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궁 경부 용종의 세포학적 소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693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 경 자궁 경관의 용종은 선상피(원주상피)로 덮혀있는 유경성 양성 증식물(pedunculated benign growth)이다. 주로 폐경기 이후 여성(postmenopausal women)에게서 더욱 흔하게 발생하고 모양은 선형(glandular type) 또는 섬유형(fibrous type)으로 구분된다. 급성 또는 만성 외상성 자극의 결과로 생기며, 용종의 표면이 가끔 편평 화생(squamous metaplasia)이나 궤양(ulceration) 부위를 나타낸다. 느슨한 기질(loose stroma)인 중심부는 가끔 부종(edema)이 있고, 염증성 세포들이 침윤되어 있다. 특히 용종의 모양이 섬유형(fibrous type)이면 세포학적으로 진단하기가 어렵다. 도말은 일반적으로 염증세포들이 증가되어 호중구(neutropils), 림프구(lymphocytes), 형질 세포(plasma cells) 및 조직구(histiocytes) 들과 간혹 이물체 거대세포(foreign-body giant cell)들이 관찰된다. 또한 용종은 악성 변화를 일으키는 일이 거의 없다고는 하나 매우 드물게 경부 암종의 시발점이 된다고 추측하기도 한다.흔히 세포학적 진단을 할 수 없는 양성 종양이라 생각되어 쉽게 간과되거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본원에서 조직 결과로 확인된 자궁 경부 용종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증 례 환자는 48세 된 여자로 기능성 부정출혈(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을 주소로 Pap smear를 시행하였다. 전체적으로 혈성 도말의 배경에 내경부 상피 세포들은 정상보다 매우 길쭉해지고 커져있었고 핵은 진하게 보였다. 또한 화생성 편평 상피세포들이 군데군데 관찰되었으며 내경부 상피세포들과 마찬가지로 핵이 진하게 보였으나 균일하였다. 이상의 세포학적 소견으로 atypical glandular cells (AGC), favor reactive endocervical cells 으로 진단하였으며 조직학적 진단은 Endocervical polyp 으로 확인되었다. 고 찰 경관 용종의 도말상 배경은 과립상의 혈청 단백 침전물 (granular serum protein precipitates) 때문에 지저분하게 나타난다. 또한 내경부 및 내막 세포들은 화생성 호산성 편평세포(metaplastic eosinophilic squamous cells)와 함께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다. 이 세포들은 단독으로, 선(glandular) 또는 용종양 선방(Polypoid acini)을 형성하면서 커다란 판상으로 탈락한다. 세포들의 세포질은 풍부하고 핵은 원형 내지 난원형으로서 양성으로 보인다. 핵의 크기와 모양은 다양한 변이를 나타내며 염색질은 굵고 균일하게 분포하고 핵막은 평탄하다. 이들 활동성이 강한 endocervical cells 이외에, 도말에는 상당수의 작은 과각화 세포(hyperkeratinized cell)들이 출현하는데, 이 과각화 세포들은 비교적 크고, 진한 농축 핵(pyknotic nuclei)을 갖는다. 이로 인해 편평상피이상 (ASCUS)으로 진단되는 경우도 있으나 도말상의 이상 세포들은 용종의 압력에 의해 표면이 각화된 비정형 편평 화생(atypical squamous metaplasia)으로 생각된다. 이 세포들은 보통 판상으로 출현하여 용종들이 제거된 후에는 경부 질 도말에서 더 이상 관찰되지 않는다. 결 론 경관 용종의 세포학적 확진은 일반적으로 용이하지 않으나 작은 용종이 경관의 소파(curettage)와 같은 시술적 조작(surgical intervention)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탈락되었을때는 세포학적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자궁 경부에 발생하는 용종은 양성 종양이니만큼 자궁경부 질 도말 검사에서 간과되기 쉬우나 위의 증례에서처럼 상피 세포들의 특징을 고려하여 주의깊게 관찰한다면 세포학적 진단의 한계를 한층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배 경 자궁 경관의 용종은 선상피(원주상피)로 덮혀있는 유경성 양성 증식물(pedunculated benign growth)이다. 주로 폐경기 이후 여성(postmenopausal women)에게서 더욱 흔하게 발생하고 모양은 선형(glan...

