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토목공사 표준품셈의 개정 필요성이 있는 공종 분석 - P사 현장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67256

      • 저자
      • 발행사항

        청주 : 충북대학교, 202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31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기타서명

        Analysis of Work Types that Need to Be Revision of Standard Item of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 Comparative Analysis with P Company Site -

      • 형태사항

        vii, 57p. ; 26cm

      • 일반주기명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지도교수:박형근
        참고문헌 : p.56-57

      • UCI식별코드

        I804:43009-000000055139

      • 소장기관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건설 공사의 전체 단계 중 초기단계에서 공사원가를 예측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현재 건설공사의 예정가격을 산정하는 기준으로는 표준품셈과 일위대가를 적용하고 있다 그 중 공사비 산정의 가장 기본이 되는 표준품셈은 건설장비의 고도화와 신기술 및 신공법 투입에 의한 품값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서 상시 관리체계를 구축하였고, 실제로 해마다 2회씩 제/개정하여 배포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현장의 상황을 제대로 반영 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들이 많이 제시 되고 있다.

      표준품셈이 낮게 책정되어 있는 경우 예정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발주자의 예산낭비가 야기되고, 높게 책정되어 있는 경우 예정가격이 적게 산출되어 시공자에게 손해를 미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품의 적정성을 검토하는 측면에서 관련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표준품셈과 P사 토목현장 데이터를 비교 검토하여 공사비 차이가 많이 발생하는 원인 분석과 기존 표준품셈 공종 중에서 추후 개정의 필요성이 있는 공종을 도출 하였다.
      번역하기

      건설 공사의 전체 단계 중 초기단계에서 공사원가를 예측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현재 건설공사의 예정가격을 산정하는 기준으로는 표준품셈과 일위대가를 적용하고 있다 그 중 ...

      건설 공사의 전체 단계 중 초기단계에서 공사원가를 예측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현재 건설공사의 예정가격을 산정하는 기준으로는 표준품셈과 일위대가를 적용하고 있다 그 중 공사비 산정의 가장 기본이 되는 표준품셈은 건설장비의 고도화와 신기술 및 신공법 투입에 의한 품값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서 상시 관리체계를 구축하였고, 실제로 해마다 2회씩 제/개정하여 배포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현장의 상황을 제대로 반영 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들이 많이 제시 되고 있다.

      표준품셈이 낮게 책정되어 있는 경우 예정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발주자의 예산낭비가 야기되고, 높게 책정되어 있는 경우 예정가격이 적게 산출되어 시공자에게 손해를 미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품의 적정성을 검토하는 측면에서 관련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표준품셈과 P사 토목현장 데이터를 비교 검토하여 공사비 차이가 많이 발생하는 원인 분석과 기존 표준품셈 공종 중에서 추후 개정의 필요성이 있는 공종을 도출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cess of predicting construction costs in the early stages of construction is very important. Currently, the standard product calculation and the highest price are applied as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estimated price of construction work. Among them, the standard item calculation, which is the most basic of the calculation of construction costs, was established to reflect the changes in the value of construction equipment by upgrading construction equipment and introducing new technologies and new construction methods, and in fact, it is distributed by enacting/revised and distributed twice a year. However, there are many opinions that it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actual situation at the site.

      If the standard product calculation is set low, the estimated price will be set high, causing waste of the client's budget, and if it is set high, the estimated price will be calculated less, which could cause damage to the contractor, so related research is needed in terms of reviewing the adequacy of the item.

      Therefore, the current standard item calculation and civil engineering site data of Company P were reviewed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causes of large differences in construction cost and to derive the types of construction that need to be revised later among the existing standard item processing types.
      번역하기

      The process of predicting construction costs in the early stages of construction is very important. Currently, the standard product calculation and the highest price are applied as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estimated price of construction work. Am...

      The process of predicting construction costs in the early stages of construction is very important. Currently, the standard product calculation and the highest price are applied as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estimated price of construction work. Among them, the standard item calculation, which is the most basic of the calculation of construction costs, was established to reflect the changes in the value of construction equipment by upgrading construction equipment and introducing new technologies and new construction methods, and in fact, it is distributed by enacting/revised and distributed twice a year. However, there are many opinions that it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actual situation at the site.

      If the standard product calculation is set low, the estimated price will be set high, causing waste of the client's budget, and if it is set high, the estimated price will be calculated less, which could cause damage to the contractor, so related research is needed in terms of reviewing the adequacy of the item.

      Therefore, the current standard item calculation and civil engineering site data of Company P were reviewed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causes of large differences in construction cost and to derive the types of construction that need to be revised later among the existing standard item processing typ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ⅲ
      • 표 차례 ⅴ
      • 그림 차례 ⅶ
      • Ⅰ. 서 론 1
      • Abstract ⅲ
      • 표 차례 ⅴ
      • 그림 차례 ⅶ
      • Ⅰ. 서 론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 범위 3
      • 1.3 연구 방법 3
      • Ⅱ. 이론적 고찰 5
      • 2.1 표준품셈 5
      • 2.1.1 표준품셈의 정의 5
      • 2.1.2 표준품셈의 적용 6
      • 2.1.3 표준품셈의 개정절차 7
      • 2.2 IPA분석기법 9
      • 2.2.1 IPA 분석기법의 정의 9
      • 2.2.2 IPA 분석 방법 10
      • 2.3 선행연구 고찰 12
      • Ⅲ. 작업조 기반의 생산성 기준 분석 13
      • 3.1 표준공종 대상선정 13
      • 3.1.1 표준품셈 항목유형 및 특성분석 13
      • 3.1.2 표준품셈을 기반한 토목공사 표준공종 도출 15
      • 3.2 공종별 생산성 정보 16
      • 3.2.1 가설공사 16
      • 3.2.2 토공사 18
      • 3.2.3 조경공사 19
      • 3.2.4 기초공사 20
      • 3.2.5 철근콘크리트 공사 22
      • 3.2.6 돌쌓기 및 헐기 공사 24
      • 3.2.7 도로포장 및 유지 공사 25
      • 3.2.8 하천 공사 27
      • 3.2.9 터널 공사 28
      • 3.2.10 관부설 공사 29
      • 3.2.11 부대공 공사 30
      • 3.3 P사 현장데이터와 표준품셈의 비교분석 31
      • 3.3.1 P사 현장데이터 조사 31
      • 3.3.2 P사 현장 데이터 기준과 표준품셈 기준의 공사비 비교 35
      • 3.3.3 표준공종별 표준품셈대비율 38
      • 3.3.4 공사비 차이 발생에 대한 요인 분석 41
      • Ⅳ. IPA 모형 정립 및 활용 결과 분석 47
      • 4.1 IPA 모형 설정 47
      • 4.2 IPA 기법을 활용한 결과 분석 51
      • 4.2.1 표준품셈 개정 우선순위 IPA 모델 분석 51
      • 4.2.2 표준품셈 개정 우선순위 결과 52
      • Ⅴ. 결 론 54
      • 참고문헌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