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서울시 일부 취약계층 노인에서 맞춤형 영양중재 프로그램에 따른 식품안정성 확보 및 건강·영양상태 개선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358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일부 취약계층 노인을 대상으로 맞춤형 영양교육과 보충식품으로 구성된 영양꾸러미를 제공하여 식품안정성 확보와 건강·영양 상태 개선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자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일부 취약계층 노인을 대상으로 맞춤형 영양교육과 보충식품으로 구성된 영양꾸러미를 제공하여 식품안정성 확보와 건강·영양 상태 개선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일부 자치구 내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 중 65세 이상 노인 372명이었다. 맞춤형 영양중재 프로그램은 맞춤 영양교육과 보충식품 제공인 2가지 요소로 구성되었고, 영양중재는 약 4개월간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효과평가를 위해서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식품안정성, 빈혈 여부, 간이영양평가도구 (MNA)를 활용한 영양불량 여부, 만성 질환관리 수준, 허약 여부가 조사되었다. 영양중재 프로그램 참여 이후, 대상자의 모든 영양소 섭취량이 프로그램 참여 이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권장섭취기준 대비 50%에 미치지 못했던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는 프로그램 참여 이후 50%를 넘게 섭취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이전 모든 대상자가 식품불안정 상태였으나 프로그램 참여 이후 37.1%가 식품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영양 상태에서는 불량과 위험은 감소하였고, 정상이 0%에서 29.8%로 증가하였으며, 빈혈에서는 정상이 18.7%에서 28.5%로 증가하였다. 또한, 질환관리 수준에서는 정기 및 집중관리 수준의 대상자 비율은 감소하였고, 자기역량 관리 수준이 0%에서 4.6% 증가하였으며, 허약 상태에서는 허약 및 허약 위험 비율은 감소한 반면, 정상 비율이 0%에서 9.7% 증가하였다. 연령별로 분석하였을 때, 80세 이상의 고령인 노인일수록 특히 만성질환수준의 관리와 허약 수준에 대한 개선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대상자는 질환을 갖고 있는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대상자로 경제적으로나 건강상태로나 매우 취약한 대상자로서 이들의 질환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유지하거나 개선시키는 부분은 매우 중요하며, 본 연구는 대상자들의 질환 관리 및 영양상태 개선을 위하여 질환별 보충식품의 제공 및 영양교육 등의 전문적인 관리를 통해서 영양 상태 향상뿐만 아니라 질환 개선까지의 가능성도 보여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s of a personalized nutritional intervention program on food security and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people in the city of Seoul. Methods: A total of 372 elderly adults aged 65 year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s of a personalized nutritional intervention program on food security and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people in the city of Seoul.
      Methods: A total of 372 elderly adults aged 65 years or above who resided in Seou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ersonalized supplementary food supply and nutritional education based on chronic disease status, disability and cooking ability were implemented for 4 month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nutrient intake, food security status, anemia status, chronic disease management, and frailty status, and prevalence of malnutrition (Mini Nutritional Assessment) were examined.
      Results: After the program, all subjects displayed significantly increased nutrient intake. Before the intervention, all subjects were in a state of food insecurity; however, after the intervention, 37.1% of the subjects were food secure. Moreover, the rates of being at risk of malnutrition and malnutrition in subjects were decreased and instead rate of those who improved to normal increased to 29.8% from 0% of normal rate before the prevention. The rate of subjects without anemia increased from 18.7% to 28.5% after the intervention. In addition, the rate of subjects with intensive or periodic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decreased, while those with occasional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increased from 0% to 4.6%. Furthermore, the rates of being at risk of frailty and frailty were decreased and the normal rate increased from 0% to 9.7% instead. Age group-based analysis showed that elderly people over 80 years showed less improvement in the management of the chronic disease status and the frailty status.
      Conclusion: Personalized supplementary food supplies and nutritional education improved not only the nutritional status but also disease status in vulnerable older adults, and the effects were more significant in adults aged less than 80 yea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연구방법
      • 결과
      • 고찰
      • ABSTRACT
      • 서론
      • 연구방법
      • 결과
      •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랑, "한국 식품 미보장 현황 및 특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29): 268-292, 2009

      2 양윤정, "한국 노인의 식품안정성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영양섭취상태 및 정신건강상태: 2008-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 (20): 30-40, 2015

      3 한규상, "한국 노인의 식습관 및 영양섭취 실태 평가: 국민건강영양조사 2013∼2015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8 (28): 258-271, 2018

      4 박은옥, "취약계층 노인의 연령별 허약정도와 관련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46 (46): 848-857, 2016

      5 한은희, "중고령층 가구주 연령집단별식품미보장 현황 및 관련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141-170, 2018

      6 배정숙, "전주지역 복지관 노인대상 영양교육 및 맞춤형 점심 급식 프로그램 효과"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8 (18): 65-76, 2013

