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피부미용사의 위생지식 수준이 위생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095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피부미용은 다수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업무특성상 질병에 대한 고객 감수성을 조절하기 힘든 직군 중에 하나이다. 또한 작업 시 사용하는 각종 도구와 물품 및 재료들은 감염의 원인이 될...

      피부미용은 다수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업무특성상 질병에 대한 고객 감수성을 조절하기 힘든 직군 중에 하나이다. 또한 작업 시 사용하는 각종 도구와 물품 및 재료들은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어 피부미용사의 철저한 위생관리 실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피부미용사를 대상으로 위생지식 수준과 위생 실천도를 알아보고, 두변수와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피부미용사의 위생수준 함양을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 전라남도 소재의 피부미용사 3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4월 17일부터 6월 29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크리닝 과정을 거쳐,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생 실천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결과 총 4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요인 1 ‘제품의 위생관리’ 요인 2는 ‘피부관리사의 개인위생’, 요인 3은 ‘용품의 위생관리’, 요인 4는 ‘피부미용기구의 위생관리’로 명명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은 40-50세 미만 100명(41.2%), 결혼여부는 기혼 213명(87.7%), 학력은 전문대 졸업 100명(41.2%), 소득은 200-300만원 미만 98명(40.3%), 자격증 종류는 미용사(피부) 203명(83.5%), 경력은 10년 이상 109명 (44.9%)으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위생지식 수준 및 위생 실천도 차이는 먼저 위생지식 수준은 평균 7.36점으로 나타났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위생지식 수준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위생 실천도는 평균 3.72점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위생 실천도는 최종학력, 취득자격 종류,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넷째, 피부미용사들의 위생지식 수준이 위생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은 위생지식 수준과 용품 · 제품 · 피부미용기구 · 피부관리사의 개인 위생관리 실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따라서 피부미용사의 위생지식 수준이 높아지면 위생 실천도의 하위요인별 용품의 위생관리, 제품의 위생관리, 피부미용기구의 위생관리, 피부관리사의 개인위생 실천도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미용사들의 위생지식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 컨텐츠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esthetics which work is done to many people, it is a field of work that shows difficulty in controlling customer sentiment towards disease. Also, various tools, materials and equipment used for work may be causes of infec...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esthetics which work is done to many people, it is a field of work that shows difficulty in controlling customer sentiment towards disease. Also, various tools, materials and equipment used for work may be causes of infection, so the necessity of strict hygiene practice of estheticians is increasing. This study would like to study the levels of hygiene knowledge and hygiene practice of estheticians and figure out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factors. Afterwards, it aims to provide a basic standard for enhancing hygiene levels of esthetician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300 estheticians residing in the Gwangju City, South Jeolla Province from 4/17/2017 to 6/29/2017 based on self-answering survey. The accumulated data was then analyzed utilizing the SPSS v.21.0 statistics package program after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processes, and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of all,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checks on hygiene practice deducted 4 factors.
      1st factor was ‘hygiene management of products’, 2nd factor was ‘personal hygiene of estheticians’, 3rd factor was ‘hygiene management of equipment,’and 4th factor was ‘hygiene levels of esthetics tools’.
      Secondly, in the general character study of research subjects, 100 people aged 40-50 (41.2%), married people (87.7%), 100 with community college level education (41.2%), 98 earning monthly salary of 2-3 million KRW (40.3%) were the highest ranking groups. Certificates related to esthetics included 203 people with esthetics (skincare) certificate (83.5%). Also, 109 people had a 10 year or longer experience in the field(44.9%).
      Thirdly, regarding the differences of hygiene knowledge and practi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s, the average score for hygiene knowledge was 7.36,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s(p〉.05). The average score for hygiene practice was 3.72, and i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levels of final education, types of certificates and experiences(p〈.05).
      Fourth, the effect of hygiene knowledge of estheticians on hygiene practice had a positive and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in the factors of hygiene knowledge and hygiene practices of products, personal hygiene of estheticians, equipment and tools(p〈.001).
      Therefore, it could be summarized that when the hygiene knowledge level of estheticians’ increases, the resulting hygiene practices of products, personal hygiene of estheticians, equipment and tools could also increase. Accordingly,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aimed at enhancing the hygiene knowledge levels of estheticians are nee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소비자원"

      2 이창은, "피부미용업소의 위생관리 평가도구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6

      3 이현금, "피부미용업 종사자의 위생지식, 위생태도, 실천정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10

      4 권은숙, "피부미용사의 개인위생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 20 (20): 377-383, 2014

      5 이미현, "피부관리실 피부미용 도구의 미생물 오염도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2015

      6 통계청, "제10차 표준산업분류"

      7 김권영, "소독 및 전염병학" 청구문화사 2010

      8 황순욱, "뷰티산업의 성장" 보건산업진흥원 2011

      9 한국미용학회, "미용학사전" 신광출판사 2003

      10 양은진, "미용실 내부에 분포하는 세균군집의 분석을 통한 오염경로의 평가" 한국미용학회 16 (16): 521-530, 2010

      1 "한국소비자원"

      2 이창은, "피부미용업소의 위생관리 평가도구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6

      3 이현금, "피부미용업 종사자의 위생지식, 위생태도, 실천정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10

      4 권은숙, "피부미용사의 개인위생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 20 (20): 377-383, 2014

      5 이미현, "피부관리실 피부미용 도구의 미생물 오염도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2015

      6 통계청, "제10차 표준산업분류"

      7 김권영, "소독 및 전염병학" 청구문화사 2010

      8 황순욱, "뷰티산업의 성장" 보건산업진흥원 2011

      9 한국미용학회, "미용학사전" 신광출판사 2003

      10 양은진, "미용실 내부에 분포하는 세균군집의 분석을 통한 오염경로의 평가" 한국미용학회 16 (16): 521-530, 2010

      1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미용분야 산업안전 보건 매뉴얼"

      12 한영숙, "미용관련업소의 위생관리실태 조사연구" 11 (11): 1999

      13 나해윤, "미용 종사자의 위생관리인식이 위생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3 (23): 153-162, 2017

      14 국가법령정보센터, "공중위생관리법 시행규칙 제5조, 이⋅미용기구의 소독기준 및 방법"

      15 국가법령정보센터, "공중위생관리법 시행규칙 제2조, 시설 및 설비기준"

      16 박정연, "NCS기반 몸매관리" 성화출사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73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