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민간영역에서 제공하는 긴급복지지원사업의 심리⋅정서적, 경제적 효과성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간부문의 긴급복지지원사업이 나아가야 할 정책적 방향성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269385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67-193(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민간영역에서 제공하는 긴급복지지원사업의 심리⋅정서적, 경제적 효과성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간부문의 긴급복지지원사업이 나아가야 할 정책적 방향성에...
본 연구의 목적은 민간영역에서 제공하는 긴급복지지원사업의 심리⋅정서적, 경제적 효과성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간부문의 긴급복지지원사업이 나아가야 할 정책적 방향성에 대해 제시하는 것이다. 굿네이버스 위기가정 재기지원사업 3차년도 참여자(n=998)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 심리⋅정서적, 경제적 영향을 사전⋅사후 측정하였다. 분석방법은 대응표본 t-검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위기가정 재기지원사업은 심리⋅정서적, 경제적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지각된 스트레스 정도는 사후조사에서 사전조사보다 3.08점 감소하였고(t=17.57; p<.001; Cohen’sd=-.55), 가족건강성은 사전조사에 비해 .15점 상승하였다(t=-7.84; p<.001; Cohen’s d=.20). 경제적 상황에 대한 우려 역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는데, 사전조사 대비 사후조사에서는 .33점 감소하였다(t=-13.40; p<.001; Cohen’s d=-.48).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재원의 지속적 확보를 통한 현재 사업의 유지, 효과성 및 효율성 높은 민간사업을 공공영역으로 흡수, 지원기간과 관련된 시스템 정비를 정책적 방향성으로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홍원, "회복과 도약을 위한 사회복지, 보건의료 개혁과제와 정책 제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2 유영주 ; 이인수 ; 김순기 ; 최희진,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 Ⅱ (KFSS-Ⅱ) 개발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31 (31): 113-129, 2013
3 김태완, "코로나 19 민생 지원 특단의대책-포용적 회복을 위한 민생회복 방안" 2021
4 백혜정, "청소년 한부모가족 종합대책 연구 I: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52, 2012
5 이주미, "청년층 불평등 현황과 과제 : 노동시장, 소득 및 자산을 중심으로" 2022 (2022): 8-20, 2022
6 오승환, "저소득 편부모가족의 가족기능과 자녀의 심리사회적 특성 비교연구: 양친가족, 편부가족, 편모가족의 비교를 중심으로" 109-133, 2002
7 김필두,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 시범사업 평가 및 전달체계개편 모형개발" 보건복지부,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5
8 이용우 ; 이연실 ; 이준엽, "위기가정의 재기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자치행정학회 35 (35): 201-232, 2021
9 김태완, "우리나라 소득분배 진단과 사회보장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10 구인회 ; 손병돈 ; 엄기욱 ; 정재훈 ; 이수연, "외국인 이주자의 사회통합 방안 탐색: 영주권자에 대한 사회복지제도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29): 126-150, 2009
1 정홍원, "회복과 도약을 위한 사회복지, 보건의료 개혁과제와 정책 제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2 유영주 ; 이인수 ; 김순기 ; 최희진,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 Ⅱ (KFSS-Ⅱ) 개발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31 (31): 113-129, 2013
3 김태완, "코로나 19 민생 지원 특단의대책-포용적 회복을 위한 민생회복 방안" 2021
4 백혜정, "청소년 한부모가족 종합대책 연구 I: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52, 2012
5 이주미, "청년층 불평등 현황과 과제 : 노동시장, 소득 및 자산을 중심으로" 2022 (2022): 8-20, 2022
6 오승환, "저소득 편부모가족의 가족기능과 자녀의 심리사회적 특성 비교연구: 양친가족, 편부가족, 편모가족의 비교를 중심으로" 109-133, 2002
7 김필두,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 시범사업 평가 및 전달체계개편 모형개발" 보건복지부,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5
8 이용우 ; 이연실 ; 이준엽, "위기가정의 재기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자치행정학회 35 (35): 201-232, 2021
9 김태완, "우리나라 소득분배 진단과 사회보장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10 구인회 ; 손병돈 ; 엄기욱 ; 정재훈 ; 이수연, "외국인 이주자의 사회통합 방안 탐색: 영주권자에 대한 사회복지제도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29): 126-150, 2009
11 "신한 희망사회프로젝트. 신한 희망프로젝트 위기가정 재기지원"
12 여유진, "소득보장정책 전망과 과제 : 취약계층 지원제도를 중심으로" 2021 (2021): 23-34, 2021
13 김태성, "사회복지정책입문" 청목출판사 2017
14 남기철, "사회복지관 민간 위기가정지원사업의 효과와 과제" 99-124, 2015
15 강지원, "사회보장 분야 사각지대 축소와 부적정 지출 관리 방안 연구: 긴급지원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16 김희연,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지역중심의 복지체계 구축" (81) : 1-25, 2013
17 이선우, "빈곤예방강화를 위한 제도개선의 방향" 2011 (2011): 2011
18 이윤진, "북한이탈주민 빈곤 한부모 가정의 자녀양육 실태와 지원방안" 2020
19 최점숙, "노인의 빈곤 원인과 개선방안" 한국자치행정학회 23 (23): 461-480, 2009
20 여유진, "긴급지원제도 평가및 제도개선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21 보건복지부, "긴급복지지원제도 홍보물(시안 등)게제"
22 김진우, "긴급복지지원제도 추진 성과의 의미: 지원대상자 삶의 변화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6 (6): 103-128, 2012
23 신영아, "긴급복지지원법 제정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4 (4): 59-90, 2010
24 윤석진, "국민기초생활보장법과 긴급복지지원법상의 빈곤층 지원체계에 대한 입법평가" 한국법제연구원 2010
25 지은구, "공공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31 (31): 55-86, 2012
26 노대명, "경제위기에 따른 긴급지원제도 확대방안" 2009 (2009): 24-32, 2009
27 김지연, "경남 저소득 한부모가족을 위한 정책지원 방안" 1-167, 2018
28 Cohen, S.,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24 : 385-396, 1983
29 Conger, R. D., "A family process model of economic hardship and influences on adjustment of early adolescent boys" 63 : 526-541, 1992
사회적 가치의 이론과 현실: CSES Round Table에 대한 소고
노인장기요양보험 가정방문급여 이용 노인의 주거환경에 대한 질적 연구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강원지역 거주 장애인을 대상으로
공공기관 조직 내 갈등 구조 분석: 과학기술 공공연구조직에서의 연구-행정 갈등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