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의 청소년 마약류 사용 대응 정책 고찰을 통한 국내 정책의 시사점 = Study on Domestic Policy Implications by US Youth Drug Use Countermeasures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82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recently newly attempted youth drug policy in Korea by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domestic policy on drug use among adolescents, which are becoming increasingly serious, and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number of juvenile drug offenders in Korea is rapidly increasing, and recently, the proportion of drug use is higher than that of hemp or psychotropic drugs among drugs, and they are subject to the same criminal punishment-oriented policy as adults. Second, the United States is approaching drug use-related crimes from a problem-solving perspective through treatment, rather than focusing on traditional criminal punishment. Third, the United States has a system that can derive an evidence-based approach through systematic data collection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criminal justice or therapeutic approaches. Fourth, the United States has established and is operating a centrally controlled drug response system centered on state agencies. Fifth, the United States is focusing on education on drug use prevention in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current juvenile drug offender management system needs to be checked, integrated management at the national level,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and the need for a change to treatment and recovery-oriented policie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recently newly attempted youth drug policy in Korea by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domestic policy on drug use among adolescents, which are becoming increasingly serious, and by analyz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recently newly attempted youth drug policy in Korea by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domestic policy on drug use among adolescents, which are becoming increasingly serious, and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number of juvenile drug offenders in Korea is rapidly increasing, and recently, the proportion of drug use is higher than that of hemp or psychotropic drugs among drugs, and they are subject to the same criminal punishment-oriented policy as adults. Second, the United States is approaching drug use-related crimes from a problem-solving perspective through treatment, rather than focusing on traditional criminal punishment. Third, the United States has a system that can derive an evidence-based approach through systematic data collection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criminal justice or therapeutic approaches. Fourth, the United States has established and is operating a centrally controlled drug response system centered on state agencies. Fifth, the United States is focusing on education on drug use prevention in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current juvenile drug offender management system needs to be checked, integrated management at the national level,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and the need for a change to treatment and recovery-oriented polic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날로 심각성을 더해가는 청소년 마약류 사용에 관한 실태와 국내 정책을 점검하고, 미국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최근에 새롭게 시도되고 있는 우리나라 청소년 마약 정책에대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나라의 청소년 마약류 사범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최근에는 마약류 중 대마나 향정신성의약품 보다 마약 사용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성인과 마찬가지로형사처벌 위주의 정책을 적용받고 있다. 둘째, 미국은 약물 사용과 관련된 범죄에 대해 기존전통적인 형사처벌 중심이 아닌 치료를 통한 문제해결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셋째, 미국은 형사사법적이나 치료적 접근의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을 통하여 증거에 기반한 접근 방식을 도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넷째, 미국은 국가 기관을 중심으로 중앙 통제적인 마약 대응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다섯째, 미국은 약물 사용 예방을 학교에서의 교육에 주력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재의 청소년 마약류 사범의 관리 체계 점검과 국가차원의 통합적 관리,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치료와 회복 중심의 정책으로 전환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날로 심각성을 더해가는 청소년 마약류 사용에 관한 실태와 국내 정책을 점검하고, 미국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최근에 새롭게 시도되고 있는 우리나라 청소년 마약 정책에대한 ...

      본 연구는 날로 심각성을 더해가는 청소년 마약류 사용에 관한 실태와 국내 정책을 점검하고, 미국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최근에 새롭게 시도되고 있는 우리나라 청소년 마약 정책에대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나라의 청소년 마약류 사범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최근에는 마약류 중 대마나 향정신성의약품 보다 마약 사용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성인과 마찬가지로형사처벌 위주의 정책을 적용받고 있다. 둘째, 미국은 약물 사용과 관련된 범죄에 대해 기존전통적인 형사처벌 중심이 아닌 치료를 통한 문제해결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셋째, 미국은 형사사법적이나 치료적 접근의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을 통하여 증거에 기반한 접근 방식을 도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넷째, 미국은 국가 기관을 중심으로 중앙 통제적인 마약 대응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다섯째, 미국은 약물 사용 예방을 학교에서의 교육에 주력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재의 청소년 마약류 사범의 관리 체계 점검과 국가차원의 통합적 관리,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치료와 회복 중심의 정책으로 전환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연, "청소년의 약물사용과 그 통제방안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원 16 (16): 293-318, 2004

