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한 고전 다시 비교 연구 : 송대와 고려시대 다시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lassical Tea Poems from Chinese and Korean : A Focus on Tea Poems in Song Dynasty and Kory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668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ㆍ한 양국의 전통문화 가운데서 공통적인 요소를 재발견하는 관련 연구는 중층적 의의를 갖는다. 그 의의의 하나는 해당 요소를 재조명하는 과정 그 자체로부터 찾을 수 있다. 전통문화의 상징적 요소를 재조명하는 일은 동방의 우수한 문화를 올바로 전승하게 함으로써 유구한 역사의 영속성을 보장하는 매우 중요한 일로 된다. 다른 하나의 의의는 가속화 하는 현대사회를 향하여 새로운 문화적 생명력과 활력을 제공하는 데 있다. 관련 연구는 미래의 대안 문화 또는 새로운 문화 환경과 문명 발전의 지평을 확장 또는 재구조화 할 수 있는 상상력내지 반성의 계기를 제공한다. 바로 이러한 맥락으로부터, 전통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전형적 요소의 하나로서 차문화는 매우 중요한 인문자원(人文資源)이라고 말할 수 있고,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바로 이로부터 발원하였다.
      차는 동방문화의 정신과 특색을 가장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는 대표적인 문화 요소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중‧한 양국의 전통적 민족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차와 문학 장착의 결합은 차에 많은 사람들의 인문정신과 심미적 취향을 부여하였고, 결과적으로 차문화는 물질문화(物質文化)와 정신문화[非物質文化]가 높은 수준에서 밀접히 결합된 하나의 독특한 문화의 경지를 이루었다.
      차문화 발전의 유구한 역사를 주목할 때 중ㆍ한 양국의 문인들이 차와 관련한 다량의 시문을 창작하였음을 우선 확인하게 된다. 특히 그 가운데 다시(茶詩)는 유려한 시구 형식을 빌어 해당 시대의 명차, 다인, 차속, 차사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다. 관련 시가 작품은 당시의 사회생활과 심미 취향, 가치 지향 등을 상세하고 풍부하게 반영하고 있어서, 오늘날 우리가 고대 차문화를 연구하는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된다. 요컨대 이들 자료와 관련 자료에 대한 연구는 차문화의 현대적 가치 또는 미래 문화 발전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주요한 경로를 제공한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중국의 송대[宋朝, Song Dynasty 960—1279)와 한국의 고려시대(高麗時代, Koryo Dynasty 935—1392)의 다시를 우선 창작 주체인 다인별로 해당 작품을 목록화 하고 총체적 시각으로 송대와 고려시대 다시의 전체적 상황을 개괄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해, 본론의 전반부를 구성하는 제2장과 제3장에서 본 연구는 중국의 송대와 고려시대의 다시에 대해 총량적으로 정리하고, 1. 창작 배경 2. 창작 주체 3. 제재 4. 장르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다시의 창작 주체, 창작 배경 등의 유사점과 다른 점을 비교하여 다시 자체로부터 관련 차문화를 발굴하고 정리함으로써 인문학적 의미를 본격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초석을 놓았다.
      제4장은 본문의 후반부에 해당하며 본 연구의 핵심 내용에 해당한다. 다시에 표현된 해당 시기의 차생활, 문인들의 교류, 심미적 취향, 정신적 지향 등 다시에 나타난 차문화 각각 영역에 대해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중 다시에서 보이는 차문화 부분은 물질적 측면과 비물질 측면으로 나누어 상세히 비교 논증하였다. 차의 효용, 차문화와 관련한 제도, 차문화와 관련한 종교적ㆍ사상적ㆍ정신적 측면의 제 문제 등은 비물질적 차문화 영역으로 묶어 각각 상세히 고찰하였다. 일련의 고찰 과정을 통해 양국 다시의 관련성과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전통문화의 주요 요소로서 차문화의 현대적 가치 및 그 특질에 관해 토론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과정에서 문화학, 민속학, 인류학, 문예학 관련 이론 등을 두루 참고하여 차문화학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삼았다. 관련 이론에 힘입어 송대와 고려의 정치, 문학, 종교 등 사상적, 문화적 요소와 결합하여 송대와 고려시기 다시 또는 다인이 지향했던 인문학적 경지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비교하였다. 그리고 송대와 고려의 다시가 형식, 내용, 문화 등 영역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화이부동, 천일합일을 지향하였던 융합적 상황을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조명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의 송대와 한국의 고려시기 고전 다시를 다시 읽고 해석하는 과정이 그 자체로서 독특한 학술적 가치를 획득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성과는 다시의 독특한 문학 현상과 관련한 재발견이다. 다시에는 풍부하고 다양한 문화적 함의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수 천 편에 달하는 다시의 창작 총량으로 이미 웅변되거니와, 창작의 배경, 주체, 장르, 제재 등의 다양성과 관련되며, 중ㆍ한 고전 문화의 이러한 다양성 가운데 강력한 포용성과 흡인력이 존재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중국과 한국의 다시에 표현된 차문화의 비교 연구를 통해 중ㆍ한 양국의 고대 다시는 형식부터 내용, 개념, 문화적 함의 등에 이르기까지 풍부한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동시에 또한 각 민족의 역사, 정치, 문화 등을 융합시켜 각자의 민족적 특색을 함양하는 가치 지향을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문화학자들은 동방 국가는 반드시 “자신의 민족문화와 역사를 인지하고 이해해야 하며 현실과 연결하여 외래문화의 경험과 우수한 점을 존중하고 받아들여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외래문화와 공동으로 새로운 문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기하였다. 요컨대 다원적 문화 공생관계를 유지하고 스스로의 전통적 풍습과 역사문화 그리고 개인이 사회에 거는 기대를 수호해야 한다, 는 주장인데, 바로 전통 다시가 이러한 주장을 방증하는 유력한 증좌가 된다.
