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대학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 함양을 위한 자기 피드백 강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있다. 자기 피드백의 목표는 자기글을 질적으로 개선하는 사고를 인식하고 조정할 수 있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대학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 함양을 위한 자기 피드백 강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있다. 자기 피드백의 목표는 자기글을 질적으로 개선하는 사고를 인식하고 조정할 수 있는 ...
이 논문의 목적은 대학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 함양을 위한 자기 피드백 강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있다. 자기 피드백의 목표는 자기글을 질적으로 개선하는 사고를 인식하고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을갖추는 것이다. 자기 피드백으로 이전 사고를 인식하고 질적 개선을 위한 전략을 배우려면 수행 중의사고를 상위인지 전략화하고 전이 가능한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글쓰기 수업에서 배운 것을 전공등의 여타 영역에 전이시키기 위해서다.
자기 피드백은 글쓰기 관련 사고 중 상위 위계에 속하는 요소로 초점화되어 수행해야 한다. 주제, 구조와 같은 상위 위계 요소들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미 완성된 것으로부터 더 개선된 것을 이끌어내는사고체계를 구성해야 한다. 이런 과정은 초고의 수정에서만이 아니라, 메모, 필기, 일지, 마인드맵, 피피티 등의 확장된 글을 대상으로 반복적으로, 발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실제 수업 현장은 거시구조를 중심으로 이전 사고를 읽고, 사고 조정 방향을 스스로 탐구할 수있는 자기 점검, 자기 평가, 자기 설계 과정을 자기 피드백으로 훈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한다. 학습자들은 비로소 진정한 의미에서의 저자로서의 능력 신장을 갖출 수 있게 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민 ; 최선경, "첨삭지도에 대한 학습자 요구분석과 효율적인 첨삭지도 방법" 한국작문학회 (13) : 350-380, 2011
2 박준범, "첨삭논평에 대한 글쓰기 학습자의 반응 양상연구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 : 교수자 첨삭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2017
3 김성숙, "정보 기반 학술 담론 공동체의 전문 저자성 습득 양상에 대한 고찰" 한국문학연구학회 (55) : 629-656, 2015
4 장지혜, "작문 교육의 관점에서 ‘저자성(authority)’ 논의를 위한 시론" 한국어교육학회 (165) : 141-171, 2019
5 김남미, "요약적 사고의 시각화 과정으로서의 구조도 활용 교수 방안" 한국교양교육학회 16 (16): 227-240, 2022
6 구자황, "수정과 피드백이 글쓰기에서 동인(動因)이 되는 방식을 위한 탐구" 어문연구학회 56 : 323-343, 2008
7 서은혜, "서평 구성 관련 피드백 방식과 수정(revision)의 관련성 - 대학 신입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2 (12): 143-173, 2021
8 박상은 ; 안서현, "상호작용적 피드백을 적용한 대학 글쓰기 강의 방안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143-155, 2021
9 곽수범, "비대면 글쓰기 피드백 특질 및 방향성 탐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135-146, 2021
10 이재성 ; 김은영, "범교과적 글쓰기(WAC: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 연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7) : 117-142, 2010
1 박상민 ; 최선경, "첨삭지도에 대한 학습자 요구분석과 효율적인 첨삭지도 방법" 한국작문학회 (13) : 350-380, 2011
2 박준범, "첨삭논평에 대한 글쓰기 학습자의 반응 양상연구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 : 교수자 첨삭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2017
3 김성숙, "정보 기반 학술 담론 공동체의 전문 저자성 습득 양상에 대한 고찰" 한국문학연구학회 (55) : 629-656, 2015
4 장지혜, "작문 교육의 관점에서 ‘저자성(authority)’ 논의를 위한 시론" 한국어교육학회 (165) : 141-171, 2019
5 김남미, "요약적 사고의 시각화 과정으로서의 구조도 활용 교수 방안" 한국교양교육학회 16 (16): 227-240, 2022
6 구자황, "수정과 피드백이 글쓰기에서 동인(動因)이 되는 방식을 위한 탐구" 어문연구학회 56 : 323-343, 2008
7 서은혜, "서평 구성 관련 피드백 방식과 수정(revision)의 관련성 - 대학 신입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2 (12): 143-173, 2021
8 박상은 ; 안서현, "상호작용적 피드백을 적용한 대학 글쓰기 강의 방안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143-155, 2021
9 곽수범, "비대면 글쓰기 피드백 특질 및 방향성 탐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135-146, 2021
10 이재성 ; 김은영, "범교과적 글쓰기(WAC: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 연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7) : 117-142, 2010