      2 이양훈, "청소년의 약물남용에 미치는 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3 이정혁 ; 강동욱, "청소년의 마약류 등 유해약물남용에 대한 범죄실태와 대처방안" 한국소년정책학회 31 (31): 199-236, 2018

      4 김태우 ; 유수동 ; 한형서, "청소년마약류사범의 효과적인 재범예방을 위한실증분석: 서울지방경찰청 과학수사관을 중심으로" 국회입법조사처 12 (12): 317-338, 2020

      5 김성중, "청소년 환각물질흡입사범 실태분석 및 대책" 한국중독범죄학회 4 (4): 1-21, 2014

      6 이은영 ; 전연규, "청소년 신종마약사범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중독범죄학회 12 (12): 85-102, 2022

      7 공태명 ; 최응렬, "청소년 마약류범죄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21 (21): 9-40, 2012

      8 이투데이, "청소년 마약구매·도박중독 급증…여가부, 유해정보 점검 강화"

      9 여성가족부, "제4차 청소년보호종합대책" 2022

      10 박영규, "약물범죄자 처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교정학회 41 : 47-83, 2008

      1 정진연, "청소년의 약물사용과 그 통제방안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원 16 (16): 293-318, 2004

      2 이양훈, "청소년의 약물남용에 미치는 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3 이정혁 ; 강동욱, "청소년의 마약류 등 유해약물남용에 대한 범죄실태와 대처방안" 한국소년정책학회 31 (31): 199-236, 2018

      4 김태우 ; 유수동 ; 한형서, "청소년마약류사범의 효과적인 재범예방을 위한실증분석: 서울지방경찰청 과학수사관을 중심으로" 국회입법조사처 12 (12): 317-338, 2020

      5 김성중, "청소년 환각물질흡입사범 실태분석 및 대책" 한국중독범죄학회 4 (4): 1-21, 2014

      6 이은영 ; 전연규, "청소년 신종마약사범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중독범죄학회 12 (12): 85-102, 2022

      7 공태명 ; 최응렬, "청소년 마약류범죄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21 (21): 9-40, 2012

      8 이투데이, "청소년 마약구매·도박중독 급증…여가부, 유해정보 점검 강화"

      9 여성가족부, "제4차 청소년보호종합대책" 2022

      10 박영규, "약물범죄자 처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교정학회 41 : 47-83, 2008

      11 한우재 ; 이신영, "문제해결법원의 역량과 성공적인 프로그램 이수와의 관계:미국의 사례 검토를 통한 한국적 문제해결법원 도입의 함의" 아시아교정포럼 14 (14): 241-275, 2020

      12 법무부, "마약범죄 및 중요 민생침해범죄에 대한 엄정 대응 지시" 법제처

      13 박성수 ; 백민석, "마약류 범죄의 암수율 측정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8 (18): 151-170, 2019

      14 김학신, "마약류 관리법상 청소년의 마약범죄 실태와 이에 대한 대처방안" 법학연구소 36 (36): 469-505, 2012

      15 경남신문, "마약 손댄 10대들…‘펜타닐’ 불법 유통·투약 42명 덜미"

      16 유계숙 ; 최성일, "남자청소년의 약물남용 실태 및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과 소년원생을 대상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0 (10): 47-78, 2005

      17 "경기도의회"

      18 이재인, "가상화폐를 통해 범죄수익을 세탁하는 신종 텔레그램 범죄집단에 대한 규제 검토 - 인천 텔레그램 마약그룹방 수사 사례를 중심으로 -" 대검찰청 (74) : 202-230, 2022

      19 중앙일보, "‘10대 마약 학교’ 소년원·교도소…이러면 안잡혀, 더 배워 나온다"

      20 UNODC, "World drug report 2021" 2021

      21 UN, "The ICD-10th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diagnostic criteria for research" WHO 1993

      22 "SAMHSA"

      23 "OJP"

      24 "NIDA"

      25 Office of Juvenile Justice and Delinquency Prevention, "Juvenile drug treatment court guidelines"

      26 "DARE"

      27 "CDC"

      28 교육부, "2021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2022

      29 여성가족부, "2021 청소년 백서" 2022

      30 여성가족부, "2020년 청소년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접촉 실태조사" 2021

      31 교육부, "2016 학교 안전교육 7대영역 표준안"

      32 대검찰청, "2010-2021 마약류범죄백서" 2022

      33 중앙일보, "11배 늘어난 ‘10대 마약’…검찰 “미국식 마약청 검토"

      34 대검찰청, "10월 마약류월간동향"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