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여행’에 대한 여성적 글쓰기 방식의 탐색 -여성 기행가사의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 In Search of the characteristic of Women's Travel Writing -Focused on Kasa in 19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935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Kyubang-Kasa(閨房歌詞, Kasa by women) which experienced the travel, focused on the features of Women's Writing. The rule of Confucianism was strengthen women's body and mind in 19th century in Choseon. Very few women could travel and left some writings in despite of restrain situation. The experience of traveling was the most dramatic moment on their whole life escaped from their own space, even though most of their traveling was for following their husbands or participating their family's ceremony.
      This article find out three characteristics in their travel writings. 1) The women concentrated their family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members more than the wonder of the traveling/experiencing new space. So, there were a lot of expressions about their feeling about their family. 2) The women were longing for literary representation with chinese characters. They couldn't express their true feeling with the poem or essay when they experienced the wonderful scenery while traveling because women were not usually educated in Choseon. 3) The women's expressions were more sensitive, more delicate and had more details than the men had when they wrote about the travel.
      That features means 1)The women thought the family the first and most. They made the family and the family nam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ir identities even though their family restrained or prevent a lot of things against their free, independent mind in the name of their families. 2)The women's travel writings tried to express their own individual characteristics more that the men's travel writings which tend to express the society's rule or common expressions. 3) Consequently, the women's travel writing had their own perspectives and the style. That was cause by the differences or the gender between men and women.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Kyubang-Kasa(閨房歌詞, Kasa by women) which experienced the travel, focused on the features of Women's Writing. The rule of Confucianism was strengthen women's body and mind in 19th cen...

