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大東韻府群玉」의 編纂과 收藏 = Publication and Collection of Daedong-Unbugun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571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aedong-Unbugunok is the first type of encyclopedia published in Korea and has great significance. Through the name ‘Great east’ of the signature, we can see the willingness to emphasize Korea’s status and find its identity as a single country. In the early days, it was circulated as a manuscript signed as the Sinpyeon-Daedongunok, and then published as a woodblock copy in 1836. Later in 1914, Yukdang Choi Nam-seon was published as a new movable type by the Joseon Gwangmunhoe, and published in English by Jeongyangsa, Asea-moonhwasa, Nongkyung Publishing House, and Yihoe-moonhwasa. Its significance was indirectly confirmed through a collection of Daedong-Unbugunok in several important plac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current error in the quantity of the bookshelves of the Daedong-Unbugunok.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grasp the current status of the bookshelves and make great efforts to recover the lost plates based on this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Daedong-Unbugunok is the first type of encyclopedia published in Korea and has great significance. Through the name ‘Great east’ of the signature, we can see the willingness to emphasize Korea’s status and find its identity as a single count...

      The Daedong-Unbugunok is the first type of encyclopedia published in Korea and has great significance. Through the name ‘Great east’ of the signature, we can see the willingness to emphasize Korea’s status and find its identity as a single country. In the early days, it was circulated as a manuscript signed as the Sinpyeon-Daedongunok, and then published as a woodblock copy in 1836. Later in 1914, Yukdang Choi Nam-seon was published as a new movable type by the Joseon Gwangmunhoe, and published in English by Jeongyangsa, Asea-moonhwasa, Nongkyung Publishing House, and Yihoe-moonhwasa. Its significance was indirectly confirmed through a collection of Daedong-Unbugunok in several important plac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current error in the quantity of the bookshelves of the Daedong-Unbugunok.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grasp the current status of the bookshelves and make great efforts to recover the lost plates based on thi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동운부군옥」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간행한 유서로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 서명의 ‘大東’이라는 이름을 통해 우리나라의 위상을 강조하고, 단일국가로서의 정체성을 찾고자 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대동운부군옥」은 초기에는 「신편대동운옥」이란 서명의 필사본으로 유통되다가 1836년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이후 1914년 육당 최남선이 조선광문회에서 신연활자본으로 간행하였고, 정양사, 아세아문화사, 농경출판사, 이회문화사 등에서 영인본으로 발간하였다. 모리스 쿠랑, 이왕직도서실, 간송문고 등에서도 「대동운부군옥」을 수집한 것을 통해 「대동운부군옥」이 당시 갖고 있는 의의가 컸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 「대동운부군옥」 책판의 수량에 오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책판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실판 회수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대동운부군옥」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간행한 유서로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 서명의 ‘大東’이라는 이름을 통해 우리나라의 위상을 강조하고, 단일국가로서의 정체성을 찾고자 한 의...

      「대동운부군옥」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간행한 유서로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 서명의 ‘大東’이라는 이름을 통해 우리나라의 위상을 강조하고, 단일국가로서의 정체성을 찾고자 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대동운부군옥」은 초기에는 「신편대동운옥」이란 서명의 필사본으로 유통되다가 1836년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이후 1914년 육당 최남선이 조선광문회에서 신연활자본으로 간행하였고, 정양사, 아세아문화사, 농경출판사, 이회문화사 등에서 영인본으로 발간하였다. 모리스 쿠랑, 이왕직도서실, 간송문고 등에서도 「대동운부군옥」을 수집한 것을 통해 「대동운부군옥」이 당시 갖고 있는 의의가 컸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 「대동운부군옥」 책판의 수량에 오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책판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실판 회수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