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iddens, A., "현대사회학의 이해" 을유문화사 2018
2 이유기, "현대국어 문장종결형식의 구조-청유문 종결형식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30) : 61-90, 2005
3 유승무 ; 이태정, "한국인의 사회적 인정 척도와외국인에 대한 이중적 태도" 한국사회역사학회 9 (9): 275-311, 2006
4 김광식, "한국사회에 반말공용화를 묻는다: 인지문화철학자의 반말 선언"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8) : 25-40, 2014
5 이찬웅, "펠릭스 과타리의 ‘세 가지 생태학’: 주체성 생산과 ‘실존적 영토’를 중심으로" 이화인문과학원 15 (15): 7-25, 2022
6 cjm1931053, "타이포브랜딩 폰트의 중요성"
7 박정연 ; 황성욱, "인터넷 게임 방송 진행자의 언어 건전성 연구" 한국소통학회 15 (15): 41-81, 2016
8 김광식, "인지문화철학으로 되짚어 본 말투를 통한 사회변혁 : 문성훈 교수의 ‘반말공용화 비판’에 대한 해명"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30) : 349-378, 2015
9 조형일, "의사소통 기반 한국어 문법의 교육 방향성 일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49 : 171-197, 2021
10 김정인, "의문형 종결어미 ‘-지’의 의미·화용적 기능의 분화" 어문연구학회 97 : 31-48, 2018
1 Giddens, A., "현대사회학의 이해" 을유문화사 2018
2 이유기, "현대국어 문장종결형식의 구조-청유문 종결형식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30) : 61-90, 2005
3 유승무 ; 이태정, "한국인의 사회적 인정 척도와외국인에 대한 이중적 태도" 한국사회역사학회 9 (9): 275-311, 2006
4 김광식, "한국사회에 반말공용화를 묻는다: 인지문화철학자의 반말 선언"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8) : 25-40, 2014
5 이찬웅, "펠릭스 과타리의 ‘세 가지 생태학’: 주체성 생산과 ‘실존적 영토’를 중심으로" 이화인문과학원 15 (15): 7-25, 2022
6 cjm1931053, "타이포브랜딩 폰트의 중요성"
7 박정연 ; 황성욱, "인터넷 게임 방송 진행자의 언어 건전성 연구" 한국소통학회 15 (15): 41-81, 2016
8 김광식, "인지문화철학으로 되짚어 본 말투를 통한 사회변혁 : 문성훈 교수의 ‘반말공용화 비판’에 대한 해명"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30) : 349-378, 2015
9 조형일, "의사소통 기반 한국어 문법의 교육 방향성 일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49 : 171-197, 2021
10 김정인, "의문형 종결어미 ‘-지’의 의미·화용적 기능의 분화" 어문연구학회 97 : 31-48, 2018
11 홍민표, "배우자 동기간에 대한 언어행동의 한일대조 고찰 - 연령차를 중심으로 -" 일본연구소 48 : 301-324, 2016
12 고광모, "반말체의 등급과 반말체 어미의 발달에 대하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30) : 3-27, 2001
13 박은하, "드라마에 나타난 호칭어 및 높임법 사용 양상 연구" 한국드라마학회 (33) : 151-182, 2010
14 조형일, "대화의 담화·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5 안태형, "네이버(Naver)기사에 딸린 악성 댓글의 실태" 우리말학회 (40) : 153-174, 2015
16 교육부, "국어 활동 1학년 2학기" ㈜미래엔 2017
17 교육부, "국어 2-1 나" ㈜미래엔 2017
18 조민하, "구어 종결어미 ‘-잖아’의 화용적 특성과 억양의 기능; 여성 자유발화의 반말체를 중심으로" 한국화법학회 (28) : 165-194, 2015
19 김명광, "격식체 어미와 통사적 접사 ‘-요’ 결합 관계에 대한 일고" 배달말학회 (53) : 1-22, 2013
20 문성훈, "강한 선언, 혼란스런 근거: 김광식의 ‘반말공용화’에 대한 반론"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9) : 1-22, 2015
21 문성훈, "【논 평】 김광식의 ‘반말공용화’에 대한 반론"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8) : 41-46, 2014
22 정한데로, "‘형식명사+-요’ 구성에 관한 소고(小考) - 인터넷 통신 언어를 중심으로 -" 언어정보연구소 13 : 37-65,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