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간호사의 직무요구가 대인일탈행동과 직장무례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와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 The impact of nurses' job demands on interpersonal deviance and workplace incivility :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as a mediator and organizational justice as a moderat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81892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 한림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189.7 판사항(6)

      • DDC

        158.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vii, 98장 : 도표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주일
        권말부록: 분배공정성의 조절효과 분석 등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인일탈행동과 직장무례행동은 산업 및 조직 심리학 분야에서 끊임없이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 주제로, 간호사와 같이 직장 내 대인 간 일탈행동에 많이 노출되어 있고 그것을 잘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직업에서의 태움 관련 연구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질적조사인 연구 1과 양적조사인 연구 2로 구분되어 있다.
      먼저 연구 1에서는 개방형 설문을 사용하여 52명의 간호사에게 직무요구, 본인이 직접 경험한 일탈행동, 보고 들은 타인의 일탈행동, 퇴근 후 일 관련 생각의 유형과 퇴근 후 일 관련 생각 해소방법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선행연구 이론, 응답자의 답변에 기반하여 범주화를 한 뒤 신뢰도 계수를 측정하여 질적 자료의 신뢰도를 높였다.
      연구 2에서는 간호사의 직무요구가 대인일탈행동 및 직장무례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예측변인과 준거변인 간의 관계에서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와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국내 병원에 종사하고 있는 간호사들에게 연락하여 연구 협조 요청을 한 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사람에 한하여 온라인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총 302명의 응답이 온라인으로 수집되었으며 결측치 10명의 응답을 제거한 후 최종 292명의 응답이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간호사의 직무요구는 대인일탈행동과 직장무례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직무요구가 대인일탈행동과 직장무례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직무요구가 대인일탈행동과 직장무례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직무요구가 대인일탈행동 및 직장무례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조직공정성의 수준에 따라 달라졌으며, 구체적으로, 조직공정성을 낮게 지각하는 것보다 높게 지각할 경우에 직무요구 고저 수준에 따라 대인일탈행동과 직장무례행동의 수준이 달라졌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 자료에 그치지 않고 질적 자료를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간호사들의 직무요구가 대인일탈행동, 직장무례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좀 더 풍부하게 해줄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하였다. 실제로 간호사의 전반적이고 구체적인 직무특성에 대해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연구이다. 둘째, 최근 사회적으로 자주 이슈가 되고, 과도한 직무요구와 태움 문화의 심각성이 야기되는 대표적인 직업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하여 특히 일탈행동을 중점적으로 다룰 필요성이 있는 직업에서의 조직공정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간호사에 대한 교육 및 훈련, 정책 개선에 대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대인일탈행동과 직장무례행동은 산업 및 조직 심리학 분야에서 끊임없이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 주제로, 간호사와 같이 직장 내 대인 간 일탈행동에 많이 노출되어 있고 그것을 잘 관리해야 ...

      대인일탈행동과 직장무례행동은 산업 및 조직 심리학 분야에서 끊임없이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 주제로, 간호사와 같이 직장 내 대인 간 일탈행동에 많이 노출되어 있고 그것을 잘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직업에서의 태움 관련 연구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질적조사인 연구 1과 양적조사인 연구 2로 구분되어 있다.
      먼저 연구 1에서는 개방형 설문을 사용하여 52명의 간호사에게 직무요구, 본인이 직접 경험한 일탈행동, 보고 들은 타인의 일탈행동, 퇴근 후 일 관련 생각의 유형과 퇴근 후 일 관련 생각 해소방법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선행연구 이론, 응답자의 답변에 기반하여 범주화를 한 뒤 신뢰도 계수를 측정하여 질적 자료의 신뢰도를 높였다.
      연구 2에서는 간호사의 직무요구가 대인일탈행동 및 직장무례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예측변인과 준거변인 간의 관계에서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와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국내 병원에 종사하고 있는 간호사들에게 연락하여 연구 협조 요청을 한 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사람에 한하여 온라인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총 302명의 응답이 온라인으로 수집되었으며 결측치 10명의 응답을 제거한 후 최종 292명의 응답이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간호사의 직무요구는 대인일탈행동과 직장무례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직무요구가 대인일탈행동과 직장무례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직무요구가 대인일탈행동과 직장무례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직무요구가 대인일탈행동 및 직장무례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조직공정성의 수준에 따라 달라졌으며, 구체적으로, 조직공정성을 낮게 지각하는 것보다 높게 지각할 경우에 직무요구 고저 수준에 따라 대인일탈행동과 직장무례행동의 수준이 달라졌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 자료에 그치지 않고 질적 자료를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간호사들의 직무요구가 대인일탈행동, 직장무례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좀 더 풍부하게 해줄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하였다. 실제로 간호사의 전반적이고 구체적인 직무특성에 대해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연구이다. 둘째, 최근 사회적으로 자주 이슈가 되고, 과도한 직무요구와 태움 문화의 심각성이 야기되는 대표적인 직업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하여 특히 일탈행동을 중점적으로 다룰 필요성이 있는 직업에서의 조직공정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간호사에 대한 교육 및 훈련, 정책 개선에 대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erpersonal Deviance and workplace Incivility behavior is a constant subject of research in the field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research on beleaguerment in jobs where there is a great deal of exposure to interpersonal deviations in the workplace, such as nurses, and where there is a need to manage them well, is essential.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qualitative survey, study 1, and quantitative survey, study 2.
      First, in study 1, 52 nurses were asked to respond to job demand, deviations experienced by themselves, other people’s deviations, type of work-related thoughts, and ways to resolve work-related thought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theory of prior study and the responses of respondents, a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was measur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qualitative data.
      Study 2 identified the effect of the job demand of on interpersonal deviance and workplace incivility, and the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and moder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online only to thos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fter contacting nurses working in local hospitals for research. The data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re 292.
      The results of study is the job demand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deviance and workplace incivility. The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oder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addition to quantitative data,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in addition to providing more data to enrich the results of the study, which showed that the job demand affected interpersonal deviance and workplace incivility. In fact, it is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overall and specific job characteristics of nurses. Second, it could be a reference to education, training, and policy improvement for nurses by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justice, especially in job that need to focus on deviant behavior, by studying nurses, which have become a social issue recently and are representative jobs that cause excessive job demand and the seriousness of the culture of beleaguerment.
      번역하기

