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구려 守墓碑 건립의 연혁과 배경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022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4세기 중엽 전연의 침공으로 고구려의 수묘제는 이완되기 시작하였고, 그 결과 수묘비가 건립되었다. 그러나 당시의 대책은 실효성이 떨어졌다. 그렇기에 문제가 지속되었고, 결국 4세기 말 ...

      4세기 중엽 전연의 침공으로 고구려의 수묘제는 이완되기 시작하였고, 그 결과 수묘비가 건립되었다. 그러나 당시의 대책은 실효성이 떨어졌다. 그렇기에 문제가 지속되었고, 결국 4세기 말 몇몇 왕의 신주가 위험에 처하는 상황까지 발생한다. 이때는 무덤 중시 풍조가 약화된 반면, 종묘가 부상하던 시기였다. 이에 왕권은 종묘 개편과 아울러 각 왕릉에는 烟戶頭를 새긴 묘상비를, 왕릉 밀집 구역에는 수묘인을 대상으로 한 권역비를 세워 수묘제를 정비하였다. 집안고구려비는 권역비의 하나이다. 장수왕 집권 초에는 다시 한 번 수묘제가 개편되었는데, 관련 사항은 광개토왕비에 새겨졌다. 묘상비와 권역비가 하던 역할을 광개토왕비의 수묘인연호조가 대신하게 된 것이다. 그 배경에는 광개토왕비가 지니는 공시적 효과와 함께 무덤 중시 풍조의 쇠퇴가 자리하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early fourth century Qian Yan’s invasion caused damage to the tombguarding system of Goguryeo, which led to the erection of the tomb-guarding monument. Since this countermeasure was inefficient, in the late fourth century some kings’ spirit...

      In the early fourth century Qian Yan’s invasion caused damage to the tombguarding system of Goguryeo, which led to the erection of the tomb-guarding monument. Since this countermeasure was inefficient, in the late fourth century some kings’ spirit tablets were in danger of damage. By that time the culture of tomb worship got weakened with the emergence of royal ancestor’s shrine. As a result, the ancestor’s shrine ritual was reformed, tomb monuments were built near royal tombs, with the names of the heads of dwelling units inscribed on them, and monuments-in-area were built in royal tomb density areas for the tomb guards. Jian Goguryeo Bi is one of the monuments-in-area. The tomb-gurading system was reformed for the second time in King Jangsu’s early reign ; details were inscribed on King Gwanggaeto’s memorial stone. King Gwanggaeto’s memorial stone came to replace both tomb monuments and monuments-in-area. This is because the message of King Gwanggaeto’s memorial stone addressed to the public and because the culture of tomb worship got weaken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4세기 중엽 守墓制 이완과 ‘以銘’ 조치
      • III. 4세기 말 ‘神亡’ 현상과 墓上碑 · 圈域碑 조성
      • IV. 廣開土王碑 건립과 기존 守墓碑 정리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4세기 중엽 守墓制 이완과 ‘以銘’ 조치
      • III. 4세기 말 ‘神亡’ 현상과 墓上碑 · 圈域碑 조성
      • IV. 廣開土王碑 건립과 기존 守墓碑 정리
      • V.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기환, "한국 고대사 연구의 자료와 해석" 사계절 2014