      두번째 성과는 미래의 새로운 문화 환경의 재구성 또는 재영토화와 관련된다. 통상적으로 민족 스스로의 우수한 전통문화를 발굴하여 보호하고 전파하는 일은 스스로의 문화파워 또는 소프트 파워를 강화시키는 유효한 방법이라고 평가된다. 특히 중ㆍ한 차문화야말로 동방문명을 대표하는 전통문화로서 마땅히 전승되고 발전시켜나가야 하는 문화적 자산이라고 인정된다. 따라서 차문화 또는 차문화의 우수성을 근거로 문화적 자신감을 찾고 동방의 독특한 심미적 취향과 가치 지향을 옹호하는 일이야말로 현실적 가치 또는 의의가 있는 연구라는 데 이의가 있을 수 없고, 이 점은 지극히 옳은 주장이다. 하지만 가속화하는 시간 관념과 공리적 자연철학 지향을 문명사적 차원에서 되물어야 하는 포스트모던 시대에 차문화 또는 차문화 연구의 가치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인터넷 기술로 가속화 하는 디지털 경제 환경과 글로벌 네트워크 경제의 현대화 과정에서 서구의 기술문명과 서방문화의 가치가 전 세계인의 생활 시스템과 영혼 속에 깊숙이 스며들면서 적지 않는 동방 국가들은 서방의 이른바 선진적인 기술문명과 관리경험을 학습하는 동시에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우수한 문화와 전통을 스스로 점차 외면하거나 의도적으로 방기하고 있다.
      중국이든 한국이든 민족의 우수한 전통문화가 부단히 와해되고 외면 받고 있으며, 더욱 우려스러운 점은 일부 젊은이들 사이에 “서방은 선진적이고 패션적이지만 동방은 낙후하고 우매하다”는 잘못된 관념이 확산 일로에 있다는 사실이다. 바로 이러한 지경에 다시 한 편, 한 시대의 차문화를 불러세우는 일은 고전 다시 읽기를 넘어서는 일이 된다. 요컨대 문명의 반성을 촉진하고 새로운 문화 환경을 만드는 과정 그 자체로서 매우 의미 있는 과업임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다시에는 풍부하고 다채로운 음차문화에 관한 기록을 포함하고 있어서, 고대 차문화의 풍부한 내용을 해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연구 과정 자체가 문학연구의 범위를 초월하여 더욱 광범위한 문화학 연구를 지향하는 독특한 학술가치를 갖게 된다는 점을 확인하게 된 사실은 본 연구의 커다란 수확이다. 다시 연구는 차문화를 공부하는 후대 연구자들의 좋은 연구 소재일 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연구에도 풍부한 연구 시각을 제공한다는 점을 재차 확인하고 강조하는 방식으로 본 연구의 후속 연구 방향을 기약하고자 한다.
