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촌여성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to Improve Self-esteem and Enhance Self-integrity of Rural Elderly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75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if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 esteem and self integrity of rural elderly women. Study subjects are forty seven rural elderly women in A-city who have participated in producing specialized products in their rural area. They a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EG, n=25) who wish to participate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a part of the A-city sponsored program named ‘Making the Rural Elderly Happy’, to improve and enhance the elderly’s self esteem and self integrity, and control group (CG, n=22) with no wish to participate. However, only forty four elderly women are selected as the final study subjects for data analysis, due to those who either missed the program session more than once or died of old age during the program perio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given from March 16 to May 18 of 2010, every Tuesday between 1pm through 3pm for a total of 12 sessions, with the help of two college student assistants in the region and one staff member for the city program. SPSS WIN version 12.0 is adopted to evaluate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therapy program, independent -test for equivalence check of pretests, and frequency check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The study results are obtained by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o grasp the chang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n both groups, together with ANCOVA to evaluate effects of the therapy program with the pre-test as covaria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 esteem of EG i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at of CG after intervention of group art therapy. Second, self integrity is significantly higher in EG than CG after the group art therapy intervention. Therefore, it can be claimed that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and enhancing self esteem and self integrity of the rural elderly wome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if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 esteem and self integrity of rural elderly women. Study subjects are forty seven rural elderly women in A-city who have participated in producing specialized pr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if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 esteem and self integrity of rural elderly women. Study subjects are forty seven rural elderly women in A-city who have participated in producing specialized products in their rural area. They a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EG, n=25) who wish to participate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a part of the A-city sponsored program named ‘Making the Rural Elderly Happy’, to improve and enhance the elderly’s self esteem and self integrity, and control group (CG, n=22) with no wish to participate. However, only forty four elderly women are selected as the final study subjects for data analysis, due to those who either missed the program session more than once or died of old age during the program perio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given from March 16 to May 18 of 2010, every Tuesday between 1pm through 3pm for a total of 12 sessions, with the help of two college student assistants in the region and one staff member for the city program. SPSS WIN version 12.0 is adopted to evaluate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therapy program, independent -test for equivalence check of pretests, and frequency check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The study results are obtained by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o grasp the chang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n both groups, together with ANCOVA to evaluate effects of the therapy program with the pre-test as covaria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 esteem of EG i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at of CG after intervention of group art therapy. Second, self integrity is significantly higher in EG than CG after the group art therapy intervention. Therefore, it can be claimed that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and enhancing self esteem and self integrity of the rural elderly wom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농촌여성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A시의 ‘농촌어르신 행복 만들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농촌여성노인들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하여 농촌 특화 상품 생산에 참여하는 어르신 47명 중 프로그램을 원하시는 분 25명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22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시 한 번이라도 빠지거나 고령으로 인하여 중도에 사망하신 분을 제외한 44명이 최종 분석 대상이었다. 프로그램 실시는 A지역의 대학생 2명의 보조자와 주최 측의 직원 1명의 도움으로 2010년 3월 16일부터 5월 18일까지 주 1회 화요일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120분 동안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WIN version 12.0 Progra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전검사의 동질성검사를 위하여 독립 -test를 실시하고, 각 집단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과 사후검사에서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 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아통합감이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집단미술치료가 농촌여성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자아통합감 증진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농촌여성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A시의 ‘농촌어르신 행복 만들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농...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농촌여성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A시의 ‘농촌어르신 행복 만들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농촌여성노인들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하여 농촌 특화 상품 생산에 참여하는 어르신 47명 중 프로그램을 원하시는 분 25명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22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시 한 번이라도 빠지거나 고령으로 인하여 중도에 사망하신 분을 제외한 44명이 최종 분석 대상이었다. 프로그램 실시는 A지역의 대학생 2명의 보조자와 주최 측의 직원 1명의 도움으로 2010년 3월 16일부터 5월 18일까지 주 1회 화요일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120분 동안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WIN version 12.0 Progra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전검사의 동질성검사를 위하여 독립 -test를 실시하고, 각 집단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과 사후검사에서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 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아통합감이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집단미술치료가 농촌여성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자아통합감 증진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오, "회상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자아통합감 및 행동변화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2 김효정, "회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질환 입원자들의 자아통합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1