      Interpersonal Deviance and workplace Incivility behavior is a constant subject of research in the field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research on beleaguerment in jobs where there is a great deal of exposure to interpersonal deviati...

      Interpersonal Deviance and workplace Incivility behavior is a constant subject of research in the field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research on beleaguerment in jobs where there is a great deal of exposure to interpersonal deviations in the workplace, such as nurses, and where there is a need to manage them well, is essential.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qualitative survey, study 1, and quantitative survey, study 2.
      First, in study 1, 52 nurses were asked to respond to job demand, deviations experienced by themselves, other people’s deviations, type of work-related thoughts, and ways to resolve work-related thought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theory of prior study and the responses of respondents, a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was measur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qualitative data.
      Study 2 identified the effect of the job demand of on interpersonal deviance and workplace incivility, and the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and moder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online only to thos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fter contacting nurses working in local hospitals for research. The data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re 292.
      The results of study is the job demand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deviance and workplace incivility. The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oder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addition to quantitative data,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in addition to providing more data to enrich the results of the study, which showed that the job demand affected interpersonal deviance and workplace incivility. In fact, it is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overall and specific job characteristics of nurses. Second, it could be a reference to education, training, and policy improvement for nurses by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justice, especially in job that need to focus on deviant behavior, by studying nurses, which have become a social issue recently and are representative jobs that cause excessive job demand and the seriousness of the culture of beleaguer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4
      • 1. 직무요구와 대인일탈행동 및 직장무례행동 4
      • 1) 직무요구의 정의 4
      • 2) 대인일탈행동의 정의 6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4
      • 1. 직무요구와 대인일탈행동 및 직장무례행동 4
      • 1) 직무요구의 정의 4
      • 2) 대인일탈행동의 정의 6
      • 3) 직장무례행동의 정의 7
      • 4) 직무요구와 대인일탈행동, 직장무례행동 간의 관계 8
      • 2.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 9
      • 1)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의 정의 9
      • 2)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 11
      • 3. 조직공정성 13
      • 1) 조직공정성의 정의 13
      • 2)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15
      • Ⅲ. 연구목적 17
      • 1. 연구목적 17
      • 2. 연구모형 18
      • 3. 연구가설 20
      • Ⅳ. 연구 1: 질적조사(개방형 설문조사) 21
      • 1. 연구목적 21
      • 2. 연구방법 21
      • 1) 연구대상 21
      • 2) 연구절차 21
      • 3) 분석방법 22
      • 3. 연구결과 26
      • 1) 평정자간 신뢰도 분석 26
      • 2) 간호사 업무현황에 대한 개방형 설문결과 빈도분석 26
      • 4. 연구 1의 논의 31
      • Ⅴ. 연구 2: 양적조사(구조화된 질문지 조사연구) 33
      • 1. 연구목적 33
      • 2. 연구방법 34
      • 1) 연구대상 34
      • 2) 측정도구 36
      • (1) 직무요구 36
      • (2) 대인일탈행동 36
      • (3) 직장무례행동 37
      • (4)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 37
      • (5) 조직공정성 37
      • (6) 정서 37
      • 3) 연구절차 38
      • 4) 분석방법 38
      • 3. 연구결과 40
      • 1) 각 측정변인 별 상관계수 및 평균과 표준편차 40
      • 2) 대인일탈행동에 대한 직무요구의 고유효과 42
      • 3) 직장무례행동에 대한 직무요구의 고유효과 43
      • 4) 직무요구와 대인일탈행동 간의 관계에서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 44
      • 5) 직무요구와 직장무례행동 간의 관계에서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 45
      • 6) 직무요구와 대인일탈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47
      • 7) 직무요구와 직장무례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49
      • 4. 연구 2의 논의 52
      • Ⅵ. 종합논의 54
      • 1. 연구 결과에 대한 종합논의 54
      • 1) 직무요구와 대인일탈행동 및 직장무례행동 간의 관계 54
      • 2) 직무요구와 대인일탈행동 및 직장무례행동 간의 관계에서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 55
      • 3) 직무요구와 대인일탈행동 및 직장무례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56
      • 2. 연구의 의의 58
      • 1) 이론적 측면의 의의 58
      • 2) 실무적 측면의 의의 58
      • 3. 연구의 제한점 60
      • 참고문헌 62
      • 국문초록/Abstract 76
      • 부록 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