      7 정영해, "전·후기 노인의 건강행위, 건강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0 (40): 55-64, 2014

      8 박희정,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식품지원 프로그램 효과+"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149-156, 2007

      9 도현주, "저소득층 노인을 위한 맞춤영양관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범 적용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6 (16): 716-729, 2011

      10 권성옥, "저소득층 노인에서 식품불안정과 사회경제적 지표, 건강상태,영양소 섭취와의 관련성" 한국영양학회 40 (40): 762-768, 2007

      1 김기랑, "한국 식품 미보장 현황 및 특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29): 268-292, 2009

      2 양윤정, "한국 노인의 식품안정성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영양섭취상태 및 정신건강상태: 2008-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 (20): 30-40, 2015

      3 한규상, "한국 노인의 식습관 및 영양섭취 실태 평가: 국민건강영양조사 2013∼2015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8 (28): 258-271, 2018

      4 박은옥, "취약계층 노인의 연령별 허약정도와 관련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46 (46): 848-857, 2016

      5 한은희, "중고령층 가구주 연령집단별식품미보장 현황 및 관련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141-170, 2018

      6 배정숙, "전주지역 복지관 노인대상 영양교육 및 맞춤형 점심 급식 프로그램 효과"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8 (18): 65-76, 2013

      7 정영해, "전·후기 노인의 건강행위, 건강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0 (40): 55-64, 2014

      8 박희정,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식품지원 프로그램 효과+"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149-156, 2007

      9 도현주, "저소득층 노인을 위한 맞춤영양관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범 적용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6 (16): 716-729, 2011

      10 권성옥, "저소득층 노인에서 식품불안정과 사회경제적 지표, 건강상태,영양소 섭취와의 관련성" 한국영양학회 40 (40): 762-768, 2007

      11 김화영, "일부지역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영양소 섭취, 영양위험도 및 생화학 지표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0 (10): 216-223, 2005

      12 최윤정,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서울 지역 노인의 체력, 영양상태,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40 (40): 270-280, 2007

      13 김기랑, "식품보장의 개념과 측정" 대한예방의학회 41 (41): 387-396, 2008

      14 추수경, "성남시 독거 노인의 맞춤형 영양 처방 음식 제공 프로그램 효과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0 (20): 467-475, 2007

      15 김영지,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취약계층 노인의 허약과 우울의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노인병학회 20 (20): 85-93, 2016

      16 이인숙,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등록 취약 노인의 허약수준과 건강관련 특성" 대한노인병학회 16 (16): 74-83, 2012

      17 이윤환, "근거중심의 노쇠 예방" 대한노인병학회 19 (19): 121-129, 2015

      18 양은주, "광주지역 저소득층 여자노인의 영양상태와 건강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 41 (41): 65-76, 2008

      19 김복희, "광주지역 일부 저소득층 여자노인에서 지역사회 영양중재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식행동 변화 및 영양상태 개선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27 (27): 495-506, 2014

      20 최정숙,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 성인 및 노인의 계절별 영양소 섭취실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668-678, 2004

      21 한경희, "간이 영양상태 평가법에 의한 급식서비스 이용 노인의 영양 위험도와 관련 요인" 한국영양학회 37 (37): 675-687, 2004

      22 김진구, "가족형태가 노인의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51) : 35-56, 2011

      23 Christ MA,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gerontologic nursing" HBJ 1994

      24 Sternberg SA, "The identification of frailty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59 (59): 2129-2138, 2011

      25 Oh YH, "The health status of older Koreans and policy considerations" 223 : 29-39, 2015

      26 Vellas B,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MNA)and its use in grading the nutritional state of elderly patients" 15 (15): 116-122, 1999

      27 Abellan van Kan G, "The I.A.N.A task force on frailty assessment of older people in clinical practice" 12 (12): 29-37, 2008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Global Prevalence of Anaemia in 2011" World Health Organization

      29 Statistics Korea,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17–2067)" Statistics Korea

      30 Donini LM, "Malnutrition in elderly : social and economic determinants" 17 (17): 9-15, 2013

      3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32 Walsh JR, "Hematologic disorders in the elderly" 135 (135): 446-454, 1981

      33 Whitson HE, "Frailty thy name is ... phrailty?" 62 (62): 728-730, 2007

      34 Yang IS, "Evaluation of home-delivered meals service program for home-bound elderly with low income class" 6 (6): 57-70, 2000

      35 Lee KE, "Development of tailored nutritional management model for vulnerable older adult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7

      36 Lee IS, "Development of practical guidelines for visiting health care professionals to promote health of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1

      37 Kim CO, "Conceptual defini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frailty" 1 : 85-93, 2011

      38 Statistics Korea, "2018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Statistics Korea

      3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Health Promotion Program Guideline (Home Visiting Healthcare Service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7-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영양학회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1 1.778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