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제개발협력 사회에서 코로나19와 같은 초국가적인 보건 위기를 맞이하면서 보건의료분야의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특히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의 보건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89867
경산 :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5
학위논문(석사) --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 국제개발보건학과 , 2025. 2
2025
한국어
050 판사항(6)
경상북도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health care ODA pjojcets using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model
iii, 91 p. : 삽화, 도표 ; 26 cm
영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이경수, 이상호
I804:47017-20000087245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국제개발협력 사회에서 코로나19와 같은 초국가적인 보건 위기를 맞이하면서 보건의료분야의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특히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의 보건의...
현재 국제개발협력 사회에서 코로나19와 같은 초국가적인 보건 위기를 맞이하면서 보건의료분야의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특히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의 보건의료 사업이 빈곤의 악순환을 저지시키고 경제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는 현실을 비추어 볼 때 보건의료분야의 공적개발원조의 중요성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보건의료 ODA 사업에서의 일차보건의료 중요성, 지역사회 기반의 주민참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데서 문제의식이 출발하였다. 따라서, CBPR 모형을 바탕으로 보건의료 ODA 사업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분석하고 지속가능한 보건의료 ODA 사업을 추진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2018년부터 2024년까지 KOICA 평가실에 보고된 KOICA 프로젝트형 보건의료 사업 89건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일차보건의료 필수 요소에 기반하여 사업의 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다중응답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요 보건문제와 그 예방 및 관리에 대한 교육이 76건(85.4%) 가장 높게 나타났다.
KOICA 보건의료 ODA 사업의 ‘지역사회 조직 및 주민의 참여과정’ 분석 결과 89건 중 13건(14.6%)이 사업기획과정 – 시행과정 – 지속과정에서 ‘지역사회 및 주민’의 참여가 나타났다. 13개 사업 중 전 과정에 지역사회 조직 및 주민참여가 반영된 사업은 4건이다. CBPR에 바탕으로 5단계로 재구성한 분석의 틀을 활용하여 4건의 KOICA 보건의료 ODA 사업을 분석하였다.
보건의료분야 ODA 프로그램 기획단계에서 주민의 필요를 사업에 최대한 반영하여 참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시행단계에서는 주민과 정부가 공동협력과 책임을 공유하는 사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사업이 종료된 후에도 예산 확보 및 주민참여를 통한 지속가능한 보건의료 ODA 사업이 추진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ociety is faced with a transnational health crisis such as COVID-19. Interest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e health and medical field has increased more than ever. In particular, c...
Currently,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ociety is faced with a transnational health crisis such as COVID-19. Interest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e health and medical field has increased more than ever.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health and medical projects in most developing countries can stop the vicious cycle of poverty and lay the foundation for economic growth, the importance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the health and medical field can be judged to be high.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roblem awareness tha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importance of primary health care and community-based resident participation in health care ODA projects. Therefore, based on the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CBPR) model, I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health care ODA projects and attempted to contribute to promoting sustainable health care ODA projects.
The analysis subjects were 89 KOICA project-type health and medical projects reported to the KOICA Evaluation Office from 2018 to 2024.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project type based on the essential elements of primary health care.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sponse frequency analysis, education on major health issues and their prevention and management was the highest at 76 cases (45.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munity organization and resident participation process’ of KOICA health and medical ODA projects, only 13 out of 89 cases (14.6%) showed ‘community and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planning process – implementation process – continuation process. Out of the 13 projects, only 4 projects reflected community organization and resident participation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The KOICA health and medical ODA 4 projects were analyzed using the framework of analysis reconstructed into 5 stages based on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CBPR).
In the planning stage of the ODA project in the health and medical fiel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needs of residents to the greatest extent possible in the project and participate in it. In the implementation stage, projects should be promoted in which residents and the government share joint cooperation and responsibility. Even after the project is completed, it is necessary to promote sustainable health and medical ODA projects through securing a budget and resident particip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