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柱狀片刃石斧의 再檢討 = Review of the Pillar-shaped Adze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164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been understood that the Pillar-shaped Adze(柱狀片刃石斧) was appeared in earlier of the Early Mumun Period. As time went on, length was diminished, and groove was made. As a result, the Grooved-adze(有溝石斧) was completed. It was no...

      It has been understood that the Pillar-shaped Adze(柱狀片刃石斧) was appeared in earlier of the Early Mumun Period. As time went on, length was diminished, and groove was made. As a result, the Grooved-adze(有溝石斧) was completed. It was noted that completion of a set of stone tools by appearance of the Grooved-adze was closely related to development of wooden farming tools and growth of agrarian society.
      But recently the Pillar-shaped Adze of the Early Mumun Period has increased steadily, it is known that most are conformed to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The Pillar-shaped Adze was changing rapidly more than any other tools. This is common in stone tools composition. Therefore, we can argue that a set of stone tools were completed in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Those in the background, we should pay attention to characteristics of Mumun Society in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Because during this time there were a lot of changes. Recently on a large-scale settlement·Bronze Dagger and so on, we pay attention to an expansive aspect of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Grave construction is also begun in this time. With these features, it was claimed that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must be newly established to the Middle Mumun Period. From this perspective, we can understand completion of a set of stone tools and appearance of the Pillar-shaped Adze as features of time divi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柱狀片刃石斧는 無文土器時代前期의 이른 시기에 출현하여 형식변화하는데, (선)송국리단계로 오면서 소형화되고 여기에 溝가 형성되어 有溝石斧가 완성되었으며, 유구석부의 출현과 이로...

      柱狀片刃石斧는 無文土器時代前期의 이른 시기에 출현하여 형식변화하는데, (선)송국리단계로 오면서 소형화되고 여기에 溝가 형성되어 有溝石斧가 완성되었으며, 유구석부의 출현과 이로 인한 석제공구세트의 완비는 목제농경구의 발달 및 농경사회의 성장과도 관련된다는 것이 기존의 입장이었다. 그러나 근래 전기의 주상편인석부 자료가 질적·양적으로 상당히 축적되어 재검토 한 결과, 거의 대부분의 자료가 前期後半에 한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기 후반의 주상편인석부는 가장 주요한 속성인 後面의 형태를 통해 直(Ⅰ)→曲(Ⅱ)→段(Ⅲ)으로 분류 및 변화하는데, 이는 同시대의 다른 어떠한 도구보다도 빠른 형식변화를 거듭하면서기능적으로 향상된 공구로 개량되어 갔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유구석부와 용도 및 기능이 같은 주상편인석부는전기 후반에 완성된 형태를 보이며 석기조성상에서도 일반화되고 있으므로, 석제공구세트가 완비되는 것은 후기가 아닌 전기 후반으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일상의 필수품이기도 한 주상편인석부가 전기 후반이라는 특정시기에 다른 어떠한 도구보다도 신속하게 변화하는 현상은 전기 후반의 사회 변화에 대한 무문토기인들의 적극적인 대응의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대규모 취락·동검·굴립주건물 등에서 전기 후반 무문토기사회의 발전적·역동적인 측면들이 부각되고 있으며, 분묘가 본격적으로 축조되기 시작하는 것도 이때부터이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기존의 전기 후반을‘中期’로 분리하여 조기·전기·중기·후기의 네 시기로 구분하자는 의견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주상편인석부의 등장 및 발달과 석제공구세트의 완비 역시 새롭게 분리된 시기의 특징으로 보기에 손색이 없으므로 본고는 新中期걩의 第二步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식, "호서지방 전기 무문토기 문양의 변천과정 연구" 영남고고학회 (44) : 5-38, 2008

      2 배진성, "한반도 주상편인석부의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3 강병학, "한국 청동기시대 편년" 서경문화사 2013

      4 김권중, "한국 청동기시대 편년" 서경문화사 2013

      5 한국청동기학회, "한국 청동기시대 편년" 서경문화사 2013

      6 겨레문화유산연구원, "평택 양교리 산41–1번지 유적" 2012

      7 이형원, "청동기시대 취락구조와 사회조직" 서경문화사 2009

      8 단국대학교매장문화재연구소, "의왕 이동청동기 유적발굴 조사보고서" 2007

      9 忠淸文化財硏究院, "예산 신가리 유적" 2008

      10 忠淸文化財硏究院, "아산 풍기동 앞골유적" 2009

      1 김현식, "호서지방 전기 무문토기 문양의 변천과정 연구" 영남고고학회 (44) : 5-38, 2008

      2 배진성, "한반도 주상편인석부의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3 강병학, "한국 청동기시대 편년" 서경문화사 2013

