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홍수 저감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농경지의 저류지화를 통한 홍수저감 방안에 대한 정책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하천의 횡적 공간을 확보하여 저류지로 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23964
2011
Korean
횡적 하천공간 ; 극한홍수 ; 농경지 ; 지역권 ; LISFLOOD 모형 ; lateral river space ; extreme flood ; farmlands ; conservation easement ; LISFLOOD model
321.33
KCI등재
학술저널
787-795(9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홍수 저감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농경지의 저류지화를 통한 홍수저감 방안에 대한 정책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하천의 횡적 공간을 확보하여 저류지로 활...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홍수 저감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농경지의 저류지화를 통한 홍수저감 방안에 대한 정책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하천의 횡적 공간을 확보하여 저류지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실효성 검증을 위해 낙동강구미 상류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극한홍수에 대한 홍수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홍수저감효과분석에는 LISFLOOD 모델이 사용되었으며 과거 침수이력이 있는 농경지를 저류지로 활용 하였을 경우 500년 빈도 홍수 발생 시 최대 약 0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treme water events such as heavy rainfalls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are continually increasing and their scale has also shown an increasing trend. To overcome these natural disasters, this policy study suggests securing lateral river space as an...
Extreme water events such as heavy rainfalls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are continually increasing and their scale has also shown an increasing trend. To overcome these natural disasters, this policy study suggests securing lateral river space as an eff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수만, "홍수범람해석모형을 이용한 침수피해 저감방안 연구 - 진위천 하천구간을 대상으로 -" 대한토목학회 27 (27): 583-590, 2007
2 건설교통부, "한국수문조사연보" 2006
3 한건연, "하천에서 천변저류지의 홍수저감효과 분석" 대한토목학회 233-236, 2005
4 환경부, "토지임차제·휴경보상제 등 매수제 대안의 타당성 연구" 2001
5 이미연, "천변저류지의 토지보상방안에 대한 비용효과분석:낙동강 유역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5
6 박창근, "천변저류지를 활용한 화포천 유역에서의 홍수조절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331-335, 2007
7 전경수, "천변저류지 홍수조절 효과의 불확실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267-270, 2006
8 곽재원,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효과분석 : (1) 홍수조절 및 생태적인 효과" 대한토목학회 30 (30): 13-21, 2010
9 김덕길,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수리·수문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1 (41): 483-489, 2008
10 국토해양부, "천변저류지 조성 촉진 및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 2008
1 강수만, "홍수범람해석모형을 이용한 침수피해 저감방안 연구 - 진위천 하천구간을 대상으로 -" 대한토목학회 27 (27): 583-590, 2007
2 건설교통부, "한국수문조사연보" 2006
3 한건연, "하천에서 천변저류지의 홍수저감효과 분석" 대한토목학회 233-236, 2005
4 환경부, "토지임차제·휴경보상제 등 매수제 대안의 타당성 연구" 2001
5 이미연, "천변저류지의 토지보상방안에 대한 비용효과분석:낙동강 유역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5
6 박창근, "천변저류지를 활용한 화포천 유역에서의 홍수조절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331-335, 2007
7 전경수, "천변저류지 홍수조절 효과의 불확실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267-270, 2006
8 곽재원,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효과분석 : (1) 홍수조절 및 생태적인 효과" 대한토목학회 30 (30): 13-21, 2010
9 김덕길,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수리·수문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1 (41): 483-489, 2008
10 국토해양부, "천변저류지 조성 촉진 및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 2008
11 소방방재청, "주요통계 및 자료"
12 소방방재청, "재해연보" 2006
13 강형식, "유역 모형과 하천 모형의 연계를 통한 낙동강 본류 흐름 예측" 한국수자원학회 44 (44): 577-590, 2011
14 안태진, "수문학적 홍수저감효과 기반의 천변저류지 최적위치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41 (41): 725-735, 2008
15 국토해양부, "낙동강유역종합치수계획 보고서" 2009
16 국토해양부, "낙동강수계 하천기본계획 보고서" 2009
17 금강수계관리위원회, "금강수계 토지매수 및 관리 기본계획 수립 연구" 2007
18 안태진, "경제성 분석에 의한 강변저류지 최적위치 선정에 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43 (43): 681-694, 2010
19 Bates, P.D., "Simplified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ling of coastal flooding and example applications" 52 : 793-810, 2005
20 Hunter, N.M., "Simple spatial-distributed models for predicting flood inundation: A review" 90 : 208-225, 2007
21 Dawson, R.J., "Quantified analysis of the probability of flooding in the thames estuary under the imaginable worst-case sea level rise scenario" 21 : 577-51, 2005
22 Bates, P.D., "LISFLOOD-FP User manual and technical note" University of Bristol, UK 2005
23 Bates, P.D., "A simple raster- based model for floodplain inundation" 236 : 54-77, 2000
24 Purvis, M.J., "A probabilistic methodology to estimate future coastal flood risk due to sea level rise" 55 : 1062-1073, 2008
25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2010년 자연재난조사 및 복구게획수립 지침"
AHP 기법의 적용시 발생하는 순위의 불일치성 (Ranking Abnormality)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5 | 0.54 | 0.781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