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밀리미터파 및 테라헤르츠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 비전 기반 빔포밍 = Computer Vision-Aided Beamforming for Millimeter and Terahertz Commun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397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 progress in sensing and computer vision has enabled the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DL)-based CV technology in millimeter and terahertz beamforming. In CV-based beamforming, a pre-trained object detector is used to acquire the channel parameter information (distance and angle) of the wireless object, using which the BS can generate a directional beam heading toward the wireless object.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beamforming technique that exploits an object detector tailored for identifying wireless objects to maximize the beamforming gain. To develop such detector, we collected a massive vision dataset called Vision Objects for Millimeter and Terahertz Communications (VOMTC), which consists of RGB and depth images of people holding cell phones and laptops. Through beamforming experiments using the VOMTC test set, we show that the proposed technique outperforms conventional beamforming techniques in terms of data rate.
      번역하기

      Recent progress in sensing and computer vision has enabled the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DL)-based CV technology in millimeter and terahertz beamforming. In CV-based beamforming, a pre-trained object detector is used to acquire the channel paramet...

      Recent progress in sensing and computer vision has enabled the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DL)-based CV technology in millimeter and terahertz beamforming. In CV-based beamforming, a pre-trained object detector is used to acquire the channel parameter information (distance and angle) of the wireless object, using which the BS can generate a directional beam heading toward the wireless object.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beamforming technique that exploits an object detector tailored for identifying wireless objects to maximize the beamforming gain. To develop such detector, we collected a massive vision dataset called Vision Objects for Millimeter and Terahertz Communications (VOMTC), which consists of RGB and depth images of people holding cell phones and laptops. Through beamforming experiments using the VOMTC test set, we show that the proposed technique outperforms conventional beamforming techniques in terms of data ra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센싱과 컴퓨터 비전 (Computer Vision, CV)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딥러닝 (Deep Learning, DL) 기반 컴퓨터 비전 기술이 밀리미터파 및 테라헤르츠 빔포밍에 적용될 수 있게 되었다. 컴퓨터 비전 기반 빔포밍에서는 사전 훈련된 물체 탐지기 (pre-trained object detector)를 사용하여 무선 객체의 채널 파라미터 정보 (거리 및 각도) 를 획득하고, 기지국이 해당 위치로 빔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득을 극대화하기 위해 무선 객체를 탐지하는데 특화된 물체 탐지기를 사용하여 빔을 생성하는 새로운 빔포밍 기법을 제안한다.
      물체 탐지기의 학습을 위해 휴대폰 및 노트북을 가진 사람들의 RGB 및 심도 이미지로 구성된 Vision Objects for Millimeter and Terahertz Communications (VOMTC)라는 거대한 비전 데이터셋을 수집하였다. VOMTC 테스트셋 (test set)을 활용한 빔포밍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 빔포밍 기법 대비 데이터 전송률을 크게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센싱과 컴퓨터 비전 (Computer Vision, CV)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딥러닝 (Deep Learning, DL) 기반 컴퓨터 비전 기술이 밀리미터파 및 테라헤르츠 빔포밍에 적용될 수 있게 되었다. 컴퓨터 비전 기...

      최근 센싱과 컴퓨터 비전 (Computer Vision, CV)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딥러닝 (Deep Learning, DL) 기반 컴퓨터 비전 기술이 밀리미터파 및 테라헤르츠 빔포밍에 적용될 수 있게 되었다. 컴퓨터 비전 기반 빔포밍에서는 사전 훈련된 물체 탐지기 (pre-trained object detector)를 사용하여 무선 객체의 채널 파라미터 정보 (거리 및 각도) 를 획득하고, 기지국이 해당 위치로 빔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득을 극대화하기 위해 무선 객체를 탐지하는데 특화된 물체 탐지기를 사용하여 빔을 생성하는 새로운 빔포밍 기법을 제안한다.
      물체 탐지기의 학습을 위해 휴대폰 및 노트북을 가진 사람들의 RGB 및 심도 이미지로 구성된 Vision Objects for Millimeter and Terahertz Communications (VOMTC)라는 거대한 비전 데이터셋을 수집하였다. VOMTC 테스트셋 (test set)을 활용한 빔포밍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 빔포밍 기법 대비 데이터 전송률을 크게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