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들이 진로탐색 과정에서 겪는 경험: 근거이론적 접근 = Study of Experiences during Career Explo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Grounded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167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xperiences during career explo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grounded theory approa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textual situations and backgrounds to concrete career exploration, the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focused on their experiences and coping, and interactions between experiences and contextual situa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un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15 senior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d by the procedure suggested by Strauss & Corbin(1998)’s grounded theory method producing key concepts and categories with the paradigm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the central phenomenon during career exploration process was ‘anxiety & confusion’. It occurred in the casual conditions once facing graduation time and this phenomenon also is affected by contextual conditions ‘continual unemployment difficult’ and ‘the personal financial problem’ caused by parent’s retirement and ‘lacking of time and information gathering’ for career decision making. In the phenomenon of anxiety & confusion, the intervening conditions as ‘self understanding’ and ‘the understanding of real work world’ promoted this phenomenon and its result of interaction was ‘self-exploration’ and ‘job exploration’ as action/interaction. Finally, the consequence of this career exploration process was ‘self-rediscovery’, ‘change of life perception’ and ‘career discovery’. The core category for career exploration was identified as ‘starting of independent life’, which means the beginning of independent life as a self-regulating career agency.
      This study implies that students construct their careers during the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and contributes understanding of interactions of individual and contextual factors in one’s career construction for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xperiences during career explo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grounded theory approa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textual situations and backgrounds to concrete career exploration,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xperiences during career explo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grounded theory approa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textual situations and backgrounds to concrete career exploration, the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focused on their experiences and coping, and interactions between experiences and contextual situa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un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15 senior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d by the procedure suggested by Strauss & Corbin(1998)’s grounded theory method producing key concepts and categories with the paradigm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the central phenomenon during career exploration process was ‘anxiety & confusion’. It occurred in the casual conditions once facing graduation time and this phenomenon also is affected by contextual conditions ‘continual unemployment difficult’ and ‘the personal financial problem’ caused by parent’s retirement and ‘lacking of time and information gathering’ for career decision making. In the phenomenon of anxiety & confusion, the intervening conditions as ‘self understanding’ and ‘the understanding of real work world’ promoted this phenomenon and its result of interaction was ‘self-exploration’ and ‘job exploration’ as action/interaction. Finally, the consequence of this career exploration process was ‘self-rediscovery’, ‘change of life perception’ and ‘career discovery’. The core category for career exploration was identified as ‘starting of independent life’, which means the beginning of independent life as a self-regulating career agency.
      This study implies that students construct their careers during the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and contributes understanding of interactions of individual and contextual factors in one’s career construction for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 4학년을 대상으로 진로탐색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근거 이론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대학생들의 진로탐색이 구체화되는 상황과 배경, 그것을 통한 경험과 대처 방법, 어떤 과정을 통해 진로탐색을 하게 되는 지, 진로탐색과정에서의 경험은 어떠한 맥락적 상황과 상호작용하는지 등에 대해 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15명을 대상으로 비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 이론적 접근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주요개념과 범주를 도출하고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 결정시기를 맞이한 대학생들의 진로탐색과정에서 도출된 중심현상은 불안과 혼란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졸업 시기를 맞이한 인과적 상황과 지속되는 취업난, 부모의 퇴직으로 인한 경제적 상황악화 그리고 부모님의 기대와 진로결정을 위한 시간과 정보의 부족이라는 맥락적 상황 속에서 발생하였다. 불안과 혼란의 중심현상은 자신에 대한 이해와 직업세계 이해라는 중재적 조건하에서 작용/상호작용의 결과로 자기탐색과 직무탐색이 일어났다. 그 결과 자신을 재발견하고 삶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다. 참여 대학생들의 진로탐색과정에서 나타난 핵심범주는 ‘주체적 삶의 시작’이었으며, 이는 자율적인 경력 주체로서 독립적인 삶을 시작함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진로 주체인 학생들이 진로탐색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자신의 진로를 구성해가는 과정으로서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를 가지며, 향후 진로 지도와 진로 상담에 있어 진로를 구성하는 개인적, 맥락적 영향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대학 4학년을 대상으로 진로탐색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근거 이론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대학생들의 진로탐색이 구체화되는 상황과 배경, 그것을 통한 경험과 ...