      차는 일차적으로 일종의 음료이다. 하지만 차는 이에 그치지 않는다. 차는 우리의 일상 생활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사람들의 교류를 매개하고, 우정을 쌓게 하고, 인간의 정신을 고양시키며, 정신의 승화 형식의 하나로서 창작의 영감을 자극하는 영물 그 자체로 우리의 일상 속 깊은 곳에 자리를 잡았다. 인간의 존엄을 확인시키는 공간의 구성물이며, 찰나적 인생을 극복하고 여유로움을 찾아주는 시간의 통어자이며, 자아 상실의 혼돈으로부터 인간의 이성을 맑게 해주는 청량수이며, 고독하고 뜻대로 되지 않을 때 인륜과 자연을 성찰하게 해주는 거울로서 그 적극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중국의 송대와 한국의 고려시대에, 차는 선조들의 일상 생활과 동행하면서 그들이 인생을 비추는 명경이 되었다. 차 생활은 그들의 생활 방식, 사고 방식을 구성하는 생활의 일부분이 되었고, 그들의 심미적 취향과 가치 지향을 배양하는 데에 작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중ㆍ한 전통 다시 속에 나타난 차문화와 차정신의 비교 고찰을 통해 이 점을 종합적으로 규명한 점은 본 연구의 커다란 수확이다. 향후 더욱 광범위하고 전면적인 차문화 고찰과 관련 인식의 폭을 확장시켜서 서구문명 주도의 현대성을 극복하는 새로운 문화 환경을 구성해나가는 데 본 연구가 기여하는 바 있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중ㆍ한 양국의 전통문화 가운데서 공통적인 요소를 재발견하는 관련 연구는 중층적 의의를 갖는다. 그 의의의 하나는 해당 요소를 재조명하는 과정 그 자체로부터 찾을 수 있다. 전통문화의...

      중ㆍ한 양국의 전통문화 가운데서 공통적인 요소를 재발견하는 관련 연구는 중층적 의의를 갖는다. 그 의의의 하나는 해당 요소를 재조명하는 과정 그 자체로부터 찾을 수 있다. 전통문화의 상징적 요소를 재조명하는 일은 동방의 우수한 문화를 올바로 전승하게 함으로써 유구한 역사의 영속성을 보장하는 매우 중요한 일로 된다. 다른 하나의 의의는 가속화 하는 현대사회를 향하여 새로운 문화적 생명력과 활력을 제공하는 데 있다. 관련 연구는 미래의 대안 문화 또는 새로운 문화 환경과 문명 발전의 지평을 확장 또는 재구조화 할 수 있는 상상력내지 반성의 계기를 제공한다. 바로 이러한 맥락으로부터, 전통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전형적 요소의 하나로서 차문화는 매우 중요한 인문자원(人文資源)이라고 말할 수 있고,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바로 이로부터 발원하였다.
      차는 동방문화의 정신과 특색을 가장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는 대표적인 문화 요소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중‧한 양국의 전통적 민족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차와 문학 장착의 결합은 차에 많은 사람들의 인문정신과 심미적 취향을 부여하였고, 결과적으로 차문화는 물질문화(物質文化)와 정신문화[非物質文化]가 높은 수준에서 밀접히 결합된 하나의 독특한 문화의 경지를 이루었다.
      차문화 발전의 유구한 역사를 주목할 때 중ㆍ한 양국의 문인들이 차와 관련한 다량의 시문을 창작하였음을 우선 확인하게 된다. 특히 그 가운데 다시(茶詩)는 유려한 시구 형식을 빌어 해당 시대의 명차, 다인, 차속, 차사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다. 관련 시가 작품은 당시의 사회생활과 심미 취향, 가치 지향 등을 상세하고 풍부하게 반영하고 있어서, 오늘날 우리가 고대 차문화를 연구하는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된다. 요컨대 이들 자료와 관련 자료에 대한 연구는 차문화의 현대적 가치 또는 미래 문화 발전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주요한 경로를 제공한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중국의 송대[宋朝, Song Dynasty 960—1279)와 한국의 고려시대(高麗時代, Koryo Dynasty 935—1392)의 다시를 우선 창작 주체인 다인별로 해당 작품을 목록화 하고 총체적 시각으로 송대와 고려시대 다시의 전체적 상황을 개괄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해, 본론의 전반부를 구성하는 제2장과 제3장에서 본 연구는 중국의 송대와 고려시대의 다시에 대해 총량적으로 정리하고, 1. 창작 배경 2. 창작 주체 3. 제재 4. 장르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다시의 창작 주체, 창작 배경 등의 유사점과 다른 점을 비교하여 다시 자체로부터 관련 차문화를 발굴하고 정리함으로써 인문학적 의미를 본격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초석을 놓았다.
