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자농구 선수경력자들의 유소년 코칭전문성 형성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Exploring the Formation Process of Retired Female Basketball Players‘ Youth Coaching Expertise: A Grounded Theory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621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여자농구 경력자들의 은퇴 후, 유소년 코칭전문성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근거이론적 방법을 이용하여 밝히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여자농구선수 경력자 총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추출된 패러다임을 완성하였고 이야기 윤곽을 통해 핵심범주를 추출하였다. 자료분석을 통해 상위범주20개 하위범주 35개, 개념이 235개로 나타났다. 축코딩 결과, 인과적 조건은 정든 코트를 떠나야 할 시간, 새로운 도전의 시작이었고, 맥락적 조건은 초보지도자의 좌충우돌, 재미와 기술의 코칭딜레마, 일과 가정의 불균형, 열악한 체육관 시설, 자기반성과 성찰, 긍정적변화의 변곡점 등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좋은 지도자 되기이었고 중재적 조건은 코칭 노하우 쌓기, 주변인들의 도움, 코칭역량 강화, 코칭전문성 인정, 자기관리의 중요성 등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은 공감과 소통, 엄마의 마음, 전인적 성장과 발달, 재미와 기술향상 프로그램 등이었고 결과는 건강하고 올바른 성장과 성취감과 삶의 활력소 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좋은 지도자가 되기 위해 어떻게 유소년 지도자의 전문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코칭교육 및 코칭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여자농구 경력자들의 은퇴 후, 유소년 코칭전문성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근거이론적 방법을 이용하여 밝히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여자농구선수 경력자 총 9명을 대상으로 ...

      이 연구는 여자농구 경력자들의 은퇴 후, 유소년 코칭전문성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근거이론적 방법을 이용하여 밝히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여자농구선수 경력자 총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추출된 패러다임을 완성하였고 이야기 윤곽을 통해 핵심범주를 추출하였다. 자료분석을 통해 상위범주20개 하위범주 35개, 개념이 235개로 나타났다. 축코딩 결과, 인과적 조건은 정든 코트를 떠나야 할 시간, 새로운 도전의 시작이었고, 맥락적 조건은 초보지도자의 좌충우돌, 재미와 기술의 코칭딜레마, 일과 가정의 불균형, 열악한 체육관 시설, 자기반성과 성찰, 긍정적변화의 변곡점 등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좋은 지도자 되기이었고 중재적 조건은 코칭 노하우 쌓기, 주변인들의 도움, 코칭역량 강화, 코칭전문성 인정, 자기관리의 중요성 등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은 공감과 소통, 엄마의 마음, 전인적 성장과 발달, 재미와 기술향상 프로그램 등이었고 결과는 건강하고 올바른 성장과 성취감과 삶의 활력소 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좋은 지도자가 되기 위해 어떻게 유소년 지도자의 전문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코칭교육 및 코칭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명왕성 ; 원영신 ; 구송광, "현직 K리그 선수들의 은퇴에 관한 인식 및 준비과정"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6 (26): 254-266, 2015

      2 이용국, "태권도 지도자의 전문지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2

      3 안정훈 ; 양재봉, "컬링지도자의 전문성 형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3 (23): 287-299, 2014

      4 하혁, "축구지도자의 전문성 형성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9

      5 최관용 ; 김경지 ; 최영준, "초등학교 축구팀 우수지도자의 지도요인 탐색"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135-1148, 2015

      6 손준구,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체육교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직전교사교육의 과제"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3 (13): 5-22, 2006

      7 정다은 ; 이경선, "초등학교 여자탁구지도자의 코칭 전문성 인식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융합과학회 8 (8): 1-39, 2019

      8 권민정, "체육교사의 수업컨설팅 실행 경험을 통한 교사 전문성 요소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9 김대진, "체육교사의 수업지식과 교수효율성에 관한 내용분석" 34 (34): 181-191, 1995

      10 손성훈, "중등학교 야구코치의 코칭전문성 형성과정 검토 : 코치교육의 역할과 필요성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1 명왕성 ; 원영신 ; 구송광, "현직 K리그 선수들의 은퇴에 관한 인식 및 준비과정"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6 (26): 254-266, 2015

      2 이용국, "태권도 지도자의 전문지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2

      3 안정훈 ; 양재봉, "컬링지도자의 전문성 형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3 (23): 287-299, 2014

      4 하혁, "축구지도자의 전문성 형성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9

      5 최관용 ; 김경지 ; 최영준, "초등학교 축구팀 우수지도자의 지도요인 탐색"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135-1148, 2015

      6 손준구,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체육교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직전교사교육의 과제"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3 (13): 5-22, 2006

