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도한 스피닝 운동으로 인한 운동유발성 횡문근융해증 사례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624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 2017년 3월 1일부터 2017년 11월 30일까지 운동유발성 횡문근융해증을 경험한 남성 2명의 대상들에게 운동빈도, 운동기간, 운동시간, 운동강도(자각도), 운동종목, 운동전 영양섭취, ...

      이 연구에서 2017년 3월 1일부터 2017년 11월 30일까지 운동유발성 횡문근융해증을 경험한 남성 2명의 대상들에게 운동빈도, 운동기간, 운동시간, 운동강도(자각도), 운동종목, 운동전 영양섭취, 운동환경, 수분섭취, 운동 시 약물복용, 운동경력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2명의 사례자는 모두 남성이였고, 스피닝 운동을 하였다. 사례 1 남성은 45세이고, 2017년 4월경, 2번째 사례자는 34세이고, 2017년 6월경 운동유발성 횡문근융해증을 경험하였다. 스피닝(spinning) 운동을 수행했던 운동성 횡문근융행증 사례자들의 공통점은 약간의 부종이 나타났고, 근육통을 호소하였으며, 소변 검사상 잠혈과 단백 그리고 갈색 소변이 검출되었다. 또한 운동시 수분섭취가 100ml 정도의 적은 수분섭취를 하였으며, 운동의 시간과 관계없이 운동강도(자각도)의 경우 17~ 20으로 고강도 운동이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장 트레이너들은 운동프로그램을 계획 할 때 횡문근융해증 유발을 방지하기 위해 개인의 체력수준, 운동강도, 적절한 수분섭취, 영양섭취에 대해 고려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exercise frequency, exercise duration, exercise time, exercise intensity (perceived exertion), sports events, nutrition before exercise, exercise environment, fluid Intake, drug taking during exercise, exercise history before developing...

      In this study, exercise frequency, exercise duration, exercise time, exercise intensity (perceived exertion), sports events, nutrition before exercise, exercise environment, fluid Intake, drug taking during exercise, exercise history before developing rhabdomyolysis were examined for 2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exercise-induced rhabdomyolysis from Mar. 1, 2017 to Nov. 30, 2017 and the results are shown below. The two cases were male, and they were 스피닝(spinning). Case 1 is 45 years old and has experienced exercise-induced rhabdomyolysis around April 2017, Case 2 is 34 years old, and June 2017. In common, the edematous patients had some edema, and complained of myalgia. Urinalysis showed occult blood, protein, and brown urine. In addition, the intake of water intake of about 100ml of water during exercise, and regardless of the time of exercise, the intensity of exercise (RPE) was 17 to 20 high-intensity exercise. Therefore, field trainers should consider personal fitness levels, exercise intensity, adequate water intake, and nutritional intake to prevent rhabdomyolysis when planning an exercise progra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Ⅵ.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우, "운동유발성 횡문근융해증에 대한 이해와 예방적 접근" 22 (22): 63-70, 2016

      2 김주영, "운동유발성 횡문근융해증에 대한 고찰 (스포츠 현장에서의 코치, 운동선수, 일반인을 위한)"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2 (12): 205-217, 2010

      3 김경곤, "운동 후 발생한 횡문근융해증의 임상적 고찰" 대한내과학회 63 (63): 7-681, 2002

      4 Fidan, F., "스피닝(spinning)-induced rhabdomyolysis: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2015

      5 정호영, "스피닝 운동 후 발생한 횡문근융해증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 37 (37): 711-716, 2016

      6 박형순, "보디빌더에서 발생한 횡문근융해증 1예" 대한신장학회 28 (28): 335-338, 2009

      7 이정빈, "과도한 운동으로 인한 횡문근융해증 2례" 대한소아신장학회 12 (12): 256-261, 2008

      8 김성아, "간염을 동반한 운동유발성 횡문근융해증 1례"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8 (18): 67-72, 2006

