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위헌법률심판에서 입법과정의 합리성 심사 = Rationality Review of Legislative Process in Adjudication on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57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n adjudication on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the Constitutional Court examines whether the content of questioned law violates the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determines the constitutionality by examining reasonableness or proportion...

      In an adjudication on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the Constitutional Court examines whether the content of questioned law violates the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determines the constitutionality by examining reasonableness or proportionality of the law. In the adjudication on constitutionality of law, the Constitutional Court judges the legitimacy of the law through substantive judicial review standard, such a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has little interest in the legislative process through which the legislator enacted the law. Nevertheless, even when the Constitutional Court applies substantive review criteria, it may be difficult to determine the legitimacy of the law. In modern societies characterized by pluralism and uncertainty, legislator is often forced to make value judgments on socially controversial issues or to determine future situations that are difficult to predict. In this case, the Constitutional Court focuses on not only the content of the law itself but also the rationality of legislative process.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no choice but to judge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law, taking into account whether the legislator has considered all aspects at issue, whether the legislator has opened the issue to public debate, and whether the legislator enacted the law with reliable evidence. While substantive legitimacy review of the law accounts for most of the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elaboration of substantive judicial review standards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constitutional jurisprudence, the significance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control over the rationality of the legislative process has not been addressed sufficiently.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the rationality of the legislative process, focusing on the justification of the legislative process review, its content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substantive judicial review. This article first identifies the types of procedural reviews that may be a problem in th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and considers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constitutional court’s control of the internal process of legislation (II). The article examines what the review of legislative process refers to and in which areas it can be particularly used, using comparative constitutional precedents (III).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view of the legislative process and the review of substantive content is examined, and the intensity of review on the legislative process is examined. (IV) Finally, the article concludes with an implication of legislative process review to the practice of Constitutional Court. (Ⅴ)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위헌법률심판에서 헌법재판소는 다투어지는 법률 내용이 헌법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심사한다. 헌법재판소는 합리성 내지 비례성 심사를 통해 법률 내용의 헌법합치성을 판단한다. 위헌법...

      위헌법률심판에서 헌법재판소는 다투어지는 법률 내용이 헌법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심사한다. 헌법재판소는 합리성 내지 비례성 심사를 통해 법률 내용의 헌법합치성을 판단한다. 위헌법률심판에서 헌법재판소는 과잉금지원칙 같은 실체적 사법심사기준을 매개로 문제되는 법률의 내용적 정당성을 판단하고 입법자가 그 법률에 이르게 된 입법과정에는 별반 관심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헌법재판소가 실체적 심사기준을 적용하더라도 법률의 내용적 정당성을 판단하기 곤란한 경우가 있다. 다원성과 불확실성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사회에서 입법자는 사회적으로 논란 있는 사안에 대하여 가치판단을 수행하거나 예측이 쉽지 않은 장래 상황을 규율해야 하는 처지에 놓인다. 이러한 경우, 헌법재판소는 일정 정도는 입법의 내용 그 자체의 정당성이 아닌 입법과정의 합리성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헌법재판소는 입법과정에서 입법자가 문제되는 쟁점을 빠짐없이 고려하였는지, 이를 공적 토론에 충분히 개방하였는지, 그리고 입법자가 신뢰할 수 있는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하였는지를 고려하여 법률의 헌법합치성을 판단하게 된다. 입법에 대한 실체적 정당성 판단이 헌법재판소 결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실체적 사법심사기준의 정교화가 헌법학의 주된 관심을 끌어온 반면, 입법과정의 합리성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가 갖는 의미는 우리 학계에서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쟁점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위헌법률심판에서 입법과정의 합리성에 대한 심사의 허용가능성과 그 내용, 그리고 그것이 실체적 사법심사와 맺는 관계를 중심으로 입법과정의 합리성 심사를 검토한다. 본고는 우선 헌법재판에서 문제될 수 있는 절차적 심사의 유형을 구분하고, 이른바 입법의 내적 과정으로서 광의의 입법과정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를 둘러싼 정당성 논란을 고찰한 후(Ⅱ), 입법과정심사는 무엇을 지칭하는지, 그것이 특히 활용될 수 있는 영역은 어디인지를 비교헌법적 사례를 소재로 하여 검토한다(Ⅲ). 다음으로, 입법과정 심사와 실체적 내용 심사 간 관계를 고찰하고, 입법과정에 대한 심사강도 문제를 검토한다. (Ⅳ) 마지막으로, 입법과정심사의 우리 헌법실무에 대한 시사점을 언급하는 것으로 글을 마무리한다. (Ⅴ)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계희열, "헌법재판의 회고와 전망" 헌법재판소 1999

      2 정태호, "헌법재판의 한계에 관한 고찰: 입법형성의 여지를 규정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30 (30): 2001

      3 한수웅, "헌법재판의 한계 및 심사기준: 헌법재판소와 입법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8 : 1997

