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문기자의 유튜브 1인 방송 콘텐츠 생산의 특징과 저널리즘 역할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Content Production on YouTube by Newspaper Journalis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73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apid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drove the newspaper industry into crisis. In the meanwhile, journalists’ YouTube one-person broadcast has been increased as of 2018. This research is focused on one-person broadcasting by newspaper journali...

      The rapid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drove the newspaper industry into crisis. In the meanwhile, journalists’ YouTube one-person broadcast has been increased as of 2018. This research is focused on one-person broadcasting by newspaper journalists who experience the upheaval of moving platforms from ‘traditional’ press to digital media environment. Through journalists’ YouTube one-person broadcast, the text also aims to offer a theoretical reflec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broadcasting contents and the changes on the role of journalists participating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 research will be worthy of focusing on journalists who want to realize journalistic values and their one-person broadcasting. It will also motivate journalists who produce and consider making one-person broadcast. For media companies that progress new media strategies, it provides opportunities to consider the journalistic and economic values of one-person broadcast. Ultimately, the research is not only explaining the reason why the legacy media producing journalists’ YouTube one-person media, but also encouraging and supporting journalists’ effor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지면, 활자로부터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의 이동이라는 격변을 경험하고 있는 신문기자들 중 유튜브에서 1 인방송을 제작하고 있는 현직 신문기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

      이 연구는 지면, 활자로부터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의 이동이라는 격변을 경험하고 있는 신문기자들 중 유튜브에서 1 인방송을 제작하고 있는 현직 신문기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해 그들의 1 인방송 제작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기자의 역할 변화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인터뷰 대상자들은 1 인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는 동기와 목적을 저널리즘의 확장에 두고있다는 점에서 다른 유튜버들과 차별되는 특징을 나타냈으며 장기적인 기자 경험을 통해 획득한 전문성을 차별화 전략으로 내세우고 있었다. 신문기자들은 저널리즘의 확장, 영향력 증대 외에도 1 인 방송을 통한 경제적 수익 역시 기대하고 있었으며, 1 인 방송을 제작하면서 기자로서의 역할및 조직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함께 직무만족도의 변화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언론 매체 중에서도 뉴미디어 적응에 가장 소극적이고 뒤처져 온 신문사 조직에소속된 신문기자들과 이들의 1 인 방송을 통해 콘텐츠 생산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기자 역할의 변화, 직무만족도, 지원과기여로 연결되는 조직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저널리즘 영역에서 업무를 행하고 있는 현직 기자들의 1 인 방송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인터넷 개인방송 연구와 다른 의미를 제시한다. 이는 특히 1 인 방송에 대한 전통매체 기자들의 인식과 변화를예측하는 데에 기여하는 한편 신문기자를포함한 기자들에게 1 인 방송의 제작 동기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 언론사에게는 기자 1 인 방송이 지닌 저널리즘적, 경제적 가치를 고려할 수 있게 하는 실용적 의미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1 인 미디어와 저널리즘 연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데에 기여할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준웅, "한국 신문 위기의 원인" 23-50, 2005

      2 박진우, "저널리스트 전문직에 대한 인식의 변화: 전문직 노동과 직업 전망에 대한 위기의식" 한국언론정보학회 57 (57): 49-68, 2012

      3 정승호, "인터넷 취재로 인한 언론인의 취재활동 및 노동여건, 언론사내 조직위상의 변화 : 전국지 지역기자와 지역신문 기자 비교 분석" 언론정보연구소 43 (43): 37-70, 2007

      4 김설예, "인터넷 개인방송의 이용동기와 사회적 시청 요인이 지속이용과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 아프리카TV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경제학회 19 (19): 57-84, 2016

      5 이동후, "인터넷 개인방송 BJ의 노동 과정에 대한 탐색: 아프리카TV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1 (61): 127-156, 2017

      6 반옥숙, "인터넷 개인 방송 지속 이용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6 (16): 58-95, 2016

      7 이성준, "인터넷 개인 방송 장르 레퍼토리 형성 영향 요인: <아프리카 TV>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13-29, 2018

      8 정승철, "인터넷 개인 방송 BJ의 실시간 소통이 PPL 광고효과에 미치는 효과" 400-, 2017

      9 김위근, "언론사의 디지털 혁신과 조직문화"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

      10 이준웅, "언론 체계와 신문의 가치 창출 :이른바 '신문 위기'에 대한 대안의 모색" 한국언론학회 54 (54): 253-275, 2010

      1 이준웅, "한국 신문 위기의 원인" 23-50, 2005

      2 박진우, "저널리스트 전문직에 대한 인식의 변화: 전문직 노동과 직업 전망에 대한 위기의식" 한국언론정보학회 57 (57): 49-68, 2012

