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명주보월빙>에 나타난 요괴(妖怪) 연구 -여우 신묘랑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onsters in MyongJuBoWallBing - Focusing on Fox Shinmyorang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278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narrative meaning of the key monster of Myong JuBoWalBing, fox Shinmyorang. Appearing in 50 out of the 100 episodes, Shinmyorang plays an important narrative role as well as serves as a reactionary character that causes conflicts with humans.
      Compared with other monsters in this novel and other stories, Shimmyorang has two unique aspects: First, Shimmyorang starts a total of 8 different battles by conspiring with more than ten villains. Second, Shinmyorang is punished by Heaven for disrespecting a virtuous man, even after realizing that he can never harm the man In addition, it is described that these two characteristics all come from a desire for wealth.
      The narrative meaning of Shinmyorang can be analyzed into three as follows: First, the foolishness of monsters is emphasized through the vain desire of Shirmyarang. Second, it shows that contemporary novels preferred fox monsters like Shinmyorang as substitutes for villains. Thind, by previewing the revival of Shirmyorang at the end, the intention to write follow-up stories is disclosed.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narrative meaning of the key monster of Myong JuBoWalBing, fox Shinmyorang. Appearing in 50 out of the 100 episodes, Shinmyorang plays an important narrative role as well as serves as a reactionary character...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narrative meaning of the key monster of Myong JuBoWalBing, fox Shinmyorang. Appearing in 50 out of the 100 episodes, Shinmyorang plays an important narrative role as well as serves as a reactionary character that causes conflicts with humans.
      Compared with other monsters in this novel and other stories, Shimmyorang has two unique aspects: First, Shimmyorang starts a total of 8 different battles by conspiring with more than ten villains. Second, Shinmyorang is punished by Heaven for disrespecting a virtuous man, even after realizing that he can never harm the man In addition, it is described that these two characteristics all come from a desire for wealth.
      The narrative meaning of Shinmyorang can be analyzed into three as follows: First, the foolishness of monsters is emphasized through the vain desire of Shirmyarang. Second, it shows that contemporary novels preferred fox monsters like Shinmyorang as substitutes for villains. Thind, by previewing the revival of Shirmyorang at the end, the intention to write follow-up stories is disclo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명주보월빙 의 핵심 요괴인 여우 신묘랑의 특징과 서사적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신묘랑은 권 중 권에 걸쳐 등장할 정도로서사적 비중이 크며 인간과의 갈등을 조장하는 반동인물로써 중요한역할을 한다신묘랑은 작중의 여타 요괴 및 다른 작품의 요괴와 비교했을 때 두가지 독자적인 면모를 보인다 첫째 신묘랑은 무려 열 명 이상의 악인들과 동모하여 총 가지의 다채로운 작란을 벌인다 둘째 신묘랑은자신이 선인을 결코 해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무시하여 천벌을 받는다 그리고 이러한 두 가지 특징은 모두 재물욕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난다신묘랑의 서사적 의미는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 부질없는욕망을 지닌 신묘랑을 통해 요괴의 어리석음을 강조한다 둘째 당대소설 속에 신묘랑과 같은 여우 요괴가 악인의 대체물로써 선호되고있었음을 보여준다 셋째 후편에 신묘랑의 부활을 예고함으로써 연작의지를 표명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명주보월빙 의 핵심 요괴인 여우 신묘랑의 특징과 서사적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신묘랑은 권 중 권에 걸쳐 등장할 정도로서사적 비중이 크며 인간과의 갈등을 조장하는 반동인물로써...

      본고는 명주보월빙 의 핵심 요괴인 여우 신묘랑의 특징과 서사적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신묘랑은 권 중 권에 걸쳐 등장할 정도로서사적 비중이 크며 인간과의 갈등을 조장하는 반동인물로써 중요한역할을 한다신묘랑은 작중의 여타 요괴 및 다른 작품의 요괴와 비교했을 때 두가지 독자적인 면모를 보인다 첫째 신묘랑은 무려 열 명 이상의 악인들과 동모하여 총 가지의 다채로운 작란을 벌인다 둘째 신묘랑은자신이 선인을 결코 해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무시하여 천벌을 받는다 그리고 이러한 두 가지 특징은 모두 재물욕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난다신묘랑의 서사적 의미는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 부질없는욕망을 지닌 신묘랑을 통해 요괴의 어리석음을 강조한다 둘째 당대소설 속에 신묘랑과 같은 여우 요괴가 악인의 대체물로써 선호되고있었음을 보여준다 셋째 후편에 신묘랑의 부활을 예고함으로써 연작의지를 표명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相澤, "「明珠寶月聘」 硏究-그 構造와 存在論的 特徵"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1

      2 "한국구비문학대계"

      3 장덕순선생화갑기념논문집간행위원회, "한국고전산문연구" 동화문화사 337-357, 1981

      4 백영정병욱선생환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한국고전문학연구 Ⅲ" 신구문화사 100-129, 1983

      5 김장환, "태평광기 19" 학고방 39-41, 2004

      6 "중국기본고적고"

      7 "윤하정삼문취록"

      8 여천서병국박사화갑기념논문집간행위원회, "여천서병국박사화갑기념논문집" 형설출판사 369-382, 1979

      9 "엄씨효문청행록"

      10 "명주보월빙"

      1 李相澤, "「明珠寶月聘」 硏究-그 構造와 存在論的 特徵"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1

      2 "한국구비문학대계"

      3 장덕순선생화갑기념논문집간행위원회, "한국고전산문연구" 동화문화사 337-357, 1981

      4 백영정병욱선생환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한국고전문학연구 Ⅲ" 신구문화사 100-129, 1983

      5 김장환, "태평광기 19" 학고방 39-41, 2004

      6 "중국기본고적고"

      7 "윤하정삼문취록"

      8 여천서병국박사화갑기념논문집간행위원회, "여천서병국박사화갑기념논문집" 형설출판사 369-382, 1979

      9 "엄씨효문청행록"

      10 "명주보월빙"

      11 최길용, "교주본 윤하정삼문취록 1~5" 학고방 2015

      12 최길용, "교감본 명주보월빙 1~5" 학고방 2014

      13 이후남, "고전소설의 요괴 서사 연구" 한국학대학원 2017

      14 김경회, "고전소설을 활용한 온라인게임의 서사화 방안 : 『명주보월빙』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5

      15 최길용, "朝鮮朝 連作小說 硏究" 아세아문화사 1-273, 1992

      16 부인식, "明珠寶月聘의 천상계에 대한 수사적 접근" 濟州大學校 大學院 1987

      17 성 숙, "明珠寶月聘 硏究"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79

      18 崔吉容, "『明珠寶月聘』 連作小說 硏究" 전북대학교 대학원 1984

      19 공혜란, "<유이양문록>에 나타난 환생 연구 : 혼인과의 결합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1

      20 최길용, "<몽옥쌍봉연록> 연작 연구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차천기합>의 작품적 연계성을 중심으로-" 택민국학연구원 (2) : 1-44, 2008

      21 장시광, "<명주보월빙>의 여성수난담과 서술자의식"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7) : 309-342, 2008

      22 장시광, "<명주보월빙>의 여성 반동인물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14) : 4-126, 2002

      23 김은일, "<명주보월빙>에 나타난 부끄러움의 양상과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43) : 201-228, 2018

      24 朴敬淑, "'明珠寶月聘'에 나타난 人物形象化의 양상과 의미"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1 2.30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