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반말의 문법론적 교육 정체성 시론 = A Tentative Discussion of the Grammatical Education Identity of Korean Informal Speech(Banm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498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formal speech is more modal than its realized expressions. For thus reason, it is quite subjective. Most of the discussions on this topic focus on diagnosing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is type of speech in terms of sociology. However, informal speech can be said to be a “linguistic power” related to “intention and context,” “speakers and listeners,” and “significant events and backgrounds.” In this way, it emphasizes conversation for obscures the intention. In contrast, conversations are emphasized to emphasize intentions. The identity of this type of informal speech can best be defined through education. The educational goa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① to elucidate the difference between a sentence structure in which informal speech is realized and one in which it is not realized. ② to understand how informal speech is accepted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③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to explain when and how informal speech is properly used the speaker. ④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appropriateness of informal speech used in conversation. ⑤ to describe the exact expressions of Korean informal speech and explain how to create and use correct sentenc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번역하기

      Informal speech is more modal than its realized expressions. For thus reason, it is quite subjective. Most of the discussions on this topic focus on diagnosing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is type of speech in terms of sociology. However, informal s...

      Informal speech is more modal than its realized expressions. For thus reason, it is quite subjective. Most of the discussions on this topic focus on diagnosing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is type of speech in terms of sociology. However, informal speech can be said to be a “linguistic power” related to “intention and context,” “speakers and listeners,” and “significant events and backgrounds.” In this way, it emphasizes conversation for obscures the intention. In contrast, conversations are emphasized to emphasize intentions. The identity of this type of informal speech can best be defined through education. The educational goa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① to elucidate the difference between a sentence structure in which informal speech is realized and one in which it is not realized. ② to understand how informal speech is accepted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③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to explain when and how informal speech is properly used the speaker. ④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appropriateness of informal speech used in conversation. ⑤ to describe the exact expressions of Korean informal speech and explain how to create and use correct sentenc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Giddens, A., "현대사회학의 이해" 을유문화사 2018

      2 이유기, "현대국어 문장종결형식의 구조-청유문 종결형식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30) : 61-90, 2005

      3 유승무 ; 이태정, "한국인의 사회적 인정 척도와외국인에 대한 이중적 태도" 한국사회역사학회 9 (9): 275-311, 2006

      4 김광식, "한국사회에 반말공용화를 묻는다: 인지문화철학자의 반말 선언"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8) : 25-40, 2014

      5 이찬웅, "펠릭스 과타리의 ‘세 가지 생태학’: 주체성 생산과 ‘실존적 영토’를 중심으로" 이화인문과학원 15 (15): 7-25, 2022

      6 cjm1931053, "타이포브랜딩 폰트의 중요성"

      7 박정연 ; 황성욱, "인터넷 게임 방송 진행자의 언어 건전성 연구" 한국소통학회 15 (15): 41-81, 2016

      8 김광식, "인지문화철학으로 되짚어 본 말투를 통한 사회변혁 : 문성훈 교수의 ‘반말공용화 비판’에 대한 해명"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30) : 349-378, 2015

      9 조형일, "의사소통 기반 한국어 문법의 교육 방향성 일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49 : 171-197, 2021

      10 김정인, "의문형 종결어미 ‘-지’의 의미·화용적 기능의 분화" 어문연구학회 97 : 31-48, 2018

      1 Giddens, A., "현대사회학의 이해" 을유문화사 2018

      2 이유기, "현대국어 문장종결형식의 구조-청유문 종결형식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30) : 61-90, 2005

      3 유승무 ; 이태정, "한국인의 사회적 인정 척도와외국인에 대한 이중적 태도" 한국사회역사학회 9 (9): 275-311, 2006

      4 김광식, "한국사회에 반말공용화를 묻는다: 인지문화철학자의 반말 선언"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8) : 25-40, 2014

      5 이찬웅, "펠릭스 과타리의 ‘세 가지 생태학’: 주체성 생산과 ‘실존적 영토’를 중심으로" 이화인문과학원 15 (15): 7-25, 2022

      6 cjm1931053, "타이포브랜딩 폰트의 중요성"

      7 박정연 ; 황성욱, "인터넷 게임 방송 진행자의 언어 건전성 연구" 한국소통학회 15 (15): 41-81, 2016

      8 김광식, "인지문화철학으로 되짚어 본 말투를 통한 사회변혁 : 문성훈 교수의 ‘반말공용화 비판’에 대한 해명"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30) : 349-378, 2015

      9 조형일, "의사소통 기반 한국어 문법의 교육 방향성 일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49 : 171-197, 2021

      10 김정인, "의문형 종결어미 ‘-지’의 의미·화용적 기능의 분화" 어문연구학회 97 : 31-48, 2018

      11 홍민표, "배우자 동기간에 대한 언어행동의 한일대조 고찰 - 연령차를 중심으로 -" 일본연구소 48 : 301-324, 2016

      12 고광모, "반말체의 등급과 반말체 어미의 발달에 대하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30) : 3-27, 2001

      13 박은하, "드라마에 나타난 호칭어 및 높임법 사용 양상 연구" 한국드라마학회 (33) : 151-182, 2010

      14 조형일, "대화의 담화·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5 안태형, "네이버(Naver)기사에 딸린 악성 댓글의 실태" 우리말학회 (40) : 153-174, 2015

      16 교육부, "국어 활동 1학년 2학기" ㈜미래엔 2017

      17 교육부, "국어 2-1 나" ㈜미래엔 2017

      18 조민하, "구어 종결어미 ‘-잖아’의 화용적 특성과 억양의 기능; 여성 자유발화의 반말체를 중심으로" 한국화법학회 (28) : 165-194, 2015

      19 김명광, "격식체 어미와 통사적 접사 ‘-요’ 결합 관계에 대한 일고" 배달말학회 (53) : 1-22, 2013

      20 문성훈, "강한 선언, 혼란스런 근거: 김광식의 ‘반말공용화’에 대한 반론"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9) : 1-22, 2015

      21 문성훈, "【논 평】 김광식의 ‘반말공용화’에 대한 반론"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8) : 41-46, 2014

      22 정한데로, "‘형식명사+-요’ 구성에 관한 소고(小考) - 인터넷 통신 언어를 중심으로 -" 언어정보연구소 13 : 37-65,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