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군담소설(軍談小說)과 <서주연의(西周演義)> = Korean war novels and Seojuyeonui(西周演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278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ar novels show considerable differences from the early novels, and there are exot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female general. Therefore many studies on the relation to Chinese novels have been made. In the previous studies, Suingujeon(薛仁貴傳) was identified as the closest work to Korean war novels. However, as a result of closely examining the contents of Sulinguijeon and the sequel,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pointed out in common with War novels in the previous studies were not the characteristics of Sulinguajeon b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quel texts that only have been published since 1920s.
      This study identified three types of tangible characteristics shared by many War novels: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er and disciple through Taoism', 'the acquisition of magical items', and the battle of surrealistic Taoist magic'. And this study looked for works that had similar characteristics and were clearly identified to have been read before the popularization of war novels. As a result, I came to pay attention to Seojuyeonui(西周演意 ) which belongs to the type of Shirma(神魔) novels. Seojuyeonui has many similarities to war novels of Joseon Dynasty in that there are many female generals along with the three features mentioned above. For more full-scale discussion, it is necessary to extensively examine the overall Chinese Shirma novels introduced into Joseon, including Pyeongyojeon(平妖傳) and Yeoseonouisa(女仙外史). This study is a study that attempted to pay attention to the genre of Chinese Shima novels, escaping from the existing discussions that mentioned only Samgukjiyeonui(三國志演義) and Suinguajeon as the background of the Apearance of war novels in the Joseon Dynasty.
      번역하기

      War novels show considerable differences from the early novels, and there are exot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female general. Therefore many studies on the relation to Chinese novels have been made. In the previous studies, Suingujeon(薛仁貴傳)...

      War novels show considerable differences from the early novels, and there are exot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female general. Therefore many studies on the relation to Chinese novels have been made. In the previous studies, Suingujeon(薛仁貴傳) was identified as the closest work to Korean war novels. However, as a result of closely examining the contents of Sulinguijeon and the sequel,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pointed out in common with War novels in the previous studies were not the characteristics of Sulinguajeon b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quel texts that only have been published since 1920s.
      This study identified three types of tangible characteristics shared by many War novels: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er and disciple through Taoism', 'the acquisition of magical items', and the battle of surrealistic Taoist magic'. And this study looked for works that had similar characteristics and were clearly identified to have been read before the popularization of war novels. As a result, I came to pay attention to Seojuyeonui(西周演意 ) which belongs to the type of Shirma(神魔) novels. Seojuyeonui has many similarities to war novels of Joseon Dynasty in that there are many female generals along with the three features mentioned above. For more full-scale discussion, it is necessary to extensively examine the overall Chinese Shirma novels introduced into Joseon, including Pyeongyojeon(平妖傳) and Yeoseonouisa(女仙外史). This study is a study that attempted to pay attention to the genre of Chinese Shima novels, escaping from the existing discussions that mentioned only Samgukjiyeonui(三國志演義) and Suinguajeon as the background of the Apearance of war novels in the Joseon Dynas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군담소설은 초기 소설과 서사전개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며 여장이 활약하는 등 이채로운 장면이 많아 연구사의 초기부터 중국소설과의 관련 양상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선행연구에서는 설인귀전 을 군담소설과 가장 근접한 작품으로 지목한 바 있다 그러나 이글에서 설인귀전 과 후속편의 내용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선행연구에서 군담소설과의 공통점으로 지적한 특징들은 설인귀전 이 아니라 년대 이후 구활자본으로 출판된 이본만이 남아있는 후속편들에서만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본고는 다수 군담소설이 공유하고 있는 유형적 특징으로 도술을 매개로 한 사제관계 신이한 주보의 획득 초현실적인 도술전투의세 가지를 꼽았다 그리고 이와 유사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군담소설이 유행하기 이전에 읽혔음이 확실하게 밝혀진 작품을 찾아보았다그 결과 신마소설 유형에 속하는 서주연의 에 주목하게 되었다서주연의 는 앞의 세 가지 특징과 함께 다수의 여장이 활약한다는점에서 조선조 군담소설과 유사한 점이 많았다 본고의 논의는 조선조 군담소설의 출현배경으로 삼국지연의 와 설인귀전 만을 언급한 기존의 논의와 달리 중국의 신마소설 장르에 주목하려는 문제의식에서 시도된 시론이라 할 수 있다 보다 본격적인 논의를 위해서는평요전 여선외사 등을 포함해 조선에 유입된 중국 신마소설 전반에 대한 폭넓은 고찰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군담소설은 초기 소설과 서사전개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며 여장이 활약하는 등 이채로운 장면이 많아 연구사의 초기부터 중국소설과의 관련 양상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선행연구...

