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쾌동류 거문고산조의 내드름 硏究 : 진양조를 中心으로 = Research of beginning of Shinkwaedong style Gomungo Sanj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559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거문고산조는 백낙준이 창시하여 김종기, 신쾌동, 박석기 등에 전수되어 현재 널리 연주되고 있으며 거문고 연주자들에게 있어서 빠질 수 없는 음악의 장르로 자리 매김을 하였다.,
      현재 거문고산조는 신쾌동류와 한갑득류가 활발히 연주되고 있으며 거문고 산조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다양하게 시도되었다. 하지만 그 연구가 대부분 조 변화와 선율분석에 치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쾌동류 거문고산조 중 진양조를 구성하고 있는 우조, 평조, 계면조 가락의 종지형을 살펴보고 이에 따르는 가락구분과 가락구분에서 출현하는 선율적 내드름을 파악하여 분석,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우조가락의 종지형은 본청→본청 종지로 4개의 가락으로 구분되며 e^bㆍg음 중심의 떠는음 내드름, c음 중심의 본청 내드름, b^b 음 중심의 꺾는윗음내드름이 출현함을 알 수 있다.
      둘째, 평조가락의 종지형은 본청→본청 종지로 3개의 가락으로 구분되며 F음 중심의 하청 내드름, G음 중심의 본청내드름이 출현함을 알 수 있다.
      셋째, 계면조가락의 종지형은 본청→본청, 떠는음→본청, 엇청→본청, 꺾는음→본청 종지로 27개의 가락으로 구분되며 c, f, g음 중심의 본청 내드름, b^bㆍgㆍa^b 음 중심의 꺾는음 내드름, fㆍb^b 음 중심의 엇청 내드름, b^bㆍgㆍc 음 중심의 떠는음 내드름, b^b 음 중심의 더음청 내드름이 출현함을 알 수 있다.
      이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신쾌동류 거문고산조 중 진양조는 우조ㆍ평조ㆍ계면조로 구성되어 있다. 우조는 4개의 가락과 3가지 내드름 형태, 평조는 3개의 가락과 2가지의 내드름 형태, 계면조는 27개의 가락과 5가지의 내드름 형태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거문고산조는 백낙준이 창시하여 김종기, 신쾌동, 박석기 등에 전수되어 현재 널리 연주되고 있으며 거문고 연주자들에게 있어서 빠질 수 없는 음악의 장르로 자리 매김을 하였다., 현재 거...

      거문고산조는 백낙준이 창시하여 김종기, 신쾌동, 박석기 등에 전수되어 현재 널리 연주되고 있으며 거문고 연주자들에게 있어서 빠질 수 없는 음악의 장르로 자리 매김을 하였다.,
      현재 거문고산조는 신쾌동류와 한갑득류가 활발히 연주되고 있으며 거문고 산조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다양하게 시도되었다. 하지만 그 연구가 대부분 조 변화와 선율분석에 치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쾌동류 거문고산조 중 진양조를 구성하고 있는 우조, 평조, 계면조 가락의 종지형을 살펴보고 이에 따르는 가락구분과 가락구분에서 출현하는 선율적 내드름을 파악하여 분석,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우조가락의 종지형은 본청→본청 종지로 4개의 가락으로 구분되며 e^bㆍg음 중심의 떠는음 내드름, c음 중심의 본청 내드름, b^b 음 중심의 꺾는윗음내드름이 출현함을 알 수 있다.
      둘째, 평조가락의 종지형은 본청→본청 종지로 3개의 가락으로 구분되며 F음 중심의 하청 내드름, G음 중심의 본청내드름이 출현함을 알 수 있다.
      셋째, 계면조가락의 종지형은 본청→본청, 떠는음→본청, 엇청→본청, 꺾는음→본청 종지로 27개의 가락으로 구분되며 c, f, g음 중심의 본청 내드름, b^bㆍgㆍa^b 음 중심의 꺾는음 내드름, fㆍb^b 음 중심의 엇청 내드름, b^bㆍgㆍc 음 중심의 떠는음 내드름, b^b 음 중심의 더음청 내드름이 출현함을 알 수 있다.
      이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신쾌동류 거문고산조 중 진양조는 우조ㆍ평조ㆍ계면조로 구성되어 있다. 우조는 4개의 가락과 3가지 내드름 형태, 평조는 3개의 가락과 2가지의 내드름 형태, 계면조는 27개의 가락과 5가지의 내드름 형태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ˇmungo Sanjo was developed by Paeknakjun and be handed down to Kimjonggi, Shinkwaedong and Parkseokgi. Now Goˇmungo Sanjo is a very popular music and one of the important genre of music to Goˇmungo players.
      In the playing of Goˇmungo Sanjo, Shinkwaedong style and Hangapdeuk style are favorite with Goˇmungo players.
      Up to now, several kinds of researches have been done on Goˇmungo Sanjo. But most of these researches are focus on changing of Jo and analysis of melody.
      So, in this report, I will check the ending style of tune of Ujo, Pyeongjo, Kyemyeonjo which form Chinyangjo in Shinkwaedong style Goˇmungo Sanjo and with this research, I can make below conclusion after separating each beginning style.
      First, ending style of tune of Ujo is Original note→Original note. Tune of Ujo consists of 4 different tune. Ujo has three different style of beginning and each style is like this.
      Trembling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e^bㆍg
      Original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c
      Turning upper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b^b
      Second, ending style of tune of Pyeongjo is Original note→Original note. Tune of Pyeongjo consists of 3 different tune. Pyeongjo has two different style of beginning and each style is like this.
      Bottom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F
      Original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G
      Third, ending style of tune of Kyemyeonjo is Original note→Original note, Trembling note→Original note, Crossing note→Original note, turning note→Original note. Tune of Kyemyeonjo consists of 27 different tune. Kyemyeonjo has five different style of beginning and each style is like this.
      Original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c, f, g
      Turning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b^bㆍgㆍa^b
      Crossing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fㆍb^b
      Trembling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b^bㆍgㆍc
      Adding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b^b
      When I summarize the result so far, I can define like this.
      Chinyangjo of Shinkwaedong style Goˇmungo Sanjo consists of UjoㆍPyeongjoㆍKyemyeonjo.
      Ujo consists of 4 tunes and 3 types of beginning style, Pyeongjo consists of 3 tunes and 2 types of beginning style, Kyemyeonjo consists of 27 tunes and 5 types of beginning style.


