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항은 우리나라 산업단지의 총 생산량의 약 7%를 차지하는 산업단지를 배후에 두고 있는 관문항이다. 광양항은 개항 이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항만과 산업이 공존하는 국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85407
2025
Korean
광양항 ; 양항정책 ; 컨테이너부두 ; 스마트항만 ; 북극항로 ; port ; Gwangyang port ; two-port policy ; container terminal ; smart port ; northern sea route
KCI등재
학술저널
315-323(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광양항은 우리나라 산업단지의 총 생산량의 약 7%를 차지하는 산업단지를 배후에 두고 있는 관문항이다. 광양항은 개항 이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항만과 산업이 공존하는 국내 ...
광양항은 우리나라 산업단지의 총 생산량의 약 7%를 차지하는 산업단지를 배후에 두고 있는 관문항이다. 광양항은 개항 이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항만과 산업이 공존하는 국내 항만 중 수출입물동량 1위의 종합항만으로 성장하였다. 특히 광양항 컨테이너터미널은 정부의 양항(兩港) 정책에 힘입어 부산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컨테이너 물동량을 처리하는 항만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부산항 신항이 순차적으로 개장함에 따라 국내 항만 간 경쟁이 심화되고, 주변국 항만과의 경쟁도 치열해졌다. 2018년을 기점으로 광양항 물동량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 2위 컨테이너항만의 위상과 입지도 흔들리고 있다. 이 논문은 광양항 컨테이너부두 개발시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항만정책 및 계획, 항만개발과정, 항만시설현황, 터미널운영 현황, 물동량 변화 등을 문헌 및 통계자료에 기초하여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광양항 컨테이너부두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고, 광양항 발전방안으로 유휴 항만인프라의 전략적 활용, 항만배후단지에 입주하는 기업의 업종 다양화, 항만관리운영의 자율성 및 책임성 강화, 그리고 북극항로의 상업적 활용성 증대에 따른 대응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wangyang Port is a gateway port with an industrial complex in its hinterland that accounts for approximately 7% of the total production of industrial complexes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Gwangyang Port Container Terminal was able to grow into a p...
Gwangyang Port is a gateway port with an industrial complex in its hinterland that accounts for approximately 7% of the total production of industrial complexes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Gwangyang Port Container Terminal was able to grow into a port that handles the second largest volume of containers after Busan Port, thanks to the government's dual-port policy.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Busan New Port underway and its phased openings, competition among domestic ports has intensified, along with increasing competition from neighboring countries' ports. Since 2018, Gwangyang Port has been experiencing a decline in cargo volume, undermining its status and position as the nation's second-largest container port. This paper analyzed port policies and plans, port development process, current port facilities, terminal operations, and cargo volume changes of Gwangyang Port’s container terminal from its development to the present based on literature and statistical data.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Gwangyang Port's container terminal and proposed development strategies, including strategic utilization of underutilized port infrastructure, diversification of industries in the port hinterland, enhancement of autonomy and accountability in port management and operations, and responses to the increasing commercial viability of the Arctic route.
Sentence Transformer LaBSE 모델을 활용한 표준해사통신문구(SMCP) 언어 간 의미 유사도 분석
Effect of a Trawl Net on Hydrodynamic Forces Acting on a Fishing Vessel
변이할당분석을 활용한 국내 항만연관산업의 경영성과 특성 분석
포항항에서 CDC를 활용한 벌크 선박 간 충돌 회피 불가능 상황의 정량적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