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 기숙사의 화재 및 피난 안전성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195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 기숙사에서 화재 발생 시 피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실내온도 60 ℃, 가시거리 5 m, CO 1,400 ppm, O2 15%, CO2 5% 등의 인명안전기준...

      본 연구는 학교 기숙사에서 화재 발생 시 피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실내온도
      60 ℃, 가시거리 5 m, CO 1,400 ppm, O2 15%, CO2 5% 등의 인명안전기준을 적용하여 피난허용시간(ASET)을 산출하였다.
      또한, 화재 발생 시 재실자의 감지, 경보, 인지, 해석, 피난개시 등과 훈련 상태, 경보설비 등을 적용하여 피난소요시간(RSET)을
      산출하였다. 피난허용시간과 피난소요시간을 비교⋅분석한 결과, 화재 발생 시 화재발생지점을 우회하여 신속하게 대피하기
      위해서는 평소 이동하는 출입로 외에도 다양한 피난로를 확보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화재로 인해 건물 내부의
      각 위치마다 유독 가스, 산소, 열, 가시거리, 연기 등의 영향으로 피난허용시간이 차이가 나게 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화재 발생 시 학생들 간의 혼선과 병목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계획된 피난로를 따라 피난하는 것이 피난안전성에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마지막으로 화재가 어느 곳에서 발생할 모르는 상황에서 화재 발생 위치에 맞는 피난로를 지정하여야
      피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pare an optimal plan to secure evacuation safety in the event of a fire in a school dormitory. Accordingly, the available safe egress time (ASET) was calculated by applying human safety standards, such as an indoor temperature o...

      This study aims to prepare an optimal plan to secure evacuation safety in the event of a fire in a school dormitory. Accordingly,
      the available safe egress time (ASET) was calculated by applying human safety standards, such as an indoor temperature of 60
      ℃, a visual distance of 5 m, CO at 1,400 ppm, O2 at 15% and CO2 at 5%. Additionally, in the event of a fire, the 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 was calculated by applying factors such as detection, alarm, recognition, interpretation, the evacuation
      start of the occupants, training status, and the alarm facilities. An analysis of the ASET and RSET showed that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necessary to secure various evacuation routes, in addition to the usual access route, to evacuate quickly by bypassing
      the fire occurrence point.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ASET varied at each point inside the building, owing to the influences
      of toxic gases, oxygen, heat, visibility, and smoke resulting from the fire. In addition, in the event of a fire, evacuating along
      a planned evacuation route designed to minimize confusion and bottlenecks among students was effective for evacuation safety.
      Finally, it was found that evacuation safety can be secured by designating evacuation routes that are suitable for use in situation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fire is unknow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