      이 연구는 대학 4학년을 대상으로 진로탐색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근거 이론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대학생들의 진로탐색이 구체화되는 상황과 배경, 그것을 통한 경험과 대처 방법, 어떤 과정을 통해 진로탐색을 하게 되는 지, 진로탐색과정에서의 경험은 어떠한 맥락적 상황과 상호작용하는지 등에 대해 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15명을 대상으로 비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 이론적 접근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주요개념과 범주를 도출하고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 결정시기를 맞이한 대학생들의 진로탐색과정에서 도출된 중심현상은 불안과 혼란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졸업 시기를 맞이한 인과적 상황과 지속되는 취업난, 부모의 퇴직으로 인한 경제적 상황악화 그리고 부모님의 기대와 진로결정을 위한 시간과 정보의 부족이라는 맥락적 상황 속에서 발생하였다. 불안과 혼란의 중심현상은 자신에 대한 이해와 직업세계 이해라는 중재적 조건하에서 작용/상호작용의 결과로 자기탐색과 직무탐색이 일어났다. 그 결과 자신을 재발견하고 삶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다. 참여 대학생들의 진로탐색과정에서 나타난 핵심범주는 ‘주체적 삶의 시작’이었으며, 이는 자율적인 경력 주체로서 독립적인 삶을 시작함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진로 주체인 학생들이 진로탐색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자신의 진로를 구성해가는 과정으로서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를 가지며, 향후 진로 지도와 진로 상담에 있어 진로를 구성하는 개인적, 맥락적 영향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제경, "한국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과 발달적 특성"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107-123, 2004

      2 류동희, "한국대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 1 (1): 41-68, 2011

      3 김효정, "청년구직자들이 진로결정과정에서 겪는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사례분석" 한국상담심리학회 23 (23): 785-810, 2011

      4 Creswell, J. W., "질적연구방법론 : 다섯 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욱, 진진숙, 권지성역)" 학지사 2010

      5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2

      6 황윤미, "진로의사결정의 방법, 단계, 유형이 대학생 진로의사결정의 질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7 김진희, "전공과 희망직업 불일치 대학생의 진로스토리에 나타난 진로결정 경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8 구명숙, "여대생의 취업의식 및 취업준비도 실태조사" 14 (14): 5-36, 2003

      9 김재원, "대학생의 취업준비 및 근로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6): 211-242, 2003

      10 성벼리,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 유형에 따른 진로미결정 요인의 차이" 고려대학교대학원 2012

      1 이제경, "한국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과 발달적 특성"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107-123, 2004

      2 류동희, "한국대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 1 (1): 41-68, 2011

      3 김효정, "청년구직자들이 진로결정과정에서 겪는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사례분석" 한국상담심리학회 23 (23): 785-810, 2011

      4 Creswell, J. W., "질적연구방법론 : 다섯 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욱, 진진숙, 권지성역)" 학지사 2010

      5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2

      6 황윤미, "진로의사결정의 방법, 단계, 유형이 대학생 진로의사결정의 질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7 김진희, "전공과 희망직업 불일치 대학생의 진로스토리에 나타난 진로결정 경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8 구명숙, "여대생의 취업의식 및 취업준비도 실태조사" 14 (14): 5-36, 2003

      9 김재원, "대학생의 취업준비 및 근로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6): 211-242, 2003

      10 성벼리,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 유형에 따른 진로미결정 요인의 차이" 고려대학교대학원 2012

      11 김미주,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수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12 이상희,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13 (13): 1461-1479, 2012

      13 김보경,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 문제해결력 및 진로동기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14 최우영, "대학생의 진로결정유형별 특성과 진로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5 김지선,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따른 진로유형화 : 성격과 진로장벽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대학원 2012

      16 허숙영,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진로미결정 및 진로성숙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2013

      17 이종찬,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18 김영혜, "대학생의 부모-자녀 유대와 진로결정 관계에서 성취압력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9 김봉환, "대학생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20 유영란, "공학계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1 진성미, "경력 자본과 경력 아비투스: 경력과 일터학습" 원격교육연구소 9 (9): 73-92, 2013

      22 Holland, J. L., "Vocational indecision :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24 : 404-414, 1977

      23 Super, D, E., "Vocational development theory : Persons, positions, and process" 1 : 2-9, 1969

      24 Glaser, B. G.,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Aldine 1967

      25 Meyer, B. W., "The career decision scale and neuroticism" 1 : 171-180, 1993

      26 Bogdan, R. C.,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5th ed. )" Pearson Education 2007

      27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 in education" Jossey-Bass 1998

      28 Shank, G. D., "Qualitative research : A personal skills approach" Prentice Hall 2002

      29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Jossey-Bass 2009

      30 Ginzberg, E., "Occupational choice : An approach to a general the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1

      31 Young, R. A., "Introduction : Constructivism and social constructivism in the career field" 64 : 373-388, 2004

      32 Arthur, M. B., "Handbook of career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25, 1989

      33 Gunz, H., "Handbook of career studies" Sage 2007

      34 Burns, L. W., "Gender differences among correlates of career indecision" Texas Tech University 1994

      35 Niles, S. G., "Career counseling of college students: An empirical guide to strategies that work"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0

      36 Cochran, L., "Career counseling : A narrative approach" Sage 1997

      37 Savickas, M. L., "Career construction theory and practice" 2005

      38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2nd ed. )" Sage 1998

      39 Sharf, R. S., "Applying career development theory to counseling(5th ed. )" Brooks/Cole 2010

      40 Harren, V. A., "A model of career decision-making for college students" 14 : 119-133, 19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6 2.06 2.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1 2.29 2.564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