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특수교사의 통합교육 현장실습 경험 분석 = Practicum Experience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Inclusiv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46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learned through practicum experiences in the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were 17 students who took Pre-practicum2 opened for the freshmen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at N University in Gwangju. 17 reflective journals on experiences in the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17 special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class support activit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ree hours once a week for 13 weeks at 3 elementary schools. Result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core themes and eight sub-areas were derived: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recognition of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inclusive education, and preparation for a special education teacher. Conclusion: Through the practicum experiences in inclusive education, freshmen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ble to cultivate the qualities for inclusive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benefits that they could obtain from the existing practicums.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learned through practicum experiences in the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were 17 students who took Pre-practicum2 opened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learned through practicum experiences in the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were 17 students who took Pre-practicum2 opened for the freshmen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at N University in Gwangju. 17 reflective journals on experiences in the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17 special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class support activit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ree hours once a week for 13 weeks at 3 elementary schools. Result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core themes and eight sub-areas were derived: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recognition of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inclusive education, and preparation for a special education teacher. Conclusion: Through the practicum experiences in inclusive education, freshmen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ble to cultivate the qualities for inclusive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benefits that they could obtain from the existing practicu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현옥, "학교현장실습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5 (15): 241-260, 2015

      2 이정은, "특수교육전공 대학생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봉사학습 경험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8 (18): 191-219, 2019

      3 유장순,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의 직전교육 방향 탐색"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337-360, 2007

      4 정병종, "참관실습에서 나타나는 예비특수교사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 및 관계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6 (26): 249-271, 2010

      5 정병종, "참관실습에서 나타나는 예비특수교사의 교사와 교육환경 인식 및 관계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107-130, 2012

      6 황순영, "참관 실습 전.후 예비특수교사로서의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0 (50): 163-179, 2007

      7 이두휴,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배치된 초임 특수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205-237, 2005

      8 이해란, "예비특수교사의 특수교육기관 교육 봉사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8 (8): 165-188, 2020

      9 박영근, "예비특수교사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사전실습 프로그램 참여 경험" 특수교육연구소 16 (16): 143-167, 2017

      10 강영심,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 증진을 위한 저널쓰기 활용 방안" 255-273, 2010

      1 박현옥, "학교현장실습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5 (15): 241-260, 2015

      2 이정은, "특수교육전공 대학생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봉사학습 경험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8 (18): 191-219, 2019

      3 유장순,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의 직전교육 방향 탐색"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337-360, 2007

      4 정병종, "참관실습에서 나타나는 예비특수교사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 및 관계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6 (26): 249-271, 2010

      5 정병종, "참관실습에서 나타나는 예비특수교사의 교사와 교육환경 인식 및 관계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107-130, 2012

      6 황순영, "참관 실습 전.후 예비특수교사로서의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0 (50): 163-179, 2007

      7 이두휴,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배치된 초임 특수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205-237, 2005

      8 이해란, "예비특수교사의 특수교육기관 교육 봉사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8 (8): 165-188, 2020

      9 박영근, "예비특수교사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사전실습 프로그램 참여 경험" 특수교육연구소 16 (16): 143-167, 2017

      10 강영심,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 증진을 위한 저널쓰기 활용 방안" 255-273, 2010

      11 강혜진, "예비특수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교직관 및 교사효능감 특성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6 (6): 63-78, 2015

      12 김호연, "예비특수교사의 교육실습 운영 실태 분석 및 인식 조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419-443, 2007

      13 임경옥,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관찰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81-100, 2013

      14 최승숙, "반성적 저널쓰기를 활용한 특수학급 현장실습이 예비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1 (11): 107-130, 2012

      15 Putnam, R. T, "What do new views of knowledge and thinking have to say about research on teacher learning?" 29 (29): 4-15, 2000

      16 Mayhew, J, "Service-learning for understanding human exceptionality" 7 (7): 158-163, 2003

      17 Harrison, L. M, "Service learning and its impact on middle level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from field experience" 8 (8): 23-38, 2013

      18 Bentley-Williams, R, "Inclusive education : pre-service teachers'reflective learning on diversity and their challenging role" 41 (41): 173-185, 2013

      19 Hildenbrand, S. M, "Implementing service learning in pre-service teacher coursework" 38 (38): 262-279, 2015

      20 Bentley-Williams, R, "Collaborative partnership :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as inclusive practitioners to support students with disabilities" 64 (64): 270-282, 2017

      21 Corbin, J,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 Techniques and P rocedures for Grounded Theory" SAGE. 2008

      22 Widden, M, "A critical analysis of the research on learning to teach : making the case for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inquiry" 68 (68): 130-178, 1998

      23 교육부, "2020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