      제4장은 본문의 후반부에 해당하며 본 연구의 핵심 내용에 해당한다. 다시에 표현된 해당 시기의 차생활, 문인들의 교류, 심미적 취향, 정신적 지향 등 다시에 나타난 차문화 각각 영역에 대해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중 다시에서 보이는 차문화 부분은 물질적 측면과 비물질 측면으로 나누어 상세히 비교 논증하였다. 차의 효용, 차문화와 관련한 제도, 차문화와 관련한 종교적ㆍ사상적ㆍ정신적 측면의 제 문제 등은 비물질적 차문화 영역으로 묶어 각각 상세히 고찰하였다. 일련의 고찰 과정을 통해 양국 다시의 관련성과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전통문화의 주요 요소로서 차문화의 현대적 가치 및 그 특질에 관해 토론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과정에서 문화학, 민속학, 인류학, 문예학 관련 이론 등을 두루 참고하여 차문화학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삼았다. 관련 이론에 힘입어 송대와 고려의 정치, 문학, 종교 등 사상적, 문화적 요소와 결합하여 송대와 고려시기 다시 또는 다인이 지향했던 인문학적 경지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비교하였다. 그리고 송대와 고려의 다시가 형식, 내용, 문화 등 영역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화이부동, 천일합일을 지향하였던 융합적 상황을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조명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의 송대와 한국의 고려시기 고전 다시를 다시 읽고 해석하는 과정이 그 자체로서 독특한 학술적 가치를 획득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성과는 다시의 독특한 문학 현상과 관련한 재발견이다. 다시에는 풍부하고 다양한 문화적 함의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수 천 편에 달하는 다시의 창작 총량으로 이미 웅변되거니와, 창작의 배경, 주체, 장르, 제재 등의 다양성과 관련되며, 중ㆍ한 고전 문화의 이러한 다양성 가운데 강력한 포용성과 흡인력이 존재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중국과 한국의 다시에 표현된 차문화의 비교 연구를 통해 중ㆍ한 양국의 고대 다시는 형식부터 내용, 개념, 문화적 함의 등에 이르기까지 풍부한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동시에 또한 각 민족의 역사, 정치, 문화 등을 융합시켜 각자의 민족적 특색을 함양하는 가치 지향을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문화학자들은 동방 국가는 반드시 “자신의 민족문화와 역사를 인지하고 이해해야 하며 현실과 연결하여 외래문화의 경험과 우수한 점을 존중하고 받아들여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외래문화와 공동으로 새로운 문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기하였다. 요컨대 다원적 문화 공생관계를 유지하고 스스로의 전통적 풍습과 역사문화 그리고 개인이 사회에 거는 기대를 수호해야 한다, 는 주장인데, 바로 전통 다시가 이러한 주장을 방증하는 유력한 증좌가 된다.
      두번째 성과는 미래의 새로운 문화 환경의 재구성 또는 재영토화와 관련된다. 통상적으로 민족 스스로의 우수한 전통문화를 발굴하여 보호하고 전파하는 일은 스스로의 문화파워 또는 소프트 파워를 강화시키는 유효한 방법이라고 평가된다. 특히 중ㆍ한 차문화야말로 동방문명을 대표하는 전통문화로서 마땅히 전승되고 발전시켜나가야 하는 문화적 자산이라고 인정된다. 따라서 차문화 또는 차문화의 우수성을 근거로 문화적 자신감을 찾고 동방의 독특한 심미적 취향과 가치 지향을 옹호하는 일이야말로 현실적 가치 또는 의의가 있는 연구라는 데 이의가 있을 수 없고, 이 점은 지극히 옳은 주장이다. 하지만 가속화하는 시간 관념과 공리적 자연철학 지향을 문명사적 차원에서 되물어야 하는 포스트모던 시대에 차문화 또는 차문화 연구의 가치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인터넷 기술로 가속화 하는 디지털 경제 환경과 글로벌 네트워크 경제의 현대화 과정에서 서구의 기술문명과 서방문화의 가치가 전 세계인의 생활 시스템과 영혼 속에 깊숙이 스며들면서 적지 않는 동방 국가들은 서방의 이른바 선진적인 기술문명과 관리경험을 학습하는 동시에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우수한 문화와 전통을 스스로 점차 외면하거나 의도적으로 방기하고 있다.
      중국이든 한국이든 민족의 우수한 전통문화가 부단히 와해되고 외면 받고 있으며, 더욱 우려스러운 점은 일부 젊은이들 사이에 “서방은 선진적이고 패션적이지만 동방은 낙후하고 우매하다”는 잘못된 관념이 확산 일로에 있다는 사실이다. 바로 이러한 지경에 다시 한 편, 한 시대의 차문화를 불러세우는 일은 고전 다시 읽기를 넘어서는 일이 된다. 요컨대 문명의 반성을 촉진하고 새로운 문화 환경을 만드는 과정 그 자체로서 매우 의미 있는 과업임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다시에는 풍부하고 다채로운 음차문화에 관한 기록을 포함하고 있어서, 고대 차문화의 풍부한 내용을 해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연구 과정 자체가 문학연구의 범위를 초월하여 더욱 광범위한 문화학 연구를 지향하는 독특한 학술가치를 갖게 된다는 점을 확인하게 된 사실은 본 연구의 커다란 수확이다. 다시 연구는 차문화를 공부하는 후대 연구자들의 좋은 연구 소재일 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연구에도 풍부한 연구 시각을 제공한다는 점을 재차 확인하고 강조하는 방식으로 본 연구의 후속 연구 방향을 기약하고자 한다.
