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소위 概言으로 분류되는 추량형식 「だろう」를 중심으로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특히, 종래의 단정보류설에 착안하여 「だろう」의 본질과 그 다의성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898263
경산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학위논문(박사)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일어일문학과 일어일문 , 2014. 2
2014
일본어
경상북도
viii,182 p. ; 26 cm
지도교수: 유장옥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소위 概言으로 분류되는 추량형식 「だろう」를 중심으로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특히, 종래의 단정보류설에 착안하여 「だろう」의 본질과 그 다의성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이...
본고는, 소위 概言으로 분류되는 추량형식 「だろう」를 중심으로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특히, 종래의 단정보류설에 착안하여 「だろう」의 본질과 그 다의성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이는 다른 추량형식의 의미용법의 재정립과 부사와의 共起관계, 추량형식에 선행하는 「の」와의 관련성을 통하여 명확하게 파악하였다.
이하, 본고의 연구를 5가지로 정리해 보았다.
첫째, 「だろう」는 추량의 조동사이지만, 非推量으로 보는 견해가 있었다.
대표적인 것이 益岡隆志(1991, 2007)가 내세운 단정보류설로, 「だろう」가 갖는 첫 번째 의미가 단정을 보류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だろう」의 다의성을 설명하기에는 단정보류설이 큰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소설을 통한 용례 분석에서 「だろう」의 의미영역을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상상 속에서의 추량」이라는 기본적 의미아래, 「확인요구」 「사고 과정」 「감탄」이라는 파생적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자와의 관계에서 단정을 보류하는 경우가 있음을 지적하고 단정보류를 파생적 의미로 새롭게 재정의하였다.
둘째, 「だろう」는 종조사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어용론적인 관점에서 검토한 것으로, 「だろう」의 다의성 용법 중 하나로 볼 수 있겠다.
셋째, 「だろう」와 그 외 추량형식의 의미 관계를 살펴보았다. 「だろう」 「かもしれない」 「にちがいない」의 공통적 의미는 주관적인 상상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だろう」와 「かもしれない」는 사태의 실현 가능성을 표시하는 한편, 「だろう」와 「にちがいない」는 주관적 확신을 나타내는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태 파악의 근거성을 갖는 추량의 조동사 「ようだ」 「らしい」와의 대조분석을 통하여 주관적 판단 조동사인 「だろう」 「かもしれない」 「にちがいない」에 「の」가 선행하는 경우를 고찰하여 보았다. 그 결과, 이들 3가지 추량형식에 「の」가 선행하는 용례수는 이들의 본질적 의미에 따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각 추량 형식의 의미 파악에는 부사와의 공기관계에서도 파악할 수 있었다. 사태 실현에 대한 화자의 강한 신념을 나타내는 주관적 부사인 「きっと」는 「だろう」 「かもしれない」 「にちがいない」文에 가장 많이 나타났고, 「かならず」도 「きっと」에 이어서 높은 빈도로 공기관계를 보였다.
한편, 「らしい」에는 「かならず」가 함께 쓰이기도 했으나, 「ようだ」에는 이들 단정부사와의 공기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주목할 만한 부분이라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추량형식에 선행하는 「の」의 역할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이는, 사태실현이 가능한지, 즉 현실성 내포 여부를 결정한다고 보여 진다. 또한 이것은 각 형식이 갖는 斷定度와도 연관이 있었다.
본고의 고찰은, 모달리티 영역 중에서 의미 레벨에서 파악한 것이지만, 특히 「だろう」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어용론적 관점에서 재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깨달았다. 이는 앞으로의 연구과제로 삼고 싶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