      번역하기

      Goˇmungo Sanjo was developed by Paeknakjun and be handed down to Kimjonggi, Shinkwaedong and Parkseokgi. Now Goˇmungo Sanjo is a very popular music and one of the important genre of music to Goˇmungo players. In the playing of Goˇmungo Sanjo, Shi...

      Goˇmungo Sanjo was developed by Paeknakjun and be handed down to Kimjonggi, Shinkwaedong and Parkseokgi. Now Goˇmungo Sanjo is a very popular music and one of the important genre of music to Goˇmungo players.
      In the playing of Goˇmungo Sanjo, Shinkwaedong style and Hangapdeuk style are favorite with Goˇmungo players.
      Up to now, several kinds of researches have been done on Goˇmungo Sanjo. But most of these researches are focus on changing of Jo and analysis of melody.
      So, in this report, I will check the ending style of tune of Ujo, Pyeongjo, Kyemyeonjo which form Chinyangjo in Shinkwaedong style Goˇmungo Sanjo and with this research, I can make below conclusion after separating each beginning style.
      First, ending style of tune of Ujo is Original note→Original note. Tune of Ujo consists of 4 different tune. Ujo has three different style of beginning and each style is like this.
      Trembling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e^bㆍg
      Original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c
      Turning upper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b^b
      Second, ending style of tune of Pyeongjo is Original note→Original note. Tune of Pyeongjo consists of 3 different tune. Pyeongjo has two different style of beginning and each style is like this.
      Bottom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F
      Original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G
      Third, ending style of tune of Kyemyeonjo is Original note→Original note, Trembling note→Original note, Crossing note→Original note, turning note→Original note. Tune of Kyemyeonjo consists of 27 different tune. Kyemyeonjo has five different style of beginning and each style is like this.
      Original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c, f, g
      Turning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b^bㆍgㆍa^b
      Crossing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fㆍb^b
      Trembling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b^bㆍgㆍc
      Adding note beginning which is base on b^b
      When I summarize the result so far, I can define like this.
      Chinyangjo of Shinkwaedong style Goˇmungo Sanjo consists of UjoㆍPyeongjoㆍKyemyeonjo.
      Ujo consists of 4 tunes and 3 types of beginning style, Pyeongjo consists of 3 tunes and 2 types of beginning style, Kyemyeonjo consists of 27 tunes and 5 types of beginning sty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 국문초록
      • I. 서론 = 1
      • 1. 문제제기 및 연구방법 = 1
      • 2. 연구범위 및 방법 = 4
      • 목차
      • * 국문초록
      • I. 서론 = 1
      • 1. 문제제기 및 연구방법 = 1
      • 2. 연구범위 및 방법 = 4
      • II. 본론 = 6
      • 1. 우조가락 = 6
      • 1) 종지형 = 6
      • 2) 가락구분 = 7
      • 3) 내드름 형태 = 10
      • 2. 평조가락 = 14
      • 1) 종지형 = 14
      • 2) 가락구분 = 15
      • 3) 내드름 형태 = 18
      • 3. 계면조가락 = 21
      • 1) 종지형 = 21
      • 2) 가락구분 = 27
      • 3) 내드름 형태 = 31
      • III. 결론 = 46
      • * 참고문헌 = 48
      • * Abstract = 50
      • * 참고악보 = 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