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관내 spirochetes의 존재유무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았으나 최근 PCR을 사용한 연구에서 Treponema denticola 균주가 감염근관의 50% 이상의 경우에서 발견됨에 따라 이 세균이 치수 및 치근단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0039459
Lee, Woo-Cheol (Department of Conservative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Shenker, Bruce J. (Department of Pathology,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2
English
515.0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473-478(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근관내 spirochetes의 존재유무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았으나 최근 PCR을 사용한 연구에서 Treponema denticola 균주가 감염근관의 50% 이상의 경우에서 발견됨에 따라 이 세균이 치수 및 치근단 ...
근관내 spirochetes의 존재유무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았으나 최근 PCR을 사용한 연구에서 Treponema denticola 균주가 감염근관의 50% 이상의 경우에서 발견됨에 따라 이 세균이 치수 및 치근단 질환에 관여하는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하지만 그 정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이와관련하여 Shenker등이 T.denticola의 sonicated extract에서 순수분리된 단백질 (SIP)이 임파구 proliferation을 방해함을 보고한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면역억제단백질 SIP이 어떤 기전에 의해서 임파구증식을 억제하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건강한 혈액 공여자로부터 추출해낸 T 세포에 PHA(phytohemagglutinin)로 증식자극을 주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SIP를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여 세포주기 진행과정을 유세포분석기 (Becton-Dickinson FACS^tarplus)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세단계의 chromatography과정을 통해 순수정제된 SIP는 50kDa와 56kDa의 두가지 polypeptide로 구성되어있고 0.25㎍으로 처리된 T 임파구는 42.5% [^3H]thymidine incorporation 억제가 그리고, 0.5㎍으로 처리한 경우는 75.1%의 억제가 일어나 dose-dependent한 양상이 나타났다. Propidium iodide와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세포주기를 분석한 결과 medium으로만 처리한 경우 97%이상의 임파구는 G_0/G_1 phase에 머물러 있었으나 PHA 자극을 받은 경우 G_0/G_1 phase에서 58%, S phase에서 34.6%, G_2/M phase에서 7.4%으로 분포되어 나타났다. SIP으로 전처리한 경우 세포증식이 감소하여 0.25㎍을 첨가한 경우 75.1%가 G_0/G_1 phase에 머물러 있었고 더 강한 농도의 0.5㎍을 첨가한 경우는 87.7%가 G_0/G_1 phase 에서 S phase로 진행되지않고 머물러있었다. 따라서 SIP으로 전처리된 T 임파구는 그 증식이 G_0/G_1 phase에서 차단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면역억제현상이 in vitro 상태뿐 아니라 in vivo에서도 진행된다면 spirochete가 치수 및 치근단 질환의 병인론에 연관된 면역반응저하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Distribution of ion channels in trigeminal ganglion neuron of rat
수산화칼슘 처리된 Porphyromonas endodontalis Lipopolysaccharide가 다형핵백혈구의 IL-1과 TNF-α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Cavity Configuration on 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toration
리노미터를 이용한 할로겐 가시광선 광조사기와 플라즈마 아크 광조사기의 복합레진 및 컴포머의 광중합 양상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