      차는 일차적으로 일종의 음료이다. 하지만 차는 이에 그치지 않는다. 차는 우리의 일상 생활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사람들의 교류를 매개하고, 우정을 쌓게 하고, 인간의 정신을 고양시키며, 정신의 승화 형식의 하나로서 창작의 영감을 자극하는 영물 그 자체로 우리의 일상 속 깊은 곳에 자리를 잡았다. 인간의 존엄을 확인시키는 공간의 구성물이며, 찰나적 인생을 극복하고 여유로움을 찾아주는 시간의 통어자이며, 자아 상실의 혼돈으로부터 인간의 이성을 맑게 해주는 청량수이며, 고독하고 뜻대로 되지 않을 때 인륜과 자연을 성찰하게 해주는 거울로서 그 적극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중국의 송대와 한국의 고려시대에, 차는 선조들의 일상 생활과 동행하면서 그들이 인생을 비추는 명경이 되었다. 차 생활은 그들의 생활 방식, 사고 방식을 구성하는 생활의 일부분이 되었고, 그들의 심미적 취향과 가치 지향을 배양하는 데에 작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중ㆍ한 전통 다시 속에 나타난 차문화와 차정신의 비교 고찰을 통해 이 점을 종합적으로 규명한 점은 본 연구의 커다란 수확이다. 향후 더욱 광범위하고 전면적인 차문화 고찰과 관련 인식의 폭을 확장시켜서 서구문명 주도의 현대성을 극복하는 새로운 문화 환경을 구성해나가는 데 본 연구가 기여하는 바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ies associated with rediscovering common factors among both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s multi-layered implications. One of them lies in the process of re-illuminating the factor. Re-illuminating symbolic factors of traditional culture is a significant matter that ensures the permanence of long history by succeeding the excellent oriental culture rightfully. Another implication is to provide new culture vitality and revitalization to the accelerating contemporary society. Relevant studies offer an opportunity of imagination to expand or restructure the future alternative culture, new cultural environment, or the horizon of civilization development or reflection. Tea culture(茶文化) can be said as a crucial humanistic resource(人文資源) as one of formal factors that represent traditional culture from this context. Question awareness of this study is derived from this point.
      Tea can be said as one of representative cultural factors involving an abundance of spirit and features of oriental culture. Obviously it holds an important position in both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ethnic cultures. In particular, the combination of tea with literary creation granted humanistic spirit and aesthetic taste of many people to teas, resulting in the fact that material culture(物質文化) and spiritual culture(精神文化/非物質文化) reached a single unique culture closely combined at a high level.
      Observing the long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it is first noticed that both Chinese and Korean literary figures wrote many poems regarding tea. Tea poetry among them records the famous tea, tea person, tea culture, and the history of tea at that time by borrowing splendid poetic styles. Relevant poems elaborate and reflect plentiful historical social life, aesthetic flavors, and oriented values. Thus, they are important references for studying the ancient tea culture. For instance, research on relevant data provides an important path for exploring the direction of modern value of tea culture or future cultural development.
      This study categorized tea poems(茶詩) of Song Dynasty(宋代, 960—1279) and Koryo Dynasty(高麗, 935—1392) by tea person(茶人) who create works and adopted methods of reviewing and analyzing the entire situation of tea poems in both times with the general perspective. Specifically, Chapter 2 and Chapter 3 in this study constituting the front part of body generally summarize Song Dynasty in China and Goryo Dynasty in Korea and explored them into 1. creation background, 2. creator, 3. subject, and 4. genre. It laid foundations to identify the humanistic meaning by comparing similarity with difference of creators of tea poems and creation background, exploring, and summarizing relevant tea culture from tea poems.
      Chapter 4 is the essence of this study in the late part. It compared each area of tea culture including tea life, exchange of literary figures, aesthetic flavor, and mental orientation presented in tea poems. Tea culture parts shown in tea poems were classified into material aspect and non-material aspect, thereby compared and argued in details.
      Tea efficacy, institutions related with tea culture, and rite matters in terms of tea efficacy and tea culture were included into non-material tea culture area and explored in details. The association of tea poems in both countries and influential relationship were identified in a series processes of examination.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contemporary value and features of tea culture as a major factor of traditional culture.
      This study referred cultural, ethnographic, anthropological, and literary theories in the course of study and served them as theoretical background of tea culture research. It systematically summarized and compared the humanistic status aimed by tea poems or tea people in both times in connection with ideological and cultural factors including politics, literature, and religion in both times supported by relevant theories. In addition, it aimed to illuminate the tea poems in both periods mutually affected in terms of style, contents, and culture and integrated situation aiming at Harmony but not sameness(和而不同) and the theory that man is an integral part of nature(天人合一) and multi-dimensioned way.
      This study obtained its unique academic value as the process of re-reading and interpreting classics written in Song Dynasty in China and Goryo Dynasty in Korea.