      군담소설은 초기 소설과 서사전개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며 여장이 활약하는 등 이채로운 장면이 많아 연구사의 초기부터 중국소설과의 관련 양상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선행연구에서는 설인귀전 을 군담소설과 가장 근접한 작품으로 지목한 바 있다 그러나 이글에서 설인귀전 과 후속편의 내용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선행연구에서 군담소설과의 공통점으로 지적한 특징들은 설인귀전 이 아니라 년대 이후 구활자본으로 출판된 이본만이 남아있는 후속편들에서만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본고는 다수 군담소설이 공유하고 있는 유형적 특징으로 도술을 매개로 한 사제관계 신이한 주보의 획득 초현실적인 도술전투의세 가지를 꼽았다 그리고 이와 유사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군담소설이 유행하기 이전에 읽혔음이 확실하게 밝혀진 작품을 찾아보았다그 결과 신마소설 유형에 속하는 서주연의 에 주목하게 되었다서주연의 는 앞의 세 가지 특징과 함께 다수의 여장이 활약한다는점에서 조선조 군담소설과 유사한 점이 많았다 본고의 논의는 조선조 군담소설의 출현배경으로 삼국지연의 와 설인귀전 만을 언급한 기존의 논의와 달리 중국의 신마소설 장르에 주목하려는 문제의식에서 시도된 시론이라 할 수 있다 보다 본격적인 논의를 위해서는평요전 여선외사 등을 포함해 조선에 유입된 중국 신마소설 전반에 대한 폭넓은 고찰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472, 1977

      2 민관동, "한국 소장 중국통속소설의 판본목록과 해제" 학고방 1-574, 2013

      3 이재수, "한국 소설 발달 단계에 있어서 중국소설의 영향" 경북대학교 1 : 43-, 1956

      4 정규복, "한국 군담류소설의 제 문제 – 소설사의 시정을 위하여 -" 국어국문학회 34・35 : 307-318, 1967

      5 조수삼, "추재기이" 한겨레출판사 2010

      6 김태준, "증보조선소설사" 한길사 1-280, 1990

      7 루쉰, "중국소설사" 소명출판 1-882, 2004

      8 민관동, "중국 고전소설의 전파와 수용 – 한국편 -" 아세아문화사 1-434, 2007

      9 "조웅전(완판104장본)"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73

      10 유수민, "조선후기 한글소설 《강태공전》의 《封神演義》 번안 양상 小考" 한국중국소설학회 (50) : 73-99, 2016

      1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472, 1977

      2 민관동, "한국 소장 중국통속소설의 판본목록과 해제" 학고방 1-574, 2013

      3 이재수, "한국 소설 발달 단계에 있어서 중국소설의 영향" 경북대학교 1 : 43-, 1956

      4 정규복, "한국 군담류소설의 제 문제 – 소설사의 시정을 위하여 -" 국어국문학회 34・35 : 307-318, 1967

      5 조수삼, "추재기이" 한겨레출판사 2010

      6 김태준, "증보조선소설사" 한길사 1-280, 1990

      7 루쉰, "중국소설사" 소명출판 1-882, 2004

      8 민관동, "중국 고전소설의 전파와 수용 – 한국편 -" 아세아문화사 1-434, 2007

      9 "조웅전(완판104장본)"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73

      10 유수민, "조선후기 한글소설 《강태공전》의 《封神演義》 번안 양상 小考" 한국중국소설학회 (50) : 73-99, 2016

      11 오타니 모리시게, "조선후기 소설독자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출판부 1-216, 1985

      12 서혜은, "조선시대 <봉신연의>의 향유 양상과 그 독자의식" 배달말학회 (64) : 85-114, 2019

      13 정병설, "조선 후기 한글 방각소설의 전국적 유통 가능성에 대한 시론" 강진다산실학연구원 3 : 115-133, 2010

      14 서대석, "이조번안소설고-설인귀전을 중심하여-" 국어국문학회 52 : 49-74, 1971

      15 "유충렬전(완판86장본)"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73

      16 조동일, "영웅의 일생, 그 문학사적 전개"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10 : 165-, 1971

      17 이옥, "역주 이옥전집 2" 소명출판 2001

      18 조동일, "소설의 사회사 비교론 2" 지식산업사 1-364, 2001

      19 "소대성전(경판16장본)"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73

      20 장경남, "셔쥬연의" 이회문화사 2003

      21 "설정산실기"

      22 인천대학 민족문화연구소, "서정기" 1983

      23 오다 이쿠고로, "상서기문" 이회 2005

      24 "번이화정서"

      25 이홍란, "낙선재본 『서주연의』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8

      26 김동욱, "군담소설의 도술화소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27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392, 1985

      28 조희웅, "고전소설 연구보정 상" 박이정 1-831, 2006

      29 주형예, "강태공전:초역(抄譯) 현상을 통해 본 방각본 소설시장의 일면" 열상고전연구회 (57) : 187-220, 2017

      30 손홍, "강태공 소재 소설의 번안 양상과 그 의미"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9

      31 이강엽, "軍談小說 硏究方法論"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3

      32 "说唐全传" 岳麓书社 2002

      33 朴在淵, "朝鮮時代 中國 通俗小說 飜譯本의 연구 : 樂善齋本을 중심으로"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1993

      34 李錦宰, "「薛仁貴傳」의 「薛仁貴征東」 受容과 그 意味"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0

      35 김현양, "‘영웅군담소설’의 연구사적 조망" 민족문학사학회 (46) : 168-195, 2011

      36 최수현, "<임씨삼대록>에 나타난 도술의 특징과 그 기능 -애정 욕망 발현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43) : 127-159, 2017

      37 이윤석, "<설인귀전>의 원천에 대하여" 연민학회 9 : 195-, 2001

      38 이유진, "<설인귀전> 이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39 이윤석, "<설인귀전> 고" 효성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실 7 : 35-, 1983

      40 최현민, "<서주연의>의 번역 양상과 그 의미" 고려대학교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1 2.30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