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대(對) EU 수출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terminants of Korean Exports to the EU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EU 지역은 시장 규모가 크고 구매력이 높은 지역으로써 우리나라 수출에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EU와 체결한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FTA) 또한 이러한 전략적시장으로써의 ...

      EU 지역은 시장 규모가 크고 구매력이 높은 지역으로써 우리나라 수출에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EU와 체결한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FTA) 또한 이러한 전략적시장으로써의 중요성을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U 28개 국가를 대상으로 1995년부터 2015년까지 패널 자료를 구축하여 한국의 對 EU 수출 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기존 선행연구를 토대로 수출 상품 수요 지역의 소득 수준과 상대가격인 환율 변수가 포함된 수출 결정 방정식을 이용하되, EU 지역의 시장규모, 경제성장률과 우리나라와 FTA 체결 더미 변수를 포함하였고, 본 연구의 관심변수인 우리나라 제조업 경쟁력 향상이 對 EU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인구규모로 측정한 EU 지역의 시장규모, 1인당 GDP 변수로 측정한 소득변수, 그리고 경제성장률 변수는 우리나라 EU 지역 수출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시장규모가 클수록,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경제가 빠르게 성장할수록 EU 지역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본 연구의 관심변수인 우리나라 제조업 경쟁력 지수 또한 대부분의 추정 모형에서 양(+)의 계수를 갖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되어 우리나라 제조업 경쟁력 향상이 對 EU 수출을 증가시키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제조업 경쟁력 지수가 1단위 상승할 경우 EU 지역 수출은 3.06~5.2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독일의 평균 경쟁력 수준으로 상승할 경우에는 0.73~1.25% 증가하는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제조업 경쟁력 향상이 對 EU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와 EU 간 FTA 체결 더미 변수는 예상과는 달리 음(-)의 부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대부분의 모형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uropean Union which has a huge market size and high purchasing power is a strategically important export market for Korea. The Free Trade Agreement (FTA) with the EU also reflects its importance as a strategic trade partner. In this study, we ana...

      The European Union which has a huge market size and high purchasing power is a strategically important export market for Korea. The Free Trade Agreement (FTA) with the EU also reflects its importance as a strategic trade partn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exports to EU by constructing panel data from 1995 to 2015 using commodity export data to 28 countries.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we used the export equation which includes the income level of the EU and the exchange rate as a proxy for relative prices and added som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market size of the EU, GDP growth rate, a dummy for FTA. More importantly, we tried to analyze the effect of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competitiveness improvement on EU export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rket size of the EU proxied by the population, the income variable measured by the per capita GDP, and the GDP growth rate are the determinants of export to the EU. The larger the market, the higher the income level, the faster the growth of the EU, the more positive impact it has on the EU exports. In addition to that, Korea's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index which is a focal point in this study has also been confirmed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 positive coefficient in most of the estimation models, showing that the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in Korea is a factor for increasing exports to the EU. Specifically, if the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index of Korea increases by one unit, exports to the EU will increase by 3.06~5.22%, and when the index increases to the average level of that of Germany, the exports will increase by 0.73~1.25%. These results show that the improvement of Korea's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exports to the EU. Contrary to expectations, the dummy variable of the FTA between Korea and the EU is negative (-), but it also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ost estimation model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