      4 최희수, "헌법재판의 기능적 한계 − 독일의 논의를 중심으로 −" 안암법학회 (43) : 305-339, 2014

      5 방승주, "헌법재판소의 입법자에 대한 통제의 범위와 강도 ― 입법자의 형성의 자유와 그 한계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지난 20년간의 판례를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37 (37): 113-171, 2008

      6 헌법재판연구원, "주석 헌법재판소법" 헌법재판연구원 2015

      7 김대환, "비례성원칙의 심사강도 - 비교법적 검토를 포함하여 -" 한국헌법학회 18 (18): 301-344, 2012

      8 Dworkin, Ronald, "법과 권리" 한길사 2010

      9 Ely, John Hart, "민주주의와 법원의 위헌심사" 나남출판 2006

      10 정문식, "미국 연방대법원 사법심사기준으로서 입법관련 자료에 대한 신뢰성 판단" 법학연구소 35 (35): 1-27, 2018

      1 계희열, "헌법재판의 회고와 전망" 헌법재판소 1999

      2 정태호, "헌법재판의 한계에 관한 고찰: 입법형성의 여지를 규정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30 (30): 2001

      3 한수웅, "헌법재판의 한계 및 심사기준: 헌법재판소와 입법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8 : 1997

      4 최희수, "헌법재판의 기능적 한계 − 독일의 논의를 중심으로 −" 안암법학회 (43) : 305-339, 2014

      5 방승주, "헌법재판소의 입법자에 대한 통제의 범위와 강도 ― 입법자의 형성의 자유와 그 한계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지난 20년간의 판례를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37 (37): 113-171, 2008

      6 헌법재판연구원, "주석 헌법재판소법" 헌법재판연구원 2015

      7 김대환, "비례성원칙의 심사강도 - 비교법적 검토를 포함하여 -" 한국헌법학회 18 (18): 301-344, 2012

      8 Dworkin, Ronald, "법과 권리" 한길사 2010

      9 Ely, John Hart, "민주주의와 법원의 위헌심사" 나남출판 2006

      10 정문식, "미국 연방대법원 사법심사기준으로서 입법관련 자료에 대한 신뢰성 판단" 법학연구소 35 (35): 1-27, 2018

      11 방승주,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입법자에 대한 통제의 범위와 강도" 17 : 1996

      12 김문현, "기본권 영역별 위헌심사의 기준과 방법" 헌법재판소 2008

      13 정태호, "규범통제에서의 사실확인과 법률의 실제효과 예상" 전남대 21 (21): 2001

      14 김도균, "권리의 문법" 박영사 2008

      15 山本真敬, "立法裁量の判断過程統制の観念について" 61 (61): 2018

      16 宍戸常寿, "立法学のフロンティア 2" ナカニシヤ出版 2014

      17 巽智彦, "公法関係訴訟における事実認定について: 憲法訴訟を端緒として" (85) : 2016

      18 Schlaich, Klaus, "Verfassungsgerichtsbarkeit im Gefiige der Staatsfunktionen" 39 : 1981

      19 Harvey, Darren, "Towards Process-oriented Proportionality Review in the European Union" 23 (23): 2017

      20 Popelier, Patricia, "The Role of Constitutional Courts in Multilevel Governance" Intersentia 2012

      21 Meßerschmidt, Klaus, "The Role of Constitutional Courts in Multilevel Governance" Intersentia 2013

      22 Meßerschmidt, Klaus, "The Race to Rationality Review and the Score of the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6 : 2012

      23 Bar-Siman-Tov, Ittai, "The Puzzling Resistance to Judicial Review of the Legislative Process" 91 : 2011

      24 Lenaerts, Koen,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and Process-oriented Review" 2012

      25 Saul, Matthew,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Margin of Appreciation and the Processes of National Parliaments" 15 (15): 2015

      26 Bar-Siman-Tov, Ittai, "Semiprocedural Judicial Review" 6 : 2012

      27 Bickenbach, Christian, "Rational Lawmaking under Review: Legisprudence According to the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Springer 2016

      28 Meßerschmidt, Klaus, "Rational Lawmaking under Review: Legisprudence According to the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Springer 2016

      29 Waldhoff, Christian, "Rational Lawmaking under Review: Legisprudence According to the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Springer 2016

      30 Beijer, Malu, "Procedural Review in European Fundamental Rights Cas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31 Nussberger, Angelika, "Procedural Review in European Fundamental Rights Cas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32 Gerards, Janneke, "Procedural Review in European Fundamental Rights Cas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33 Popelier, Patricia, "Procedural Rationality: Giving Teeth to the Proportionality Analysis" 9 : 2013

      34 Arnardóttir, Oddný Mjöll, "Organised Retreat? The Move from ‘Substantive’ to ‘Procedural’ Review in the ECtHR’s Case Law on the Margin of Appreciation"

      35 Ossenbühl, Fritz, "Festschrift 50 Jahre Bundesverfassungsgericht" Mohr Siebeck 2001

      36 Alberto, Alemanno, "A Meeting of Minds on Impact Assessment: When Ex Ante Evaluation Meets Ex Post Judicial Control" 17 (17):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9 0.87 0.967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