      배 경 자궁 경관의 용종은 선상피(원주상피)로 덮혀있는 유경성 양성 증식물(pedunculated benign growth)이다. 주로 폐경기 이후 여성(postmenopausal women)에게서 더욱 흔하게 발생하고 모양은 선형(glandular type) 또는 섬유형(fibrous type)으로 구분된다. 급성 또는 만성 외상성 자극의 결과로 생기며, 용종의 표면이 가끔 편평 화생(squamous metaplasia)이나 궤양(ulceration) 부위를 나타낸다. 느슨한 기질(loose stroma)인 중심부는 가끔 부종(edema)이 있고, 염증성 세포들이 침윤되어 있다. 특히 용종의 모양이 섬유형(fibrous type)이면 세포학적으로 진단하기가 어렵다. 도말은 일반적으로 염증세포들이 증가되어 호중구(neutropils), 림프구(lymphocytes), 형질 세포(plasma cells) 및 조직구(histiocytes) 들과 간혹 이물체 거대세포(foreign-body giant cell)들이 관찰된다. 또한 용종은 악성 변화를 일으키는 일이 거의 없다고는 하나 매우 드물게 경부 암종의 시발점이 된다고 추측하기도 한다.흔히 세포학적 진단을 할 수 없는 양성 종양이라 생각되어 쉽게 간과되거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본원에서 조직 결과로 확인된 자궁 경부 용종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증 례 환자는 48세 된 여자로 기능성 부정출혈(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을 주소로 Pap smear를 시행하였다. 전체적으로 혈성 도말의 배경에 내경부 상피 세포들은 정상보다 매우 길쭉해지고 커져있었고 핵은 진하게 보였다. 또한 화생성 편평 상피세포들이 군데군데 관찰되었으며 내경부 상피세포들과 마찬가지로 핵이 진하게 보였으나 균일하였다. 이상의 세포학적 소견으로 atypical glandular cells (AGC), favor reactive endocervical cells 으로 진단하였으며 조직학적 진단은 Endocervical polyp 으로 확인되었다. 고 찰 경관 용종의 도말상 배경은 과립상의 혈청 단백 침전물 (granular serum protein precipitates) 때문에 지저분하게 나타난다. 또한 내경부 및 내막 세포들은 화생성 호산성 편평세포(metaplastic eosinophilic squamous cells)와 함께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다. 이 세포들은 단독으로, 선(glandular) 또는 용종양 선방(Polypoid acini)을 형성하면서 커다란 판상으로 탈락한다. 세포들의 세포질은 풍부하고 핵은 원형 내지 난원형으로서 양성으로 보인다. 핵의 크기와 모양은 다양한 변이를 나타내며 염색질은 굵고 균일하게 분포하고 핵막은 평탄하다. 이들 활동성이 강한 endocervical cells 이외에, 도말에는 상당수의 작은 과각화 세포(hyperkeratinized cell)들이 출현하는데, 이 과각화 세포들은 비교적 크고, 진한 농축 핵(pyknotic nuclei)을 갖는다. 이로 인해 편평상피이상 (ASCUS)으로 진단되는 경우도 있으나 도말상의 이상 세포들은 용종의 압력에 의해 표면이 각화된 비정형 편평 화생(atypical squamous metaplasia)으로 생각된다. 이 세포들은 보통 판상으로 출현하여 용종들이 제거된 후에는 경부 질 도말에서 더 이상 관찰되지 않는다. 결 론 경관 용종의 세포학적 확진은 일반적으로 용이하지 않으나 작은 용종이 경관의 소파(curettage)와 같은 시술적 조작(surgical intervention)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탈락되었을때는 세포학적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자궁 경부에 발생하는 용종은 양성 종양이니만큼 자궁경부 질 도말 검사에서 간과되기 쉬우나 위의 증례에서처럼 상피 세포들의 특징을 고려하여 주의깊게 관찰한다면 세포학적 진단의 한계를 한층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