      The first outcome from this study is to rediscover unique cultural trend of tea poems. Abundant and diverse cultural implications are embedded in team poems. This was demonstrated by creative aggregation of thousands of tea poems and associated with the diversity such as creation background, subject, genre, and topics. It was found that stronger tolerance and absorption exist amid this diversity of Chinese and Korean classic culture. Abundant common points including style, contents, concept, and cultural implications from the ancient Chinese and Korean tea poems as well as they aim to value cultivating each ethnic features in combination with its history, politics, and culture were identified through comparison research of tea culture presented in Chinese and Korean tea poems.
      Cultural anthropologists claimed that orient countries “must recognize and understand its own ethnic culture and history, connect them with the reality, respect and accept experiences and excellent parts of foreign culture, obtain advantages, improve weak points, and create a joint new cultural environment with foreign culture.”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multilateral cultural coexistence relationship must be maintained and traditional custom, historical culture, and the expectation of individual on the society must be defended. Traditional tea poems serve as corroborative evidence of this argument.
      The second outcome is associated with restructuring a new future cultural environment and reterritorization. Typically exploring, protecting, and propagating its own ethnic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strengthening cultural power or soft power. Chinese and Korean tea culture particularly is recognized as cultural assets to be succeeded and developed as traditional culture representing the oriental civiliz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hat cultural confidence is regained based on tea culture or the excellence of tea culture and advocate oriental unique aesthetic taste and value orientation are studies with actual value or implications. This is a right argument. However, tea culture and its value are not limited to this point in the post-modern time in which accelerating time idea and the orientation towards utilitarian philosophia naturalis(自然哲學) should be requestioned in terms of the history of civilization.
      As western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western cultural value seep into the life system and spirits of people in the world in the process of accelerating digital economic environment and modernizing global network economy due to Internet technology, a number of oriental countries learn advanced western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management experiences, and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ignore or deliberately neglect its excellent culture and tradition at the same time.
      Excellent ethnic traditional culture either in China or in Korea are constantly ruined and neglected. What is worse, the wrong conception that “western is more advanced and fashionable, while orient is degraded and ignorant” is at the verge of spreading among some young people. In the face of this pending situation, recalling tea culture in a single period again overcomes re-reading classics. Thus, it was found that it is very meaningful task as the process of promoting the civilization reflection and creating a new cultural environment.
      Lastly, identifying the fact that team poem involves records on abundant and diverse drinking tea culture, there by having its unique academic value aiming at more extensive cultural studies as research process surpasses the scope of cultural studies as well as decoding abundant contents of the ancient tea culture is a huge gain from this research. Follow-up research can be promised in a way that it reaffirms and emphasizes the fact that research on tea poems is not only a good topic for descendant researchers, but provides abundant research insights to other cultural studies.
      First of all, tea is a sort of beverage. However, it is limited to just tea. Tea served to mediate exchanges among people, enables them to maintain friendship, elevate human spirits, and has been settled deep into our daily routines as a spiritual being inspiring creation as a spiritual sublimation style. It actively functions as a spatial object identifying the human dignity, time governor overcoming the short-period life and composure, dignified fresh water clearing human reason from the chaos of self-loss, and a mirror reflecting humanity and nature when we are isolated and matters do not follows as we want.
      Tea served as a mirror reflecting their lives accompanied by routine lives of ancestors in Song Dynasty in China and Goryo Dynasty in Korea. Tea life became a part of life constituting their live styles and thinking and significantly affected the cultivation of their aesthetic taste and value orientation. Identifying this point in a comprehensive way by comparing and reflecting tea culture and tea spirit presented in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tea poems is a huge gain from this research. Contribution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expand the scope of awareness regarding the extensive and general exploration of tea culture and create a new cultural environment overcoming the modernity(現代性) spearheaded by the western civilization.
      번역하기

      Studies associated with rediscovering common factors among both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s multi-layered implications. One of them lies in the process of re-illuminating the factor. Re-illuminating symbolic factors of traditional cultu...

      Studies associated with rediscovering common factors among both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s multi-layered implications. One of them lies in the process of re-illuminating the factor. Re-illuminating symbolic factors of traditional culture is a significant matter that ensures the permanence of long history by succeeding the excellent oriental culture rightfully. Another implication is to provide new culture vitality and revitalization to the accelerating contemporary society. Relevant studies offer an opportunity of imagination to expand or restructure the future alternative culture, new cultural environment, or the horizon of civilization development or reflection. Tea culture(茶文化) can be said as a crucial humanistic resource(人文資源) as one of formal factors that represent traditional culture from this context. Question awareness of this study is derived from this point.
      Tea can be said as one of representative cultural factors involving an abundance of spirit and features of oriental culture. Obviously it holds an important position in both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ethnic cultures. In particular, the combination of tea with literary creation granted humanistic spirit and aesthetic taste of many people to teas, resulting in the fact that material culture(物質文化) and spiritual culture(精神文化/非物質文化) reached a single unique culture closely combined at a high level.