      This articl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Kyubang-Kasa(閨房歌詞, Kasa by women) which experienced the travel, focused on the features of Women's Writing. The rule of Confucianism was strengthen women's body and mind in 19th century in Choseon. Very few women could travel and left some writings in despite of restrain situation. The experience of traveling was the most dramatic moment on their whole life escaped from their own space, even though most of their traveling was for following their husbands or participating their family's ceremony.
      This article find out three characteristics in their travel writings. 1) The women concentrated their family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members more than the wonder of the traveling/experiencing new space. So, there were a lot of expressions about their feeling about their family. 2) The women were longing for literary representation with chinese characters. They couldn't express their true feeling with the poem or essay when they experienced the wonderful scenery while traveling because women were not usually educated in Choseon. 3) The women's expressions were more sensitive, more delicate and had more details than the men had when they wrote about the travel.
      That features means 1)The women thought the family the first and most. They made the family and the family nam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ir identities even though their family restrained or prevent a lot of things against their free, independent mind in the name of their families. 2)The women's travel writings tried to express their own individual characteristics more that the men's travel writings which tend to express the society's rule or common expressions. 3) Consequently, the women's travel writing had their own perspectives and the style. That was cause by the differences or the gender between men and wom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여성적 글쓰기의 구체적 방식을 연구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여행’이라는 체험이 여성적 글쓰기를 통해 구체적으로 어떻게 드러나는지, 남성적 글쓰기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글이다. 그 대상으로는 19세기에 창작된 여성 기행가사 작품으로 작가가 밝혀진 <부여노정기> <이부인기행가사> <금행일기> 세 편을 주된 대상으로 하되, 가사로서의 특징을 드러내기 위해 부분적으로 <호동서낙기>와 같은 동시대 산문기록과 비교하였다. 이 세 작품은 19세기 당시 여성에게 있어서 여행은 어떤 의미로 다가왔는지 보여주고 있으며 아쉬우나마 19세기 여성 기행가사의 지형도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 결과, 여성 기행가사에 나타나는 서술상의 특징으로 여행지에서 만나게 되는 새로운 경험만큼이나 가족 중심적 서술이 두드러진다는 점, 여행 체험은 적절하게 글로써 표현되어야 한다는 전통적 관념에 의해 문학적 표현의 욕구가 강하게 드러난다는 점, 이념이나 역사적 배경보다는 정서적 체험이 강조된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특징들의 저변에 가문의식을 무엇보다 중시하는 사족 여성들의 존재방식, 여행 그 자체를 위해서라기보다는 집안행사의 일부로서 여행이 수행된다는 여행의 목적, 동일한 여행을 소재로 한다 해도 그것을 바라보고 표현하는 여성만의 방식 등이 놓여 있고, 바로 그런 점에서 남성작 가사와 차이를 지닐 수밖에 없음을 밝혔다. 19세기는 20세기 근대적 관광문화의 전사적(前史的) 단계로서 20세기가 되면 유람 내지 관광이 확대되고 두드러져 이를 소재로 한 여성가사도 상당수 전해진다. 19세기 여행을 소재로 한 여성가사는 20세기에 폭발적으로 증가한 유람, 관광 소재의 가사와는 다른 세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또한 여성작이라는 측면에 있어서도, 노정의 소개와 견문의 전달에 치중하는 남성작 기행가사와 달리 정서적 위안 찾기와 같은 여행의 새로운 의미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이 논문에서 시도한 접근방식은 여성 기행가사의 특징을 여성의 여행이라는 좀 더 보편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자 하고, 나아가 19세기 기행가사로부터 근대로 이어지는 여성 기행 양식의 전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긴요하다. 근대 이후 여성의 여행은 어떻게 달리 표현되고 근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창작된 여성 기행 가사 속에서 여성 주체의 모습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최근 가사 작품을 창작하는 현대의 여성가사 작가들이 특히 기행의 소재에 치중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하는 것들이 이러한 맥락에서 앞으로 밝혀져야 문제라고 본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여성적 글쓰기의 구체적 방식을 연구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여행’이라는 체험이 여성적 글쓰기를 통해 구체적으로 어떻게 드러나는지, 남성적 글쓰기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이 논문은 여성적 글쓰기의 구체적 방식을 연구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여행’이라는 체험이 여성적 글쓰기를 통해 구체적으로 어떻게 드러나는지, 남성적 글쓰기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글이다. 그 대상으로는 19세기에 창작된 여성 기행가사 작품으로 작가가 밝혀진 <부여노정기> <이부인기행가사> <금행일기> 세 편을 주된 대상으로 하되, 가사로서의 특징을 드러내기 위해 부분적으로 <호동서낙기>와 같은 동시대 산문기록과 비교하였다. 이 세 작품은 19세기 당시 여성에게 있어서 여행은 어떤 의미로 다가왔는지 보여주고 있으며 아쉬우나마 19세기 여성 기행가사의 지형도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 결과, 여성 기행가사에 나타나는 서술상의 특징으로 여행지에서 만나게 되는 새로운 경험만큼이나 가족 중심적 서술이 두드러진다는 점, 여행 체험은 적절하게 글로써 표현되어야 한다는 전통적 관념에 의해 문학적 표현의 욕구가 강하게 드러난다는 점, 이념이나 역사적 배경보다는 정서적 체험이 강조된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특징들의 저변에 가문의식을 무엇보다 중시하는 사족 여성들의 존재방식, 여행 그 자체를 위해서라기보다는 집안행사의 일부로서 여행이 수행된다는 여행의 목적, 동일한 여행을 소재로 한다 해도 그것을 바라보고 표현하는 여성만의 방식 등이 놓여 있고, 바로 그런 점에서 남성작 가사와 차이를 지닐 수밖에 없음을 밝혔다. 19세기는 20세기 근대적 관광문화의 전사적(前史的) 단계로서 20세기가 되면 유람 내지 관광이 확대되고 두드러져 이를 소재로 한 여성가사도 상당수 전해진다. 19세기 여행을 소재로 한 여성가사는 20세기에 폭발적으로 증가한 유람, 관광 소재의 가사와는 다른 세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또한 여성작이라는 측면에 있어서도, 노정의 소개와 견문의 전달에 치중하는 남성작 기행가사와 달리 정서적 위안 찾기와 같은 여행의 새로운 의미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이 논문에서 시도한 접근방식은 여성 기행가사의 특징을 여성의 여행이라는 좀 더 보편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자 하고, 나아가 19세기 기행가사로부터 근대로 이어지는 여성 기행 양식의 전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긴요하다. 근대 이후 여성의 여행은 어떻게 달리 표현되고 근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창작된 여성 기행 가사 속에서 여성 주체의 모습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최근 가사 작품을 창작하는 현대의 여성가사 작가들이 특히 기행의 소재에 치중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하는 것들이 이러한 맥락에서 앞으로 밝혀져야 문제라고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금원, "호동서낙기, 한국 고전 여성 문학의 세계: 산문편" 이화여대출판부 372-446, 2003

