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980~1990년대 한국 노동가요의 주제와 음악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66127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포스트모던음악학과 , 2023. 2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80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nalysis of the Theme and Music of Korean Labor Protest Songs in the 1980s and 1990s

      • 형태사항

        vii, 112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홍성규
        참고문헌: p. 97-100

      • UCI식별코드

        I804:11006-200000658830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980~1990년대 한국 노동가요의 가사와 음악적 요소들을 분석하여‘목적이 있는 노래’로서의 노동가요가 지니는 의미와 특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따라서 가사에 담긴 주제를 알아보고 선율·리듬·화성 등의 음악적 특징을 파악하여 가사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장치인 음악 요소의 차용 방식을 살펴보았다. 또한 민중가요의 하위 범주로 여겨졌던 노동가요의 정체성을 고찰하여 독립적인 주체를 확립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노래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근본적인 개념을 알아보고 그 특성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노래는 목적을 가진 메시지를 가사로 옮긴 후 음악적 요소를 통해 의식을 전달하는 도구로 정의된다. 또한 전달자와 수용자의 양자적 입장을 모두 수반하여 사회적 의의가 있음을 알아볼 수 있었다.
      한국 노동가요의 정의와 특성을 파악하여 목적을 수반한 노래로서의 노동가요가 갖는 의의를 고찰해보았다. 사용자 및 권력에 대항하여 노동자들의 권익 보호 및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노동가요는 노동자를 주체와 향유층으로 두고 그들의 삶을동반한 노래로 정리된다. 이는 노동가요의 핵심적인 특성이며 이에 수반된 저항적 의식과 공동체 적인 특성 또한 파악할 수 있었다.
      해외 노동운동과 노동가요가 한국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프랑스·러시아·라틴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사례를 조사하였다. 각 사례에 대표되는 노래를 특정하여 가사에 담긴 의미를 분석해 보고 한국 노동가요와의 비교를 통해 의식을 고찰해보고자 했다. 또한 한국 노동가요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노동가요의 폭발적 변환기인 1987년 노동자 대투쟁을 중심으로 하여 시대적 범주를 설정하였다. 1980년대 이전·1980~1987년·1988~1990년대로 분류하여 각 시대별 노동운동의 정세와 노동가요의 흐름을 자세히 알아보았다.
      이 장에서는 가사와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여 투영된 주제를 알아보았고 의식이 수반된 가사가 음악적 장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방식을 고찰해보았다. 음악적 요소로는 악곡의 구조·조성·음계·선율·장르 및 음악 스타일·리듬·화성으로 세분화시켜그특징을 살펴보았다. 가사의 분석에서는 먼저 전체 곡 중 공통된 주제와 소재를 알아보고 세부적인 관찰을 위해 특정 시기를 설정하여 전후 양상을 비교하였다. 가장 크게 증가세를 보이는 대상과 그 가사를 중심으로 하여 특징을 고찰하였다. 중심이 되는 주제는 ‘투쟁’, ‘노동해방’, ‘현실극복’이 나타났으며 사용된 소재로는 ‘저항의식’과 ‘조합적 연대의식’, ‘공간적 배경’이 특이점을 보였다. 또한 가사 중 노동가요의독립적인 주체를 확립하고자 했던 그들의 의식 전반이 드러나 노래의 정체성을 고찰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틀이 되었다.
      악곡의 구조에서는 전체 곡을 이루는 악곡의 형식과 조성을 파악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된 형식은 세도막형식이었으며 악절의 반복을 활용한 공감 장치를 찾아볼 수 있었다. 조성에서는 단조곡이 가장 많이 보여 전반적인 노동가요의 음악 구조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선율을 분석하는 데 있어 먼저 사용된 음계를 파악하고 선율 진행 양상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7음음계가 가장 많이 파악되었으나 민족적 정서를 계승하기 위한 5음음계의 사용을 집중적으로 관찰하여 분석해 보았다. 또한 그 의도에서 비롯된 5음음계를 강조하면서 7음음계가 부분적으로 혼용된 양상을 살펴보았다.
      선율의 진행에 있어 확인되었던 특징으로는 전렴과 후렴 도입 선율의 극적인 도약과 반음계의 사용이 있었는데 이는 모두 특정 선율을 강조하는 동시에 가사 강조의 효과를 의도한 것으로 보였다. 특히 상행 진행에서의 반음계 사용은 서정적인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듯한 느낌을 주어 노래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으로 보였다.
      리듬을 알아보기 전 장르 및 음악 스타일을 세분화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단조 행진곡 스타일의 노래가 다수 제작되었음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음표와 쉼표의 길이와 적절한 배치를 활용하여 전체 리듬과 가사를 강조하는 듯한 양상을 확인해볼 수 있어 가사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음악적 요소 차용 방식에 관해 면밀히 관찰해볼 수 있었다.
      화성 분석에서는 진행상 뚜렷한 특징이 보이지 않고 단순한 양상이 대다수임을 확인하였다. 일부 곡에서의 부속7화음과 차용화음의 사용이 발견되었고 온음계적 전조 중 동주음조 전조의 사용 또한 찾아볼 수 있었다. 전반적인 노동가요의 단순한 화성 진행은 가사와 선율을 부각하기 위한 대비의 효과였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노동가요의 독립적인 주체와 정체성을 고찰하고자 한 본 연구의 관심은 목적을 수반한 노래로서의 노동가요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정의를 확립할 수 있었다. 또한 노래의 문화적 수용성을 통해 그들의 삶과 의식 전반에 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었다. 향후 다각도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한국 노동가요 연구의 발전과 활성화에 그 전망을 기대해본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1980~1990년대 한국 노동가요의 가사와 음악적 요소들을 분석하여‘목적이 있는 노래’로서의 노동가요가 지니는 의미와 특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따라서 가사에 담긴 주제를 알아...

