스틱 회귀모형(mixed-effects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의 활용"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38-69, 2011

      37 신경아, "노동시장과 모성, 가족의 문제-남성중심적 노동자 모델을 넘어서" 51 : 97-122, 2001

      38 손영미, "남녀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변인과 결과변인의 차이연구: 기혼직장인을 대상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9 (19): 161-190, 2014

      39 이유진, "기혼여성 재취업의 동태적 분석 : 고학력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경제통상학회 32 (32): 87-114, 2014

      40 이재경, "기혼 취업 여성의 일-가족생활에 대한 주관적 인식: 세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20 : 39-69, 2003

      41 박경환, "기혼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관계가 관리능력,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5 (25): 879-905, 2012

      42 김둘순, "기업의 여성인력활용 및 일-가족 양립정책에 대한 사례연구 : K방직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7 (7): 125-174, 2007

      43 문선희, "기업복지제도가 기혼 직장여성의 가정생활과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족친화제도의 효과"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8 (18): 119-141, 2013

      44 박영용, "기업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영향요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215-239, 2006

      45 조혜원, "기업 관리직의 젠더 격차와 “유리천장” 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23 (23): 49-81, 2016

      46 김계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2007

      47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2012

      48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49 오은진, "교육수준에 따른 여성의 노동시장 이행 실태와 취업선택 결정 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12): 141-162, 2009

      50 김연근, "공무원의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대학원 2014

      51 전영옥, "공무원의 경력만족 및 승진욕구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조직학회 13 (13): 125-148, 2016

      52 김화연, "공공 및 민간 조직의 가족친화제도가 여성 근로자들의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남편의 도구적 지지와 가족의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7 (27): 483-511, 2015

      53 이재경, "고용조건이 일과 가족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비판사회학회 (64) : 172-206, 2004

      54 윤병훈, "경찰공무원의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23 (23): 91-114, 2014

      55 고재권, "가족친화적 정책과 조직성과:직무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13 (13): 161-181, 2014

      56 김태홍, "가족친화적 고용현황과 활성화 방안" 여성정책개발원 2001

      57 이병훈, "가족친화경영의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19 (19): 153-175, 2009

      58 김종성, "가족친화경영의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2007

      59 이도화, "가족친화경영과 조직구성원 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일-가정 갈등과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7 (17): 265-284, 2010

      60 유계숙, "가족친화 기업정책의 시행 및 이용 여부와 근로자의 직업만족도, 이직의도, 직무성과" 한국가족학회 19 (19): 35-60, 2007

      61 이세인, "가족의 지원 및 가족친화적 조직 문화가 사무직 취업모의 일-가족 갈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2 (12): 29-57, 2007

      62 김선아, "‘일과 삶 균형’ 정책과 정책 부합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7 (47): 201-237, 2013

      63 Cook, S. J., "Working Women, Literary Ladies: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Female Aspi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64 Perry-Smith, J. E., "Work-family human resource bundle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43 (43): 1107-1117, 2000

      65 Zedeck, S., "Work in the family and employing organization" 45 (45): 240-, 1990

      66 Grover, S. L., "Who appreciates familyresponsive human resource policies: The impact of familyfriendly policies on the organizational attachment of parents and non‐parents" 48 (48): 271-288, 1995

      67 Thompson, C. A., "When work–family benefits are not enough: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ulture on benefit utilization,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work–family conflict" 54 (54): 392-415, 1999

      68 Waterman, R., "The learning society: Challenges and trends" 207-220, 1996

      69 Bowen, D. D., "The female entrepreneur: A career development perspective" 11 (11): 393-407, 1986

      70 Rappaport, A., "The aging workforce raises new talent management issues for employers" 23 (23): 55-66, 2003

      71 Anderson, J. 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103 (103): 411-, 1988

      72 Bland, J. M., "Statistics notes: Cronbach9s alpha" 314 (314): 572-, 1997

      73 Greenhaus, J. H.,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10 (10): 76-88, 1985

      74 Hinton, P. R., "SPSS explained" Routledge 2004

      75 Scandura, T. A., "Relationships of gender, family responsibility and flexible work hours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18 (18): 377-391, 1997

      76 Lambert, S. J., "Processes linking work and family: A critical review and research agenda" 43 (43): 239-257, 1990

      77 Evertsson, M., "Parental leave—Possibility or trap? Does family leave length effect Swedish women’s labour market opportunities?" 27 (27): 435-450, 2010

      78 Powell, G. N., "One more time: Do female and male managers differ?" 4 (4): 68-75, 1990

      79 Gerber, T. P., "Maternity leave in turbulent times: Effects on labor market transitions and fertility in Russia, 1985-2000" 90 (90): 1297-1322, 2012

      80 Beauregard, T. A., "Making the link between work-life balance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19 (19): 9-22, 2009

      81 Cahuc, P. Z., "Labor Economics" MIT Press 2004

      82 Thomas, L. T.,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A control perspective" 80 (80): 6-, 1995

      83 Allen, T. D., "Family-supportive work environments: The role of organizational perceptions" 58 (58): 414-435, 2001

      84 Fornell, C.,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39-50, 1981

      85 Kenny, D. A., "Estimating the nonlinear and interactive effects of latent variables" 96 (96): 201-, 1984

      86 OECD, "Closing the Gender Gap: Act Now" OECD Publishing 2012

      87 Browne, M. W.,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154 : 136-136, 1993

      88 Byron, K., "A meta-analytic review of work–family conflict and its antecedents" 67 (67): 169-198,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8-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여성개발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6 1.42 1.55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