      2 박요순, "호남지방의 여류가사연구" 국어국문학회 (48) : 67-89, 1976

      3 김태준, "한국의 여행문학"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153, 2006

      4 박혜숙, "한국여성의 자기서사(2)" 한국여성문학회 8 : 306-328, 2002

      5 박혜숙, "한국여성의 자기서사(1)" 한국여성문학회 7 : 324-349, 2002

      6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1-606, 1984

      7 이혜순, "한국고전여성작가연구" 태학사 1-652, 1999

      8 이승희, "조선후기 기행 양식에 나타난 여성 자아의 존재 양상" 16 : 243-272, 2006

      9 신은경, "조선조 여성 텍스트에 대한 페미니즘적 고찰-내방가사를 중심으로, 한국 페미니즘의 시학" 24-77, 1996

      10 김병국, "조선 후기 시가와 여성" 월인 15-31, 2005

      1 김금원, "호동서낙기, 한국 고전 여성 문학의 세계: 산문편" 이화여대출판부 372-446, 2003

      2 박요순, "호남지방의 여류가사연구" 국어국문학회 (48) : 67-89, 1976

      3 김태준, "한국의 여행문학"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153, 2006

      4 박혜숙, "한국여성의 자기서사(2)" 한국여성문학회 8 : 306-328, 2002

      5 박혜숙, "한국여성의 자기서사(1)" 한국여성문학회 7 : 324-349, 2002

      6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1-606, 1984

      7 이혜순, "한국고전여성작가연구" 태학사 1-652, 1999

      8 이승희, "조선후기 기행 양식에 나타난 여성 자아의 존재 양상" 16 : 243-272, 2006

      9 신은경, "조선조 여성 텍스트에 대한 페미니즘적 고찰-내방가사를 중심으로, 한국 페미니즘의 시학" 24-77, 1996

      10 김병국, "조선 후기 시가와 여성" 월인 15-31, 2005

      11 박애경, "장편가사 이졍양가록에 나타난 사족 여성의 삶과 내면의식" 6 : 421-446, 2005

      12 김수경, "이부인기행가사에 나타난 19세기 여성의 여행체험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4 : 313-340, 2002

      13 박지향, "여행기에 나타난 식민주의 담론의 남성성과 여성성" 영국사학회 (4) : 145-160, 2000

      14 박혜숙, "여성적 정체성과 자기서사 -『자긔록』과 「규한록」의 경우-" 한국고전문학회 20 : 239-271, 2001

      15 정문영, "여성적 글쓰기: 타자와 더불어 글쓰기" (4) : 1-27, 1999

      16 권정은, "여성기행가사의 관유체험, 조선 후기 시가와 여성" 월인 299-323, 2005

      17 권영철, "쌍벽가연구, 상산이재수박사환력기념논문집" 형설출판사 34-49, 1972

      18 김경일, "식민지 시기 신여성의 미국체험과 문화 수용"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1 : 45-90, 2004

      19 우미영, "서양 체험을 통한 신여성의 자기 구성 방식 ― 나혜석·박인덕·허정숙의 서양 여행기를 중심으로 ―" 한국여성문학학회 12 (12): 131-160, 2004

      20 김수경, "부여노정기, 규방가사의 작품세계와 미학" 역락 97-115, 2002

      21 권영철, "부여노정기 연구, 국문학연구 4" 대구 효성여대 18-26, 1973

      22 이동원, "기행문학 연구-1910-1920년대를 중심으로" 연세대 2002

      23 노태조, "금행일기에 대하여" 충남대 어문연구회 12 : 1983

      24 유정선, "금행일기에 나타난 기행체험의 의미, 규방가사의 작품세계와 미학" 역락 196-219, 2002

      25 장정수, "금강산 기행가사의 전개양상 연구" 고려대

      26 김현주, "근대 초기 기행문의 전개양상과 문학적 기행문의 기원" 한국문학연구학회 16 : 95-129, 2001

      27 우미영, "근대 여행의 의미 변이와 식민지/제국의 자기 구성 논리- 묘향산 기행문을 중심으로 -" 국학연구원 (133) : 311-343, 2006

      28 백순철, "규방가사의 작품세계와 사회적 성격" 고려대 2000

      29 노태조, "교주 금행일기" 정훈출판사 1-128, 1991

      30 신혜경, "공간문화와 여성" 12 (12): 227-259, 1996

      31 Saegert, S., "The Home A critical problem for changing sex roles, New Space for Women" Westview Press 1-332, 1981

      32 Bernand, Jessi, "The Female World" The Free Press 1-614, 1981

      33 Siegel, Kristi, "Identity in Women's Travel Writing" Peter Lang Publishing 1-320, 2004

      34 Mills, Sara, "Discourses of Difference" Routledge 1-232, 1991

      35 백순철, "<금행일기>와 여성의 여행체험" 22 : 59-79, 2003

      36 이혜순, "19세기 중반 김금원의 기록과 실증 정신, 조선조 후기 여성 지성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82-360, 2007

      37 유정선, "18-19세기 기행가사의 작품세계와 시대적 변모 양상" 이화여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9 2.52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