      3 김안젤라, "회상을 주제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3

      4 박현철,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입소 노인의 삶의 질과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1

      5 박동순, "현실치료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만성질환 고령노인의 감사성향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6 유공순, "한국여성노인의 문제와 그 쟁점" 26 (26): 165-194, 2005

      7 "통계청"

      8 심경혜, "집단미술치료가 우울증 노인의 생활 만족도와 자아 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9 유금순, "집단미술치료가 우울성향 여성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사회복지대학원 2010

      10 서영희, "집단미술치료가 시설 여성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2008

      1 김정오, "회상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자아통합감 및 행동변화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2 김효정, "회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질환 입원자들의 자아통합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1

      3 김안젤라, "회상을 주제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3

      4 박현철,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입소 노인의 삶의 질과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1

      5 박동순, "현실치료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만성질환 고령노인의 감사성향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6 유공순, "한국여성노인의 문제와 그 쟁점" 26 (26): 165-194, 2005

      7 "통계청"

      8 심경혜, "집단미술치료가 우울증 노인의 생활 만족도와 자아 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9 유금순, "집단미술치료가 우울성향 여성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사회복지대학원 2010

      10 서영희, "집단미술치료가 시설 여성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2008

      11 전현영, "집단미술치료가 소외계층노인의 자아존중감, 자아통합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0

      12 신혜순, "집단미술치료가 소외계층 노인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13 장혜영, "집단미술치료가 배우자상실 노인의 고독감 완화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14 강석영, "집단미술치료가 농촌 여성노인의 자아존중감 및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경영행정문화대학원 2012

      15 류정자,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학습된 무기력 및 우울정서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0

      16 김영신,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 존중감과 대인 관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4

      17 엄윤숙, "집단 미술치료가 노년기의 우울과 자아통합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7

      18 서경혜, "종이조형활동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8

      19 송양순, "재가노인 우울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2 : 193-226, 2001

      20 이성옥, "자원봉사참여노인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2006

      21 이성미, "자아존중감 증진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모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22 전병제, "자아 개념 측정 가능성에 관한 연구" 11 : 24-31, 1974

      23 최은영, "여가활동프로그램으로서의 미술치료가 농촌노인의 자아통합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36) : 1-1, 2007

      24 윤 진, "성인노인심리학" 중앙적성출판사 1985

      25 박승분, "색채기억(Color History)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회상기능 및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7

      26 "삼성경제연구소"

      27 김진숙, "미술치료학 개론" 학지사 2006

      28 "농촌진흥청"

      29 김성숙, "농촌지역 노인미술치료를 통한 자아 존중감 형성에 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0

      30 최외선,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7 (27): 755-773, 2007

      31 이상화,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1998

      32 이봉진, "노인의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관광학회 8 (8): 139-156, 2012

      33 김정순, "노인의 사회적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8

      34 최성재,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35 권육상, "노인복지론" 유풍출판사 2005

      36 고수현, "노인복지론" 양서원 2003

      37 정여주, "노인미술치료" 학지사 2006

      38 정현희, "노인미술치료" 학지사 2007

      39 전산초, "노인간호학" 수문사 1985

      40 조경란, "노년기 종교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41 이문자, "구조화된 회상을 중심으로 한 노인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9

      42 "경향신문"

      43 석미란,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이 우울성향 독거노인의 우울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44 Mohaupt-Luksch, V, "kunsttherapie mit demenzkranken menschen" Mabuse-Verlag 82-91, 2004

      45 Fishman, S, "Relationship among an older adult’s life review, ego integrity, and death anxiety" 4 (4): 267-277, 1992

      46 Schoeneberg, A, "Rehabilitative kunsttherapie aelterer undaltermenschen" Books onDemand Gmbh 2002

      47 Erikson, "Identity and the life cycle" Norton 1982

      48 Mees-Christeller, E, "Heilende kunst und kuensterisches heilen" DieDforte 1996

      49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1963

      50 이인수, "21세기 노인복지학" 대왕사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