      본 논문은 1980~1990년대 한국 노동가요의 가사와 음악적 요소들을 분석하여‘목적이 있는 노래’로서의 노동가요가 지니는 의미와 특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따라서 가사에 담긴 주제를 알아보고 선율·리듬·화성 등의 음악적 특징을 파악하여 가사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장치인 음악 요소의 차용 방식을 살펴보았다. 또한 민중가요의 하위 범주로 여겨졌던 노동가요의 정체성을 고찰하여 독립적인 주체를 확립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노래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근본적인 개념을 알아보고 그 특성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노래는 목적을 가진 메시지를 가사로 옮긴 후 음악적 요소를 통해 의식을 전달하는 도구로 정의된다. 또한 전달자와 수용자의 양자적 입장을 모두 수반하여 사회적 의의가 있음을 알아볼 수 있었다.
      한국 노동가요의 정의와 특성을 파악하여 목적을 수반한 노래로서의 노동가요가 갖는 의의를 고찰해보았다. 사용자 및 권력에 대항하여 노동자들의 권익 보호 및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노동가요는 노동자를 주체와 향유층으로 두고 그들의 삶을동반한 노래로 정리된다. 이는 노동가요의 핵심적인 특성이며 이에 수반된 저항적 의식과 공동체 적인 특성 또한 파악할 수 있었다.
      해외 노동운동과 노동가요가 한국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프랑스·러시아·라틴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사례를 조사하였다. 각 사례에 대표되는 노래를 특정하여 가사에 담긴 의미를 분석해 보고 한국 노동가요와의 비교를 통해 의식을 고찰해보고자 했다. 또한 한국 노동가요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노동가요의 폭발적 변환기인 1987년 노동자 대투쟁을 중심으로 하여 시대적 범주를 설정하였다. 1980년대 이전·1980~1987년·1988~1990년대로 분류하여 각 시대별 노동운동의 정세와 노동가요의 흐름을 자세히 알아보았다.
      이 장에서는 가사와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여 투영된 주제를 알아보았고 의식이 수반된 가사가 음악적 장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방식을 고찰해보았다. 음악적 요소로는 악곡의 구조·조성·음계·선율·장르 및 음악 스타일·리듬·화성으로 세분화시켜그특징을 살펴보았다. 가사의 분석에서는 먼저 전체 곡 중 공통된 주제와 소재를 알아보고 세부적인 관찰을 위해 특정 시기를 설정하여 전후 양상을 비교하였다. 가장 크게 증가세를 보이는 대상과 그 가사를 중심으로 하여 특징을 고찰하였다. 중심이 되는 주제는 ‘투쟁’, ‘노동해방’, ‘현실극복’이 나타났으며 사용된 소재로는 ‘저항의식’과 ‘조합적 연대의식’, ‘공간적 배경’이 특이점을 보였다. 또한 가사 중 노동가요의독립적인 주체를 확립하고자 했던 그들의 의식 전반이 드러나 노래의 정체성을 고찰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틀이 되었다.
      악곡의 구조에서는 전체 곡을 이루는 악곡의 형식과 조성을 파악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된 형식은 세도막형식이었으며 악절의 반복을 활용한 공감 장치를 찾아볼 수 있었다. 조성에서는 단조곡이 가장 많이 보여 전반적인 노동가요의 음악 구조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선율을 분석하는 데 있어 먼저 사용된 음계를 파악하고 선율 진행 양상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7음음계가 가장 많이 파악되었으나 민족적 정서를 계승하기 위한 5음음계의 사용을 집중적으로 관찰하여 분석해 보았다. 또한 그 의도에서 비롯된 5음음계를 강조하면서 7음음계가 부분적으로 혼용된 양상을 살펴보았다.
