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교육은 교육 현장 안에서 새로운 교육적 대안으로 자리 매김을 하고 있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사이버 교육이 전통적 교육과 비교해 볼 때 학습의 결과가 다르지 않고, 교육 비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028430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2001
한국어
사이버 교육 ; 효과성 ; 학습자 ; cyber learning ; effectiveness ; Learner
377.33 판사항(4)
서울
vii, 87 p. : 삽도 ; 26 cm .
지도교수: 이명근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이버 교육은 교육 현장 안에서 새로운 교육적 대안으로 자리 매김을 하고 있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사이버 교육이 전통적 교육과 비교해 볼 때 학습의 결과가 다르지 않고, 교육 비용...
사이버 교육은 교육 현장 안에서 새로운 교육적 대안으로 자리 매김을 하고 있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사이버 교육이 전통적 교육과 비교해 볼 때 학습의 결과가 다르지 않고, 교육 비용에 있어서도 크게 절감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유로 사이버 교육은 대학에서부터 폭팔적으로 확대되어 현재 순수 사이버 교육 활동을 하는 사이버 대학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사이버 교육이 확대되어 가는 과정에서 사이버 교육의 특징을 부각하는 시스템 설계나 교수전략,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들이 집중적으로 수행되었는데, 이러한 연구들은 학습자의 입장보다는 사이버 교육 전문가나 시스템 개발자의 입장에서 수행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를 볼 때 학습자의 입장보다는 교육 전문가나 시스템 개발자에 의해서 사이버 교육의 효과성이 평가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이버 교육의 주체자라 할 수 있는 학습자가 바라보는 사이버 교육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 관심을 갖고 이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는 교육의 주체가 학습자 중심으로 변해가고 있어 학습에서 학습자가 책임져야할 부분이 많아짐에 따라 학습자의 입장을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 되었으며, 학습자가 학습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평가하는 것이 어떤 내용들인지 규명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교육 활동에 있어서 학습자의 입장은 매우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본 연구는 사이버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학습자가 양질의 사이버 교육이라고 판단하는 준거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학습자가 양질의 사이버 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기 위해 사이버 교육의 설계, 개발, 운영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라 판단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고찰은 사이버교육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전략 요인들을 도출하여 사이버 교육을 제공받는 학습자의 평가 준거로 삼았다. 이 전략들은 교수전략, 학습자 인터페이스, 학습운영, 학습자료로 분류하였다. 도출된 전략들은 총 35개 전략들이었으며 이것을 각 영역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준거로 삼았다.
도출된 학습자 평가준거를 가지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앞에서 문헌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35개의 준거를 모두 담았고 5점 척도록 평가할 수 있게 하였다. 설문에 대한 전체 신뢰도는 .83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대상은 현재 사이버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들이었으며, 총 340부를 배포하여 293부가 회수되었고 분석에 사용한 설문지는 총 265부였다.
회수된 설문을 가지고 사이버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 준거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분석 중 아이젠 값을 1을 기준으로 주성분 분석과 Verimax 회전방식 사용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전략 요인들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총 4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각 요인은 그 안의 내용을 근거로하여 요인명을 부여하였다. 제 1요인은 상호작용 유도를 위한 교수전략이고, 제 2요인은 시스템 편의성, 제 3요인은 학습지원, 제 4요인은 화면 구성으로 부여하였다. 이 중 제 1요인이 가지고 있는 부하량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도출된 요인들에 대한 신뢰도는 상호작용 유도를 위한 교수전략 0.78, 시스템의 편의성 0.79, 학습지원 0.68, 화면구성 0.70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요인들이 실제로 현실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은 45%로 나타났다.
각 요인들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제 1 요인은 상호작용 유도를 위한 교수전략은 제 2요인 시스템의 편의성, 제 3요인 학습운영, 제 4요인 화면구성과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이 그리고 제 2요인 시스템의 편의성은 제 3요인 학습지원과 제 4요인 화면구성과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이 중에서 가장 상관이 높은 요인은 제 1요인 상호작용 유도를 위한 교수전략과 제 2요인 시스템의 편의성이 p<.05에서 .499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 교육에 있어서 학습자는 무엇보다 교수전략을 매우 중요한 평가준거로 선정하고 있다. 이는 사이버 교육이 학습자 중심의 교육 활동을 전개할 수 있고 학습자의 능동적인 태도에 의해 학습이 좌우된다고 하는 주장에 비해 다른 면을 제시하고 있다. 학습의 모든 결정권이 학습자에게 있다고 해도 옆에서 학습 진행을 도와주는 교수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사이버 교육에서 정교한 교수전략은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그리고 수립된 교수전략들은 경험적인 연구를 통해서 검증되고 평가되어져서 하나의 표준안을 구성해야할 것이다.
