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취관련 자기 불일치와 평가위협 스트레스가 수행불안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Achievement Self Discrepancy and Evaluative Threat Stress on Performance Anx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336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취약성-스트레스 모델에 입각하여 과제수행중의 불안수준(정서적, 인지적 및 행동적 측정치)이 성취관련 자기 불일치(=심리적 취약성 변인)와 평가위협 스트레스(=스트레스 ...

      연구목적:
      취약성-스트레스 모델에 입각하여 과제수행중의 불안수준(정서적, 인지적 및 행동적 측정치)이 성취관련
      자기 불일치(=심리적 취약성 변인)와 평가위협 스트레스(=스트레스 유발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
      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행불안의 발생기전을 밝히며, 더 나아가서는 수행불안을 효과적
      으로 감소시키고 적절하게 예방하기 위한 심리학적 대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 법:
      자기 불일치 고 집단과 저 집단에 속하는 대학생을 각각 40명씩 선발하여 각 집단별로 절반씩 평가위협
      조건과 중성적인 조건에 무선 할당한 후 지적 능력 과제(언어추리검사와 바꿔쓰기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평가위협 조건에서 자기 불일치 고 집단이 저 집단에 비해 과제 수행동안의 상태불안수준이 유의하게 높
      았을 뿐만 아니라, 자기 불일치 고 집단의 경우 중성적인 조건에 비해 평가위협 조건에서 상태불안수준이 더
      높았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향성을 보였다. 그 반면에, 중성적 조건에서 두 집단간 차이와,
      자기 불일치 저 집단에서 스트레스 수준간의 차이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자기 불일치 고 집단이 저
      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수준에 상관없이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인지적 방해를 더 많이 받았다. 자기 불일치
      고 집단이 저 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수준에 상관없이 바꿔쓰기검사에서 더 낮은 수행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
      으나, 언어추리검사에서는 어떤 효과도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수행불안은 성취관련 자기 불일치와 평가위협 스트레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 두 가지 변인의 상호작
      용에 의하여 발생할 것이라는 가설은 수행불안의 정서적 측정치에서 비교적 강하게 지지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가설은 수행불안의 인지적 및 행동적 측정치에서도 역시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
      아 수행불안의 발생과정을 이해하고 이런 불안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성취관련 자
      기 불일치 변인과 평가위협 스트레스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if the levels of anxiety(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measures) during performance are influenced by interaction of both achievement related self discrepancy(=psychological vulnerability va...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if the levels of anxiety(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measures) during performance are influenced by interaction of both achievement related self
      discrepancy(=psychological vulnerability variable) and evaluative threat stress(=stressor) based on
      vulnerabilitystress model in order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development of performance anxiety and
      furthermore to suggest psychological intervention strategies to reduce and prevent it effectively.
      Method:High and low self discrepancy subjects consisted of students from the upper(n=40) and
      lower 15%(n=40) on achievement related self discrepancy scale, respectivel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valuative threat condition or neutral condition, and then all subjects took intellective
      task(verbal reasoning test and digit symbol test).
      Results: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igh self discrepancy subjects under evaluative threat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tate
      anxiety during performance than low self discrepancy subjects under any condition and also
      experienced higher degreee of state anxiety with marginal significance than high self discrepancy
      subjects under neutral condition,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anxiety level of
      group variable under neutral condition or of stress variable in low self discrepancy subjects.
      2) High self discrepancy subjects reported more cognitive interference during performance than
      low self discrepancy subjects regardless of the level of stress.
      3) High self discrepancy subjects performed marginally significantly more poorly in digit symbol
      test than low self discrepancy subjects regardless of the level of stress,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verbal reasoning test.
      Conclusion:The hypothesis that performance anxiety could be affected by achievement related
      self discrepancy and stress, and specially by interaction between self discrepancy and stress was
      relatively strongly supported by the results on emotional measure of performance anxiety. In addition,
      this hypothesis received partial support by the results on cognitive and behavioral measures. We might
      conclude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achievement-related self discrepancy and evaluative threat
      stress togeth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development of performance anxiety and to reduce or
      prevent this anxiety effective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 방 법
      • 결 과
      • 고 찰
      • 참 고 문 헌
      • 서 론
      • 방 법
      • 결 과
      • 고 찰
      • 참 고 문 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