      7 정다은 ; 이경선, "초등학교 여자탁구지도자의 코칭 전문성 인식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융합과학회 8 (8): 1-39, 2019

      8 권민정, "체육교사의 수업컨설팅 실행 경험을 통한 교사 전문성 요소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9 김대진, "체육교사의 수업지식과 교수효율성에 관한 내용분석" 34 (34): 181-191, 1995

      10 손성훈, "중등학교 야구코치의 코칭전문성 형성과정 검토 : 코치교육의 역할과 필요성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11 오헌석, "전문성 개발과정 및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연구원 9 (9): 193-216, 2006

      12 최희윤 ; 정용철, "은퇴한 여자핸드볼 선수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한국체육학회 51 (51): 83-93, 2012

      13 최덕묵, "육상지도자의 인지된 전문성이 지도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14 (14): 709-723, 2001

      14 윤찬수 ; 김현식 ; 이용국, "육상국가대표지도자의 코칭신념과 전문성 탐색" 한국체육과학회 23 (23): 989-1003, 2014

      15 김연, "유소년 배구 스포츠클럽 현황 및 인식탐색"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1-12, 2014

      16 이석배, "유도선수의 은퇴 후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24 : 89-105, 2012

      17 이은희, "유도 지도자의 전문성과 지도효율성 및 인지된 경기력과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7

      18 홍미화, "우수 스포츠 지도자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 18 (18): 37-48, 2004

      19 이용식, "여성체육의 현황과 새천년정책과제" 14 (14): 151-170, 2000

      20 맹이섭 ; 이완영, "여성스포츠인의 사회진출 활성화방안 연구" 한국체육학회 56 (56): 119-129, 2017

      21 김미정, "엘리트선수출신 여성의 삶과 스포츠활동: 페미니즘적 접근" 한국체육학회 45 (45): 93-102, 2006

      22 한국진, "엘리트 여자 마라톤 선수들의 은퇴 후 진로결정수준과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2018

      23 박미경, "아동기 수련생을 둔 학부모의 여성태권도 지도자에 대한 인식" 경희대학교 2009

      24 P. G. Schempp, "스포츠교육개론" 도서출판 대한미디어 2006

      25 김규호, "스킨·스쿠버 지도자의 인지된 전문성에 따른 지도자신뢰와 지도효율성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5

      26 이은미 ; 조미혜, "수영코치의 인문적 코칭전문성 발달"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 (20): 12-26, 2018

      27 김현식, "사회체육지도자의 전문성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24) : 17-29, 2005

      28 김필관, "사회체육지도자의 인지된 전문성과 지도 효율성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03

      29 김경숙, "사회체육 실기지도자의 전문성 추구 및 발전에 관한 연구" 10 (10): 157-173, 1996

      30 이대명 ; 최관용, "사격지도자의 공감능력과 훈련동기분위기 및 운동몰입의 관계" 체육과학연구소 40 (40): 25-32, 2022

      31 김재은, "볼링지도자의 전문성이 지도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6

      32 서수진,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전문성 척도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33 이인 ; 김경숙, "댄스스포츠 지도자의 전문성 형성과정 패러다임 모형"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9 (19): 45-64, 2012

      34 정지혜, "국가대표 여자 농구 선수들의 은퇴에 대한 지각 탐색"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1 (21): 1051-1062, 2010

      35 유상석, "교수전문성 제고를 통한 사회체육 지도자의 경쟁력 강화" 한국사회체육학회 20 (20): 153-166, 2003

      36 유정애, "교사 전문성 연구" 7 (7): 41-, 2000

      37 최창규, "골프지도자의 인지된 전문성과 지도 효율성의 관계" 韓國體育大學校 社會體育大學院 1999

      38 이경재, "골프 지도자의 전문성과 지도자 신뢰 및 지도효율성의 관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8 (8): 199-208, 2006

      39 Schempp, P. G., "The self-monitoring of expert sport instructors" 1 : 25-35, 2006

      40 Sinclair, D. A., "Positive termination from high-performance sport" 7 : 138-150, 1993

      41 Starkes, J. L., "Motor experts" 102 : 3-, 1993

      42 Coakley, J., "Leaving competitive sport : Retirement or rebirth" 35 : 1-11, 1983

      43 Ericsson, K. A., "Expert performance : Its structure and acquision" 49 (49): 725-747, 1994

      44 Berliner, D. C., "Creating powerful in teachers and students" 141-186, 1994

      45 Matin, L., "Changes in Athletic 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of Elite Athletes as a Function of Retirement Status" 26 (26): 96-110, 2014

      46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1998

      47 대한체육회, "2019년도 은퇴운동선수 실태조사" 2019

      48 대한체육회, "2018년 등록 선수·지도자 현황"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