      4 김권중, "한국 청동기시대 편년" 서경문화사 2013

      5 한국청동기학회, "한국 청동기시대 편년" 서경문화사 2013

      6 겨레문화유산연구원, "평택 양교리 산41–1번지 유적" 2012

      7 이형원, "청동기시대 취락구조와 사회조직" 서경문화사 2009

      8 단국대학교매장문화재연구소, "의왕 이동청동기 유적발굴 조사보고서" 2007

      9 忠淸文化財硏究院, "예산 신가리 유적" 2008

      10 忠淸文化財硏究院, "아산 풍기동 앞골유적" 2009

      11 忠淸文化財硏究院, "아산 명암리 유적(12지점)" 2011

      12 류선영, "금호강유역 전기 무문토기의 편년" 영남고고학회 (64) : 4-37, 2013

      13 江原文化財硏究所, "龍岩里" 2007

      14 下條信夫, "韓日 初期農耕期の 石斧組成の 展開と 比較檢討, In 釜山大學校 考古學科 創設20周年 記念論文集" 釜山大學校考 古學科 2010

      15 中央文化財硏究院, "陰城 下唐里 遺蹟" 2004

      16 啓明大學校博物館, "金泉 松竹里 遺蹟 Ⅱ" 2007

      17 大東文化財硏究院, "金泉 智佐里 遺蹟Ⅱ" 2012

      18 三江文化財硏究院, "金泉 智佐里 無文時代集落" 2012

      19 Paleo Labo AMS연대측정그룹, "蔚山屈火里 センギトゥル遺跡の 放射性炭素年代 測定, In 蔚山 屈火里 생기들 遺蹟" (財) 蔚山文化財硏究院 2008

      20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泉谷洞 가재골 遺蹟Ⅲ" 2009

      21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望陽里·德新里 吾山遺蹟" 2009

      22 嶺南文化財硏究院, "蔚山 川上里 聚落遺蹟" 2002

      23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屈火里 생기들 遺蹟" 2008

      24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仙岩里 遺蹟" 2011

      25 畿田文化財硏究院, "華城 東鶴山 遺蹟" 2007

      26 안승모, "種子와 放射性炭素年代" 한국고고학회 (83) : 152-204, 2012

      27 忠淸埋藏文化財硏究院, "牙山 鳴岩里 遺蹟" 2003

      28 韓國考古環境硏究所, "燕岐 松潭里·松院里 遺蹟" 2010

      29 裵眞晟, "無文土器 時代石器의 地域色과 組成 變化, In 사람과돌" 국립대구박물관 2005

      30 高麗文化財硏究院, "漣川 江內里 遺蹟" 2012

      31 金賢敬, "湖西地域 前期 無文土器文樣의 編年" 韓國靑銅器學會 (10) : 2012

      32 嶺南文化財硏究院, "淸道 陣羅里 遺蹟" 2005

      33 慶尙北道文化財硏究院, "浦項 虎洞 遺蹟Ⅱ" 2008

      34 聖林文化財硏究院, "浦項 大蓮里 靑銅器時代 聚落遺蹟" 2009

      35 嶺南大學校博物館, "浦項 大蓮里 遺蹟" 2001

      36 江原文化財硏究所, "洪川 哲亭里Ⅱ" 2010

      37 江原文化財硏究所, "泉田里" 2008

      38 京畿文化財硏究院, "汶山 堂洞里 遺蹟" 2009

      39 예맥문화재연구원, "江陵 柄山洞 遺蹟" 2012

      40 京畿文化財硏究院, "水原 好梅實洞·金谷洞 遺蹟" 2011

      41 裵眞晟, "柱狀片刃石斧의 變化와 劃期" 韓國考古學會 44 : 2001

      42 安在晧, "松菊里 文化成立期の 嶺南社會と 彌生文化, 彌生文化 誕生, In 彌生時代の 考古學 2" 同成社 2009

      43 慶尙北道文化財硏究院, "文化遺蹟 發掘調査 報告書 河陽 大鶴里·瓦村東江里 遺蹟" 2005

      44 "慶州 金丈里 遺蹟" 2007

      45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州 芳內里 生活遺蹟" 2007

      46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州 松仙里 遺蹟" 2005

      47 韓國文化財保護財團, "慶山 玉谷洞 遺蹟Ⅰ』" 2005

      48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山 玉山洞 300番地 遺蹟" 2011

      49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山 三省里 665番地 遺蹟" 2003

      50 趙賢庭, "慶北內陸地域 無文土器 文化의 動向–김천 지좌리유적을 중심으로–, In 金泉 智佐里 無文時代集落" (財)三江 文化財硏究院 2012

      51 宮本一夫, "彌生時代における木製農具の 成立と 東北アジアの 磨製石器, 九州と 東アジアの 考古學, In 九州大學 考古學硏究室 50周年 記念論文集" 2008

      52 高麗文化財硏究院, "平澤 素沙洞 遺蹟" 2008

      53 畿田文化財硏究院, "平澤 土津里 遺蹟" 2006

      54 朴榮九, "嶺東地域 無文土器文化의 展開 樣相" 江原考古學會 (11) : 2008

      55 安在晧, "屬性配列法에 따른 東南海岸 圈無文土器文樣의 編年" 韓國上古史學會 (73) : 2011

      56 慶南發展硏究院歷史文化센터, "密陽 希谷里 遺蹟" 2007

      57 中央文化財硏究院, "天安 新芳洞 遺蹟–Ⅱ地區-" 2008

      58 嶺南文化財硏究院, "大邱 西邊洞 聚落遺蹟Ⅰ" 2002

      59 嶺南文化財硏究院, "大邱 梅川洞 遺蹟" 2010

      60 慶尙北道文化財硏究院, "大邱 大鳳洞마을 遺蹟" 2006

      61 大東文化財硏究院, "大邱 上仁洞 98–1 遺蹟" 2008

      62 嶺南文化財硏究院, "大邱 上仁洞 123–1番地 遺蹟" 2007

      63 裵眞晟, "墳墓築造社會의 開始" 韓國考古學會 80 : 2011

      64 한신대학교박물관, "城泉川里 靑銅器時代 聚落" 2006

      65 박영구, "南部東海岸地域 無文土器文化 展開樣相 -浦項地域을 中心으로-" 영남고고학회 (51) : 109-138, 2009

      66 민선례, "Ⅴ. 考察, In 慶山 玉山洞 300番地 遺蹟" (財)嶺南文化財硏究院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89 1.57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