둘째, 학습자는 사이버 교육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학습환경이 얼마나 편리한지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선행연구들은 사이버 학습 환경이 편리하고 적응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아야 학습 진행이 수월하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 욱, 1999; 김미량, 2000a).
이를 위해 시스템 설계는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Human-computer-interaction) 원리를 적용하여 프로토타입의 인터페이스를 개발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자는 사이버 교육에서 학습 진행을 도와주는 교수 전략과는 다른 전체 학습 진행에 대한 지원체제가 있어야하고 명확하게 제시될 것을 요청하고 있다. 사이버 학습환경은 학습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간의 자유로운 의사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학사 일정과 같은 것은 학습 수행과는 다른 활동이다. 이런 것을 도와주고 적절히 지원해야할 체제가 필요하다.
넷째, 학습자는 사이버 교육에 있어서 웹 수업방이나 학습자료 등을 제시하는 화면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는 사이버 교육에 있어 학습자는 화면을 통해서 모든 자료를 제공받고 학습활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아이콘이나 다른 객체들이 적절하게 제공되어야 학습자가 쉽게 학습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적절한 화면구성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학습자에게 만족스러운 학습활동을 수행하게 하려면 교수전략과 시스템의 편리한 활용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교수전략은 시스템을 기반으로 수립될 수 있고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교수전략은 적절하게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서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사이버 교육을 제공하려면 사이버 교육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 총체적인 접근을 위해서 사이버 교육을 설계할 때 ISD 모형들을 적용해 볼 수 있다. ISD 모형은 체제접근을 통한 전체교수체제의 설계, 제작, 실행, 평가, 활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Dick and Carey 모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모형들이 현재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ISD 모형을 적용한다면 사이버 교육의 구성요인들을 총체적으로 분류할 수 있고, 각 요인들에 대한 적절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Information society, Education's direction is moving to the user-centerd education and learner's role is getting very important in education. In this education, learner evaluate all the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ing the ability to acquire knowl...
In Information society, Education's direction is moving to the user-centerd education and learner's role is getting very important in education.
In this education, learner evaluate all the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ing the ability to acquire knowledge, and measur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information. To realize user-centerd education, we have to listen to the voice of learners.
This study is a research on learner's evaluating criteria concerning cyber-learning. Its goal is to drive strategies of cyber-learning that learners have expected. Concrete study objectives are Following.
First, factor concerning cyber-learning effectiveness is driven.
Second, correlation among factor concerning cyber-learning effectiveness was examined closely.
To achieve the purpose, the following tasks were performed.
First, I examined literary reviews on cyber-learning strategies for effectiveness in four fields. They are instructional strategies, user interface, learning organization, and resource for learning.
Second, driven strategies is considered by learner's evaluating criterion.
Third, a questionnaire was made by based strategies to consider lerner's evaluation criterion.
Forth, The questionnaire was marked up by learners taking a cyber-learning course in universities.
To analyze the dat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driven factor concerning cyber-learning effectivenes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relation among the driven factor.
The findings result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concerning cyber-learning effectiveness was driven by four factors.
It was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interaction, system's facility, learning organization and screen design. The highest factor was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interaction because of coming out 7 when igen? value was 1.
Second, the highest correlation among the driven factors was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interaction and system's facility by correlation value 0.499.
In the other han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interaction was relation with learning organization and screen design. And system's facility was relation with learning organization and screen design, also.
Th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woing:
First, in cyber-learning, Learners regar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interaction a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Second, in cyber-learning, learners think system's facility important. System's facility can be implemented by applying to human-computer-interaction.
Third, learners demand the system to help themselves learn the course as a learning organizer.
There is another instructional strategy to help learners take the course effectively. That is a kind of notice about cyber-learning schedule, feedback from the assistant.
Forth, Learners think screen design important. Complex screen design seems to give only confusion to learners. Therefore screen design must be expressed clear and symmetrically.
Fifth, for the user-centered cyber-learn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system' facility must be considered. This is possible through access to all the strategies I mentioned until now. To access all can also be implemented by ISD model.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