      Observing the long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it is first noticed that both Chinese and Korean literary figures wrote many poems regarding tea. Tea poetry among them records the famous tea, tea person, tea culture, and the history of tea at that time by borrowing splendid poetic styles. Relevant poems elaborate and reflect plentiful historical social life, aesthetic flavors, and oriented values. Thus, they are important references for studying the ancient tea culture. For instance, research on relevant data provides an important path for exploring the direction of modern value of tea culture or future cultural development.
      This study categorized tea poems(茶詩) of Song Dynasty(宋代, 960—1279) and Koryo Dynasty(高麗, 935—1392) by tea person(茶人) who create works and adopted methods of reviewing and analyzing the entire situation of tea poems in both times with the general perspective. Specifically, Chapter 2 and Chapter 3 in this study constituting the front part of body generally summarize Song Dynasty in China and Goryo Dynasty in Korea and explored them into 1. creation background, 2. creator, 3. subject, and 4. genre. It laid foundations to identify the humanistic meaning by comparing similarity with difference of creators of tea poems and creation background, exploring, and summarizing relevant tea culture from tea poems.
      Chapter 4 is the essence of this study in the late part. It compared each area of tea culture including tea life, exchange of literary figures, aesthetic flavor, and mental orientation presented in tea poems. Tea culture parts shown in tea poems were classified into material aspect and non-material aspect, thereby compared and argued in details.
      Tea efficacy, institutions related with tea culture, and rite matters in terms of tea efficacy and tea culture were included into non-material tea culture area and explored in details. The association of tea poems in both countries and influential relationship were identified in a series processes of examination.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contemporary value and features of tea culture as a major factor of traditional culture.
      This study referred cultural, ethnographic, anthropological, and literary theories in the course of study and served them as theoretical background of tea culture research. It systematically summarized and compared the humanistic status aimed by tea poems or tea people in both times in connection with ideological and cultural factors including politics, literature, and religion in both times supported by relevant theories. In addition, it aimed to illuminate the tea poems in both periods mutually affected in terms of style, contents, and culture and integrated situation aiming at Harmony but not sameness(和而不同) and the theory that man is an integral part of nature(天人合一) and multi-dimensioned way.
      This study obtained its unique academic value as the process of re-reading and interpreting classics written in Song Dynasty in China and Goryo Dynasty in Korea.
      The first outcome from this study is to rediscover unique cultural trend of tea poems. Abundant and diverse cultural implications are embedded in team poems. This was demonstrated by creative aggregation of thousands of tea poems and associated with the diversity such as creation background, subject, genre, and topics. It was found that stronger tolerance and absorption exist amid this diversity of Chinese and Korean classic culture. Abundant common points including style, contents, concept, and cultural implications from the ancient Chinese and Korean tea poems as well as they aim to value cultivating each ethnic features in combination with its history, politics, and culture were identified through comparison research of tea culture presented in Chinese and Korean tea poems.
      Cultural anthropologists claimed that orient countries “must recognize and understand its own ethnic culture and history, connect them with the reality, respect and accept experiences and excellent parts of foreign culture, obtain advantages, improve weak points, and create a joint new cultural environment with foreign culture.”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multilateral cultural coexistence relationship must be maintained and traditional custom, historical culture, and the expectation of individual on the society must be defended. Traditional tea poems serve as corroborative evidence of this argument.
      The second outcome is associated with restructuring a new future cultural environment and reterritorization. Typically exploring, protecting, and propagating its own ethnic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strengthening cultural power or soft power. Chinese and Korean tea culture particularly is recognized as cultural assets to be succeeded and developed as traditional culture representing the oriental civiliz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hat cultural confidence is regained based on tea culture or the excellence of tea culture and advocate oriental unique aesthetic taste and value orientation are studies with actual value or implications. This is a right argument. However, tea culture and its value are not limited to this point in the post-modern time in which accelerating time idea and the orientation towards utilitarian philosophia naturalis(自然哲學) should be requestioned in terms of the history of civilization.
      As western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western cultural value seep into the life system and spirits of people in the world in the process of accelerating digital economic environment and modernizing global network economy due to Internet technology, a number of oriental countries learn advanced western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management experiences, and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ignore or deliberately neglect its excellent culture and tradition at the same time.
      Excellent ethnic traditional culture either in China or in Korea are constantly ruined and neglected. What is worse, the wrong conception that “western is more advanced and fashionable, while orient is degraded and ignorant” is at the verge of spreading among some young people. In the face of this pending situation, recalling tea culture in a single period again overcomes re-reading classics. Thus, it was found that it is very meaningful task as the process of promoting the civilization reflection and creating a new cultural environment.