      2 기경량, "집안고구려비의 성격과 고구려의 수묘제 개편" 한국고대사학회 (76) : 203-240, 2014

      3 임기환, "집안고구려비와 광개토왕비를 통해본 고구려 守墓制의 변천" 고려사학회 (54) : 95-129, 2014

      4 최일례, "집안고구려비에 보이는 ‘守墓人 買賣 禁止’ 규정 검토" 한국목간학회 (16) : 15-39, 2016

      5 조법종, "집안고구려비를 통해 본 고구려비의 특성과 수묘제" 2013

      6 강현숙, "집안 고구려비에 대한 고고학적 추론 - 묘상입비와 관련하여" 고구려발해학회 50 : 257-280, 2014

      7 楊寬, "중국 역대 陵寢 제도" 서경 2005

      8 金容天, "전한후기 예제담론" 선인 2007

      9 선주선, "신발견〈집안고구려비〉판독 및 서체 검토" 2013

      10 이용현, "신발견 고구려비와 광개토왕비의 비교" 2013

      1 임기환, "한국 고대사 연구의 자료와 해석" 사계절 2014

      2 기경량, "집안고구려비의 성격과 고구려의 수묘제 개편" 한국고대사학회 (76) : 203-240, 2014

      3 임기환, "집안고구려비와 광개토왕비를 통해본 고구려 守墓制의 변천" 고려사학회 (54) : 95-129, 2014

      4 최일례, "집안고구려비에 보이는 ‘守墓人 買賣 禁止’ 규정 검토" 한국목간학회 (16) : 15-39, 2016

      5 조법종, "집안고구려비를 통해 본 고구려비의 특성과 수묘제" 2013

      6 강현숙, "집안 고구려비에 대한 고고학적 추론 - 묘상입비와 관련하여" 고구려발해학회 50 : 257-280, 2014

      7 楊寬, "중국 역대 陵寢 제도" 서경 2005

      8 金容天, "전한후기 예제담론" 선인 2007

      9 선주선, "신발견〈집안고구려비〉판독 및 서체 검토" 2013

      10 이용현, "신발견 고구려비와 광개토왕비의 비교" 2013

      11 강진원, "신발견 〈集安高句麗碑〉의 판독과 연구 현황-약간의 陋見을 덧붙여-" 11 : 2013

      12 여호규, "신발견 <集安高句麗碑>의 구성과 내용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70) : 51-100, 2013

      13 금경숙, "새로 발견된 ‘지안고구려비’에 관한 몇 가지 고찰" 71 : 2013

      14 이우태, "금석학적으로 본 광개토왕비-비의 형태와 위치를 중심으로-" 2012

      15 정호섭, "광개토왕비와 집안고구려비의 비교 연구" 한국사연구회 (167) : 1-40, 2014

      16 임기환, "광개토왕비문에 보이는 時制 서술법과 歷史觀" 영남문화연구원 (26) : 37-64, 2014

      17 김현숙, "광개토왕비, 집안고구려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수묘제 정비" 영남문화연구원 (26) : 7-36, 2014

      18 백승옥, "광개토왕릉비의 성격과 장군총의 주인공" 한국고대사학회 (41) : 47-84, 2006

      19 조법종, "광개토왕릉비의 四面碑 특성과 동북아시아적 전통 - 주변국가의 석비 및 기념물과의 비교 -" 고구려발해학회 51 : 123-156, 2015

      20 강진원, "고구려 陵園制의 정비와 그 배경" 동북아역사재단 (39) : 7-52, 2013

      21 강진원, "고구려 陵園制의 쇠퇴와 그 배경"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3) : 189-218, 2013

      22 홍승우, "고구려 율령의 형식과 제정방식 -<광개토왕비>와 <집안고구려비>의 사례 분석-" 한국목간학회 (16) : 63-83, 2016

      23 김현숙, "고구려 수묘제守墓制 연구의 현황과 쟁점" 한국국학진흥원 (26) : 7-42, 2015

      24 기경량, "고구려 국내성 시기의 왕릉과 수묘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25 강진원, "고구려 宗廟制의 전개와 변천" 고구려발해학회 53 : 29-54, 2015

      26 김창석, "고구려 守墓法의 제정 경위와 布告 방식 - 신발견 集安高句麗碑의 분석" 국학연구원 (169) : 75-100, 2015

      27 강진원, "고구려 墓祭의 전통과 그 배경 - 「집안고구려비문」의 이해를 덧붙여 -" 진단학회 (122) : 1-24, 2014

      28 강진원, "고구려 墓祭의 변화와 그 배경 - 무덤 중시 풍조의 약화와 관련하여 -" 한국사학회 (117) : 5-38, 2015

      29 박한제, "魏晋南北朝-隋唐時代 葬俗·葬具의 變化와 墓誌銘 - 그 資料的 性格-" 한국고대사학회 (75) : 5-60, 2014

      30 羅宗眞, "魏晉南北朝考古" 文物出版社 2001

      31 박한제, "魏晉南北朝時代 墓葬習俗의 變化와 墓誌銘의 流行" 동양사학회 (104) : 37-83, 2008

      32 이도학, "高句麗 守墓發令碑에 대한 接近" 한국사상사학회 (43) : 85-116, 2013

      33 정동민, "韓國古代史學會 <集安高句麗碑> 判讀會 結果" 한국고대사학회 (70) : 409-417, 2013

      34 張福有, "集安麻線高句麗碑碑文補釋與識讀解析" 2013 (2013): 2013

      35 張福有, "集安麻線高句麗碑探綜" 2013 (2013): 2013

      36 林澐, "集安麻線高句麗碑小識" 2013 (2013): 2013

      37 김현숙, "集安高句麗碑의 건립시기와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72) : 5-35, 2013