      9 Gabow, P. A., "The spectrum of rhabdomyolysis" 61 (61): 141-152, 1982

      10 Milne, C. J., "Rhabdomyolysis, myoglobinuria and exercise" 6 (6): 93-106, 1988

      1 김경우, "운동유발성 횡문근융해증에 대한 이해와 예방적 접근" 22 (22): 63-70, 2016

      2 김주영, "운동유발성 횡문근융해증에 대한 고찰 (스포츠 현장에서의 코치, 운동선수, 일반인을 위한)"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2 (12): 205-217, 2010

      3 김경곤, "운동 후 발생한 횡문근융해증의 임상적 고찰" 대한내과학회 63 (63): 7-681, 2002

      4 Fidan, F., "스피닝(spinning)-induced rhabdomyolysis: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2015

      5 정호영, "스피닝 운동 후 발생한 횡문근융해증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 37 (37): 711-716, 2016

      6 박형순, "보디빌더에서 발생한 횡문근융해증 1예" 대한신장학회 28 (28): 335-338, 2009

      7 이정빈, "과도한 운동으로 인한 횡문근융해증 2례" 대한소아신장학회 12 (12): 256-261, 2008

      8 김성아, "간염을 동반한 운동유발성 횡문근융해증 1례"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8 (18): 67-72, 2006

      9 Gabow, P. A., "The spectrum of rhabdomyolysis" 61 (61): 141-152, 1982

      10 Milne, C. J., "Rhabdomyolysis, myoglobinuria and exercise" 6 (6): 93-106, 1988

      11 Parmar, S., "Rhabdomyolysis after spin class?" 61 (61): 584-586, 2012

      12 Sauret, J. M., "Rhabdomyolysis" 65 (65): 2002

      13 Krivickas, L. S., "Recurrent rhabdomyolysis in a collegiate athlete : a case report" 38 (38): 407-410, 2006

      14 Montero, J., "Rabdomiólisis por 스피닝(spinning)en nueve pacientes" 69 (69): 153-156, 2009

      15 Borg, G., "Perceived exertion as an indicator of somatic stress" 2 (2): 92-, 1970

      16 Guis, S., "Pathophysiology and clinical presentations of rhabdomyolysis" 72 (72): 382-391, 2005

      17 Banasik, M., "Myoglobinuria caused by exertional rhabdomyolysis misdiagnosed as psychiatric illness" 14 (14): CS1-CS4, 2008

      18 Thompson, P. D., "Marathoner’s heart?" American Heart Association 114 (114): 2306-2308, 2006

      19 Brogan, M., "Freebie rhabdomyolysis : a public health concern. Spin class-induced rhabdomyolysis" 130 (130): 484-487, 2017

      20 Galvez, R., "Exertional rhabdomyolysis in seven division-1 swimming athletes" 18 (18): 366-368, 2008

      21 Clarkson, P. M., "Exertional rhabdomyolysis and acute renal failure in marathon runners" 37 (37): 361-363, 2007

      22 Inklebarger, J., "Exercise-induced rhabdomyolysis from stationary biking : a case report" 14 (14): 279-, 2010

      23 Colberg, S. R., "Exercise and type 2 diabetes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 joint position statement executive summary" 33 (33): 2692-2696, 2010

      24 Shank, E. S., "Diver with decompression injury, elevation of serum transaminase levels, and rhabdomyolysis" 37 (37): 533-536, 2001

      25 Godek, S. F., "Core temperature in a symptomatic NFL running back during a full padded pre-season practice with post practice urine indicies of rhabdomyolysis" 38 (38): S159-, 2006

      26 Garber, C. 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position stand. Quantity and quality of exercise for developing and maintaining cardiorespiratory, musculoskeletal, and neuromotor fitness in apparently healthy adults: guidance for prescribing exercise" 43 (43): 1334-1359, 2011

      27 Daher, E. F., "Acute kidney injury due to rhabdomyolysis-associated gangrenousmyositis" 79 (79): 246-251, 2008

      28 Goodenkauf, W., "Acute High Intensity Anaerobic Training and Rhabdomyolysis Risk" 8 (8): 8-,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7 0.7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