      선율의 진행에 있어 확인되었던 특징으로는 전렴과 후렴 도입 선율의 극적인 도약과 반음계의 사용이 있었는데 이는 모두 특정 선율을 강조하는 동시에 가사 강조의 효과를 의도한 것으로 보였다. 특히 상행 진행에서의 반음계 사용은 서정적인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듯한 느낌을 주어 노래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으로 보였다.
      리듬을 알아보기 전 장르 및 음악 스타일을 세분화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단조 행진곡 스타일의 노래가 다수 제작되었음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음표와 쉼표의 길이와 적절한 배치를 활용하여 전체 리듬과 가사를 강조하는 듯한 양상을 확인해볼 수 있어 가사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음악적 요소 차용 방식에 관해 면밀히 관찰해볼 수 있었다.
      화성 분석에서는 진행상 뚜렷한 특징이 보이지 않고 단순한 양상이 대다수임을 확인하였다. 일부 곡에서의 부속7화음과 차용화음의 사용이 발견되었고 온음계적 전조 중 동주음조 전조의 사용 또한 찾아볼 수 있었다. 전반적인 노동가요의 단순한 화성 진행은 가사와 선율을 부각하기 위한 대비의 효과였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노동가요의 독립적인 주체와 정체성을 고찰하고자 한 본 연구의 관심은 목적을 수반한 노래로서의 노동가요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정의를 확립할 수 있었다. 또한 노래의 문화적 수용성을 통해 그들의 삶과 의식 전반에 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었다. 향후 다각도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한국 노동가요 연구의 발전과 활성화에 그 전망을 기대해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3. 선행연구의 검토 9
      • Ⅱ. 이론적 배경 13
      • I. 서 론 1
      •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3. 선행연구의 검토 9
      • Ⅱ. 이론적 배경 13
      • 1. 노래의 특성과 의의 13
      • 2. 한국 노동가요의 개관 16
      • 1) 한국 노동가요의 정의 16
      • 2) 한국 노동가요의 특성과 의의 18
      • 3. 해외 노동가요의 사례 21
      • 1) 프랑스의 <인터내셔날가> 21
      • 2) 러시아의 <노동자의 마르세예즈> 27
      • 3) 라틴 아메리카의 <누에바 칸시온> 29
      • 4. 한국 노동가요의 역사적 전개 32
      • 1) 1980년대 이전의 한국 노동가요 32
      • 2) 1980~1987년의 한국 노동가요 36
      • 3) 1988~1990년대의 한국 노동가요 38
      • Ⅲ. 1980~1990년대의 한국 노동가요 분석 42
      • 1. 한국 노동가요의 가사 분석 42
      • 1) 주제 분석 42
      • 2) 소재 분석 51
      • 2. 한국 노동가요의 음악 분석 57
      • 1) 악곡의 구조 57
      • 2) 선율적 특징 67
      • 3) 리듬적 특징 79
      • 4) 화성적 특징 87
      • Ⅳ. 결 론 93
      • 참 고 문 헌 97
      • ABSTRACT 101
      • 부 록 1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