      38 여호규, "集安高句麗碑와 광개토왕릉비 序頭의 단락구성과 서술내용 비교" 신라문화연구소 45 : 35-66, 2015

      39 集安市博物館, "集安高句麗碑調査報告" 2013 (2013): 2013

      40 耿鐵華, "集安高句麗碑考釋" 2013 (2013): 2013

      41 권인한, "集安高句麗碑文의 판독과 해석" 한국목간학회 (16) : 277-303, 2016

      42 孫仁杰, "集安高句麗碑文識讀" 2013 (2013): 2013

      43 董峰, "集安高句麗碑出土紀" 2013 (2013): 2013

      44 集安市博物館, "集安高句麗碑" 吉林大學出版社 2013

      45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集安高句麗王陵-2000~2003年集安高句麗王陵調査報告" 文物出版社 2004

      46 손인걸, "集安高句丽碑识读与文字比较" 한국고대사학회 (70) : 219-247, 2013

      47 耿鐵華, "集安新出土高句麗碑的重要價値" 2013 (2013): 2013

      48 윤용구, "集安 高句麗碑의 拓本과 判讀" 한국고대사학회 (70) : 5-49, 2013

      49 정호섭, "集安 高句麗碑의 性格과 주변의 高句麗 古墳" 한국고대사학회 (70) : 101-138, 2013

      50 조우연, "集安 高句麗碑에 나타난 왕릉제사와 조상인식" 한국고대사학회 (70) : 139-179, 2013

      51 魏存成, "關于新出集安高句麗碑的幾點思考" 2013 (2013): 2013

      52 盧泰敦, "譯註 韓國古代金石文Ⅰ-고구려·백제·낙랑 편-"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53 김선민, "董仲舒의 寢殿ㆍ郡國廟 비판론과 그 의도" 중국고중세사학회 (36) : 247-276, 2015

      54 耿鐵華, "新發現的集安高句麗碑初步硏究" 2013 (2013): 2013

      55 홍승현, "後漢代 墓碑의 성행과 建安十年 禁碑令의 반포" 동양사학회 (124) : 61-100, 2013

      56 정호섭, "廣開土王碑의 성격과 5세기 高句麗의 守墓制 改編" 한국고대학회 (37) : 131-158, 2012

      57 주보돈, "廣開土王碑와 長壽王" 한국목간학회 (16) : 41-62, 2016

      58 홍승현, "墓碑의 출현과 後漢末 墓碑銘의 정형화" 중국고중세사학회 (35) : 287-331, 2015

      59 來村多加史, "唐代皇帝陵の硏究" 學生社 2001

      60 劉慶柱, "前漢皇帝陵の硏究" 學生社 1991

      61 郭善兵, "中國古代帝王宗廟禮制硏究" 人民出版社 2007

      62 徐建新, "中國出土“集安高句麗碑”試析" 2013 (2013): 2013

      63 경철화, "中国集安出土高句丽碑的真实性" 한국고대사학회 (70) : 249-271, 2013

      64 공석구, "『集安高句麗碑』의 발견과 내용에 대한 考察" 고구려발해학회 45 : 27-54, 2013

      65 김수태, "「집안고구려비」에 보이는 율령제" 한국고대사학회 (72) : 37-82, 2013

      66 홍승우, "<集安高句麗碑>에 나타난 高句麗 律令의 형식과 守墓制" 한국고대사학회 (72) : 83-117, 2013

      67 이성제, "<集安 高句麗碑>로 본 守墓制" 한국고대사학회 (70) : 181-218, 2013

      68 김창석, "5세기 이전 고구려의 王命體系와 집안고구려비의 ‘敎’ㆍ‘令’" 한국고대사학회 (75) : 265-304, 2014

      69 전덕재, "373년 고구려 율령의 반포 배경과 그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80) : 39-80,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7 3.4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