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들의 성지식, 성인지 감수성이 생식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생식 건강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90104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23-83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들의 성지식, 성인지 감수성이 생식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생식 건강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들의 성지식, 성인지 감수성이 생식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생식 건강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J도에 위치한 일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2학년과 4학년 학생 321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 연구로, 성지식, 성인지 감수성 및 생식 건강증진행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지식, 성인지 감수성 및 생식 건강증진행위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중 회귀분석 결과, 성인지 감수성(β=0.12, p=0.012)이 생식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설명력은 24.1%였다. 성지식은 생식 건강증진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았으나, 성인지 감수성과의 양의 상관관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이 성평등 가치관을 함양하고 성지식을 습득하여 생식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sexual knowledge and gender sensitivity on reproductive health-promoting behaviors,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designing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reproductive health. Thi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sexual knowledge and gender sensitivity on reproductive health-promoting behaviors,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designing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reproductive health. This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with 321 second and fourth-year students enrolled in a nursing college in J province. The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s among sexual knowledge, gender sensitivity, and reproductive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identified key factors influencing these behavior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exual knowledge, gender sensitivity, and reproductive health-promoting behavio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gender sensitivity (β=0.12, p=0.010)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productive health-promoting behaviors. The model explained 24.1% of the variance. Although sexual knowledge did not directly affect reproductive health-promoting behaviors, its positive correlation with gender sensitivity suggested an indirect influence.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sexual education programs for nursing students. Such programs should focus on fostering gender equality values, enhancing sexual knowledge, and promoting reproductive health awareness. By improving gender sensitivity, nursing students can actively engage in health-promoting behaviors,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their sexual and reproductive well-being. These efforts will also prepare students to address reproductive health issues effectively in their future nursing practice.
생성형 AI 음악 식별을 위한 데이터 셋 구축 및 검증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역음악축제 인식에 관한 연구 -통영국제음악제를 중심으로-
전직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직무몰입 및 직무성과의 관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