11 이윤빈, "미국 대학 신입생 글쓰기(FYC) 교육의 새로운 방안 모색" 국어교육학회 49 (49): 445-479, 2014
12 박현희, "대학의 학술적 글쓰기 교육에서 과정적 다면피드백의 기능과 효과 분석 -서울대 사회과학글쓰기 수강생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13 (13): 135-170, 2020
13 민정호,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수요목 설계 - 학술적 리터러시에서의 저자성 강화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1 (11): 221-246, 2020
14 장지혜, "대학생의 저자성 구현을 위한 온라인 작문 수업 실행 연구 - 온라인 상호작용 양상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75) : 159-198, 2021
15 김남미, "대학생을 위한 피드백 활용 다시쓰기 수업의 효과" 한국 리터러시 학회 9 (9): 41-70, 2018
16 정희모 ; 이재성, "대학생 글쓰기의 수정 방법에 관한 실험 연구 -자기첨삭, 동료첨삭, 교수첨삭의 효과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3) : 657-685, 2008
17 이윤빈, "대학 신입생 대상 ‘학술적 글쓰기’의 장르적 의미와 성격" 한국작문학회 (14) : 159-200, 2012
18 장지혜 ; 송지언, "논증적 글쓰기의 수정하기 활동에서 피드백 방식과 필자 수준에 따른 피드백의 효과성 탐색 -예비 교사 협조자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에 대한 반응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42) : 95-137, 2019
19 지현배, "글쓰기 효능감을 고려한 첨삭 지도 전략" 한국리터러시학회 3 : 157-181, 2011
20 유미향, "글쓰기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 양상" 한국사고와표현학회 12 (12): 125-146, 2019
21 남진숙, "글쓰기 첨삭의 효과적인 교수학습법" 한국사고와표현학회 6 (6): 117-142, 2013
22 서영진, "국어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피드백 발화 유형 분석" 국어교육학회 52 (52): 97-133, 2017
23 박상민, "교수.학습과정에서 글쓰기 피드백 활동의 효율성제고를 위한 연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6 (6): 143-174, 2013
24 엄성원, "대학 독후감 첨삭 교육과 글쓰기 센터의 연계 방안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463-489, 2014
25 Schmidt, R. W., "The role of consciousness in second language learning1" 11 (11): 129-158, 1990
26 Truscott, J., "The case against grammar correction in L2writing classes" 46 (46): 327-369, 1996
27 Allaei, S. K., "The best-laid plans : Modern conceptions of volition and educational research" 22 (22): 14-22, 1990
28 Schmidt, R., "Talking to Learn: Conversation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237-326, 1986
29 Lea, M. R., "Student writing in higher education : An academic literacies approach" 23 (23): 157-172, 1998
30 Sommers, N., "Responding to student writing" 33 (33): 148-156, 1982
31 Zamel, V., "Responding to student writing" 19 (19): 79-101, 1985
32 Leki, I., "Potential problems with peer responding in ESL writing classes" 3 (3): 5-19, 1990
33 Mangelsdorf, K, "Peer reviews in the ESL composition classroom : What do the students think?" 46 (46): 274-284, 1992
34 Howard-Rose, D., "Measuring component and sets of cognitive processes in self-regulated learning" 85 (85): 591-604, 1993
35 김남미, "ICT 기술을 활용한 협력 활동 적용의 효과 -이공계 학습자 대상 사고와 표현 수업 사례 분석-" 한국사고와표현학회 14 (14): 223-252, 2021
36 Long, M., "Handbook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cademic Press 1996
37 Heritage, M., "Formative assessment : What do teachers need to know and do?" 89 (89): 140-145, 2007
38 Semke, H. D., "Effects of the red pen" 17 (17): 195-202, 1984
39 Kepner, C. G., "An experiment in the relationship of types of written feedback to the development of second-language writing skills" 75 (75): 305-313, 1991
40 Graham, S., "A meta-analysis of writing instruction for adolescent students" 99 (99): 445-476, 2007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와 학생 인식 차이와 교육요구도 분석-A전문대학을 중심으로
대학 글쓰기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의 인식 분석
싸나톨로지(죽음학) 관점에서 본 노년비탄과 임종에 대비한 죽음교육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