      Lastly, identifying the fact that team poem involves records on abundant and diverse drinking tea culture, there by having its unique academic value aiming at more extensive cultural studies as research process surpasses the scope of cultural studies as well as decoding abundant contents of the ancient tea culture is a huge gain from this research. Follow-up research can be promised in a way that it reaffirms and emphasizes the fact that research on tea poems is not only a good topic for descendant researchers, but provides abundant research insights to other cultural studies.
      First of all, tea is a sort of beverage. However, it is limited to just tea. Tea served to mediate exchanges among people, enables them to maintain friendship, elevate human spirits, and has been settled deep into our daily routines as a spiritual being inspiring creation as a spiritual sublimation style. It actively functions as a spatial object identifying the human dignity, time governor overcoming the short-period life and composure, dignified fresh water clearing human reason from the chaos of self-loss, and a mirror reflecting humanity and nature when we are isolated and matters do not follows as we want.
      Tea served as a mirror reflecting their lives accompanied by routine lives of ancestors in Song Dynasty in China and Goryo Dynasty in Korea. Tea life became a part of life constituting their live styles and thinking and significantly affected the cultivation of their aesthetic taste and value orientation. Identifying this point in a comprehensive way by comparing and reflecting tea culture and tea spirit presented in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tea poems is a huge gain from this research. Contribution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expand the scope of awareness regarding the extensive and general exploration of tea culture and create a new cultural environment overcoming the modernity(現代性) spearheaded by the western civiliz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第一章 序論 1
      • 第一節 研究背景與研究目的 1
      • 第二節 研究内容與研究方法 3
      • 第三節 先行研究综述 5
      • Abstract
      • 第一章 序論 1
      • 第一節 研究背景與研究目的 1
      • 第二節 研究内容與研究方法 3
      • 第三節 先行研究综述 5
      • 1. 中國對茶詩的研究狀況 5
      • 2. 韓國對茶詩的研究狀況 8
      • 3. 中韓古詩比较研究狀況 10
      • 第二章 宋代和高麗茶詩槪況 12
      • 第一節 宋代和高麗的經濟、文化交往 12
      • 第二節 茶詩的界定及源流 15
      • 第三節 宋代茶詩槪況 22
      • 第四節 高麗茶詩槪況 24
      • 第三章 宋代和高麗茶詩比較 27
      • 第一節 茶詩的创作背景比較 27
      • 1. 宋朝的時代背景 28
      • 2. 高麗的時代背景 31
      • 第二節 茶詩的創作主體比較 35
      • 1. 文人, 士大夫 35
      • 2. 佛教僧侶 36
      • 3. 道家人士 37
      • 4. 其他創作群體 39
      • 第三節 茶詩的題材和體材 41
      • 1. 茶詩的題材 42
      • 2. 茶詩的體裁 46
      • 第四章 茶詩中呈現的茶文化比較 59
      • 第一節 物質文化層面 59
      • 1. 名茶 59
      • 2. 採茶, 製茶 66
      • 3. 煎茶, 飮茶 72
      • 4. 茶泉, 茶水 76
      • 5. 茶器, 茶具 84
      • 第二節 非物質文化層面 91
      • 1. 茶的效能 91
      • 2. 茶政 95
      • 3. 茶俗 100
      • 4. 三敎思想合流 118
      • 5. 茶人友情 125
      • 6. 文人的審美雅趣 129
      • 7. 茶詩中體現的文人風骨 136
      • 8. 禪茶文化 148
      • 第五章 結論 151
      • 參考文獻 156
      • 국문초록 16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高麗茶詩和文化》, 郑书京, 首尔:도서출판 이른아침,, , 2008

      2. 《孟子의浩然之氣硏究》, 金善弘, 圆光大学校东方学大学院硕士学位论文,, , 2005

      3. 《朝鮮初期의佛敎政策》, 金鎭煐, 延世大学教育大学院硕士学位论文,, , 1998

      4. 《東亞細亞茶文化比較》, 趙紀貞, 光州:미스터페이퍼,, , 2016

      5. 《耘谷元天錫의詩文學硏究》, 林鍾旭, 东国大学大学院博士学位论文,, , 1997

      1. 《高麗茶詩和文化》, 郑书京, 首尔:도서출판 이른아침,, , 2008

      2. 《孟子의浩然之氣硏究》, 金善弘, 圆光大学校东方学大学院硕士学位论文,, , 2005

      3. 《朝鮮初期의佛敎政策》, 金鎭煐, 延世大学教育大学院硕士学位论文,, , 1998

      4. 《東亞細亞茶文化比較》, 趙紀貞, 光州:미스터페이퍼,, , 2016

      5. 《耘谷元天錫의詩文學硏究》, 林鍾旭, 东国大学大学院博士学位论文,, ,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