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한 지역 고해상도 기후지도 작성을 위한 공간화 기법 연구 = Applicability of Various Interpolation Approaches for High Resolution Spatial Mapping of Climate Data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761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지리통계학적 공간화 기법을 적용한 격자기후자료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국지예보모델(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LDAPS) 격자기후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지리통계학적 공간화 기법을 적용한 격자기후자료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국지예보모델(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LDAPS) 격자기후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남한 지역의 고해상도 격자기후지도 작성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2017년의 595개 기후관측자료 중, 80%의 지점자료를 이용하여 순간 온도와 1시간 누적강수량에 대한 격자기후자료를 생성하였고 나머지 117개의 지점자료를 검증에 이용하였다. ArcGIS10.3.1과 Python3.6.4을 이용하여 관측자료 및 DEM을 IDW, 공동크리깅, 크리깅에 적용한 후, 공간보간 결과를 3개 군집으로 나누어 검증하였으며 LDAPS 격자기후자료를 바탕으로 유역 별 패턴 비교를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순간 온도의 공간화에는 고도를 부변수로 추가한 공동크리깅이, 1시간 누적강수량 공간화에는 IDW가 가장 적합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new dataset of spatially interpolated climate data of South Korea by performing various geo-statistical interpolation techniques for comparison with the LDAPS grid data of KMA. Among 595 observation data in 20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new dataset of spatially interpolated climate data of South Korea by performing various geo-statistical interpolation techniques for comparison with the LDAPS grid data of KMA. Among 595 observation data in 2017, 80 % of the total points and remaining 117 points were used for spatial mapping and quantification, respectively. IDW, cokriging, and kriging were performed via the ArcGIS10.3.1 software and Python3.6.4, and each result was then divided into three clusters and four watersheds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As a result, cokriging produced the most suitable grid climate data for instantaneous temperature. For 1-hr accumulated precipitation, IDW was most suitable for expressing local rainfall effe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수진, "한반도 지형의 일반성과 특수성, 그리고 지속가능성" 대한지리학회 49 (49): 656-674, 2014

      2 채수권, "우리나라 하천 환경 평가체계의 분석: 생물분야를 중심으로" 응용생태공학회 2 (2): 108-117, 2015

      3 진미정, "우리나라 기후 절기별 기온 변화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 대한지리학회 50 (50): 23-36, 2015

      4 박노욱, "시계열 기온 분포도 작성을 위한 시공간 자기상관성 정보의 결합"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432-442, 2011

      5 박노욱, "수치표고모델과 다변량 크리깅을 이용한 기온 및 강수 분포도 작성" 대한지리학회 43 (43): 1002-1015, 2008

      6 박종철, "공동 크리깅을 이용한 강수 분포도 작성에서 지형 사면방향 변수 사용에 대한 연구 : 제주도를 사례지역으로" 한국지형학회 16 (16): 59-66, 2009

      7 황석환, "공간 강수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공간상세화 방법 평가" 한국방재학회 13 (13): 149-163, 2013

      8 백승균, "고해상도 기온 및 강수 분포도 작성을 위한 공동크리깅 적용성 평가" 기후연구소 6 (6): 242-253, 2011

      9 김종필, "개선된 PRISM 모형을 이용한 고해상도 일강수량 추정" 대한토목학회 34 (34): 1139-1150, 2014

      10 장동호, "가변적 지역평균 단순 크리깅을 이용한 남한 지역 고해상도 기온 및 강수 분포도 작성 및 평가" 기후연구소 10 (10): 165-182, 2015

      1 박수진, "한반도 지형의 일반성과 특수성, 그리고 지속가능성" 대한지리학회 49 (49): 656-674, 2014

      2 채수권, "우리나라 하천 환경 평가체계의 분석: 생물분야를 중심으로" 응용생태공학회 2 (2): 108-117, 2015

      3 진미정, "우리나라 기후 절기별 기온 변화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 대한지리학회 50 (50): 23-36, 2015

      4 박노욱, "시계열 기온 분포도 작성을 위한 시공간 자기상관성 정보의 결합"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432-442, 2011

      5 박노욱, "수치표고모델과 다변량 크리깅을 이용한 기온 및 강수 분포도 작성" 대한지리학회 43 (43): 1002-1015, 2008

      6 박종철, "공동 크리깅을 이용한 강수 분포도 작성에서 지형 사면방향 변수 사용에 대한 연구 : 제주도를 사례지역으로" 한국지형학회 16 (16): 59-66, 2009

      7 황석환, "공간 강수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공간상세화 방법 평가" 한국방재학회 13 (13): 149-163, 2013

      8 백승균, "고해상도 기온 및 강수 분포도 작성을 위한 공동크리깅 적용성 평가" 기후연구소 6 (6): 242-253, 2011

      9 김종필, "개선된 PRISM 모형을 이용한 고해상도 일강수량 추정" 대한토목학회 34 (34): 1139-1150, 2014

      10 장동호, "가변적 지역평균 단순 크리깅을 이용한 남한 지역 고해상도 기온 및 강수 분포도 작성 및 평가" 기후연구소 10 (10): 165-182, 2015

      11 Stephen EF, "WorldClim2: new 1-km spatial resolution climate surfaces for global land areas" 37 : 4032-4315, 2017

      12 Bruno AW, "The concepts of bias, precision and accuracy, and their use in testing the performance of species richness estimators, with a literature review of estimator performance" 28 : 815-829, 2005

      13 Creutin JD, "Rain measurement by raingage-radar combination: a geostatistical approach" 5 : 102-115, 1988

      14 박종철, "PRISM, 역거리가중법, 공동크리깅으로 작성한 1㎞ 공간해상도의 남한 강수 자료에서 강수 분포의 비교" 한국지리정보학회 16 (16): 147-163, 2013

      15 Miquel N, "Objective air temperature mapping for the Iberian Peninsula using spatial interpolation and GIS" 27 : 1231-1242, 2007

      16 Daly C, "Mapping the Climate of Puerto Rico, Vieques and Culebra" 23 : 1359-1381, 2003

      17 Ann C, "High-performance remote access to climate simulation data: a challenge problem for data grid technologies" 29 : 1335-1356, 2003

      18 Daly C., "Guidelines for assessing the suitability of spatial climate data sets" 26 : 707-721, 2006

      19 홍기옥, "GIS와 PRISM을 이용한 고해상도 격자형 기온자료 추정" 한국기상학회 17 (17): 255-268, 2007

      20 백경혜, "GIS를 활용한 KMA-RCM의 규모 상세화 기법 개발 및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 14 (14): 136-149, 2011

      21 정재준, "GIS 기반 기후지도 제작을 위한 내삽방법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소 6 (6): 159-170, 2011

      22 Girish P, "Cluster Analysis in Marketing Research: Review and Suggestions for Application" 20 (20): 134-148, 1983

      23 Kim YS, "Accuracy Comparison of Air Temperature Estimation using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according to Application of Temperature Lapse Rate Effect" 5 (5): 323-329, 2014

      24 KMA, "11-1360395-000252-01"

      25 KMA, "11-1360000-000002-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3 0.59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