      3 정승호, "인터넷 취재로 인한 언론인의 취재활동 및 노동여건, 언론사내 조직위상의 변화 : 전국지 지역기자와 지역신문 기자 비교 분석" 언론정보연구소 43 (43): 37-70, 2007

      4 김설예, "인터넷 개인방송의 이용동기와 사회적 시청 요인이 지속이용과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 아프리카TV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경제학회 19 (19): 57-84, 2016

      5 이동후, "인터넷 개인방송 BJ의 노동 과정에 대한 탐색: 아프리카TV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1 (61): 127-156, 2017

      6 반옥숙, "인터넷 개인 방송 지속 이용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6 (16): 58-95, 2016

      7 이성준, "인터넷 개인 방송 장르 레퍼토리 형성 영향 요인: <아프리카 TV>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13-29, 2018

      8 정승철, "인터넷 개인 방송 BJ의 실시간 소통이 PPL 광고효과에 미치는 효과" 400-, 2017

      9 김위근, "언론사의 디지털 혁신과 조직문화"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

      10 이준웅, "언론 체계와 신문의 가치 창출 :이른바 '신문 위기'에 대한 대안의 모색" 한국언론학회 54 (54): 253-275, 2010

      11 조윤희, "실시간 인터넷 1인 방송의 상호작용성이 의사사회적상호작용, 사회적 실재감,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이용 동기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05) : 82-117, 2019

      12 이정기, "신문사, 방송사, 인터넷 언론사 언론인들의 직무 만족도 결정요인 연구 -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제13회 기자 의식조사' 데이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5 (35): 1-22, 2019

      13 방은주, "소셜미디어 등장 이후 뉴스 제작 과정 변화에 대한 국내 언론사 기자들의 인식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4 (14): 113-156, 2014

      14 김영주, "소셜 뉴스 중개자:뉴스미디어 기업의 대응과 전략"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

      15 김경모, "새로운 저널리즘 환경과 온라인 뉴스 생산 - 전통과 변화의 경계" 언론정보연구소 49 (49): 7-37, 2012

      16 박노일, "블로그 이용 동기가 저널리즘 역할인식과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2 (52): 334-358, 2008

      17 이강형, "디지털 저널리즘 현실에 대한 한국 기자들의 수용 태도: 저널리즘 원칙과 윤리의식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93 : 7-38, 2019

      18 신윤경, "기자 블로그의 의제설정 기능과 객관주의에 관한 연구 : 『중앙일보』와 『오마이뉴스』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4 (54): 128-152, 2010

      19 방은주, "국내 주요 언론사 기자들의 소셜미디어 이용가치체계 연구래더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67 (67): 209-240, 2014

      20 김동규, "국내 신문사 취재 조직체계와 관행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5 (5): 33-68, 2005

      21 유용민, "‘유튜브 저널리즘’ 진단, 평가 그리고 전망: 행동주의 저널리즘 양식의 등장과방송 저널리즘 생태계 진화" 2019

      22 Hearn, A., "‘Meat, mask, burden’ probing the contours of the branded ‘self’" 8 (8): 163-183, 2008

      23 김사승, "UCC 저널리즘의 이론적 고찰"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5 (25): 221-262, 2008

      24 Jin, K., "The institutionalization of YouTube:From user-generated content to professionally generated content" 34 (34): 53-67, 2012

      25 Deuze, M., "The Web and its journalism : Considering the consequences of different types of news media online" 5 (5): 203-230, 2003

      26 이창욱, "OSMU를 중심으로한 문화콘텐츠의 다목적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4 (14): 372-381, 2008

      27 Newman, N., "Journalism, Media and Technology Trends and Predictions 2019" Reuters Institute for the Study of Journalism 2019

      28 Newman, N., "Journalism, Media and Technology Trends and Predictions 2018" Reuters Institute for the Study of Journalism 2018

      29 이주희, "1인 미디어 이용자들의 라이브 스트리밍 방송 시청 동기 및 사용자 반응에 관한 연구 후기 수용 모델(PAM)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20 (20): 178-215, 2018

      30 이준희, "1인 개인 게임 방송에서의 사회적 현존감 연구" 661-665,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04 1.477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