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합성어 형성과 어순 = Compounding and word 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305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 far, it is commonly accepted to establish a close relation between compounds and syntactic constructions. Especially in Korean not a few compounds correspond to syntactic constructions in the ordering of each constituents. As we know these compounds are called ‘syntactic compounds’. But first of all these compounds have to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compounds which have exactly the same constituent order and external shape as syntactic constructions. The other is compounds which have the same constituent order but not external shape as syntactic constructions. The former are recognized as ‘syntactic compounds’ which were formed through syntactic processes. But the latter cannot be regarded as such. Because there are many unsolved problems such as overgenerating, ellipsis of functional head, existence of roots and so forth. That is to say, it is not economical at all to form those compounds through syntactic processes.
      In fact those partial correspondences are caused by the principles such as head-final property in Korean which govern not only words (including derivatives and compounds) but also sentences. So it is not the case that the correspondences in ordering are resulted from the application of syntactic principles into words.
      번역하기

      So far, it is commonly accepted to establish a close relation between compounds and syntactic constructions. Especially in Korean not a few compounds correspond to syntactic constructions in the ordering of each constituents. As we know these compound...

      So far, it is commonly accepted to establish a close relation between compounds and syntactic constructions. Especially in Korean not a few compounds correspond to syntactic constructions in the ordering of each constituents. As we know these compounds are called ‘syntactic compounds’. But first of all these compounds have to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compounds which have exactly the same constituent order and external shape as syntactic constructions. The other is compounds which have the same constituent order but not external shape as syntactic constructions. The former are recognized as ‘syntactic compounds’ which were formed through syntactic processes. But the latter cannot be regarded as such. Because there are many unsolved problems such as overgenerating, ellipsis of functional head, existence of roots and so forth. That is to say, it is not economical at all to form those compounds through syntactic processes.
      In fact those partial correspondences are caused by the principles such as head-final property in Korean which govern not only words (including derivatives and compounds) but also sentences. So it is not the case that the correspondences in ordering are resulted from the application of syntactic principles into wor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어순과 관계되는 합성어 유형
      • 3. ‘명사+명사’ 합성명사와 어순
      • 4. 합성용언과 어순
      • 5. 맺음말
      • 1. 머리말
      • 2. 어순과 관계되는 합성어 유형
      • 3. ‘명사+명사’ 합성명사와 어순
      • 4. 합성용언과 어순
      • 5. 맺음말
      • 참고문헌
      • 영어 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원용, "활용형의 단어 형성 참여 방식에 대한 연구" 서울대 1998

      2 박진호, "형태론의 제자리 찾기-인접학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1 (1): 319-340, 1999

      3 전상범, "형태론" 한신문화사 1995

      4 안상철, "형태론" 민음사 1998

      5 김창섭, "현대국어의 복합동사 연구" 서울대 1981

      6 송원용, "현대국어 임시어의 형태론" 3 (3): 1-16, 2000

      7 연재훈, "한국어 ‘동사성명사 합성어(Verbal Noun Compound)’의 조어법과 의미 연구" 서울대 1986

      8 이건환, "한·영·독·스페인어 명사구의 어순 비교 연구" 언어과학회 1 (1): 141-160, 2004

      9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10 최형용, "파생어 형성과 빈칸" 40 (40): 619-636, 2004

      1 송원용, "활용형의 단어 형성 참여 방식에 대한 연구" 서울대 1998

      2 박진호, "형태론의 제자리 찾기-인접학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1 (1): 319-340, 1999

      3 전상범, "형태론" 한신문화사 1995

      4 안상철, "형태론" 민음사 1998

      5 김창섭, "현대국어의 복합동사 연구" 서울대 1981

      6 송원용, "현대국어 임시어의 형태론" 3 (3): 1-16, 2000

      7 연재훈, "한국어 ‘동사성명사 합성어(Verbal Noun Compound)’의 조어법과 의미 연구" 서울대 1986

      8 이건환, "한·영·독·스페인어 명사구의 어순 비교 연구" 언어과학회 1 (1): 141-160, 2004

      9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10 최형용, "파생어 형성과 빈칸" 40 (40): 619-636, 2004

      11 박진호, "통사적 결합 관계와 논항구조" 서울대 1994

      12 이선희, "통사부의 핵이동에 대하여" (1) : 237-263, 1994

      13 장윤희, "중세국어 비통사적 합성동사와 관련된 몇 문제(이병근선생퇴임기념 국어학논총)" 623-641, 2006

      14 채현식, "조어론의 규칙과 표시" 1 (1): 25-42, 1999

      15 연재훈, "이른바 ‘고기잡이’류 통합합성어의 단어형성에 대한 문제" 3 (3): 333-343, 2001

      16 채현식, "유추에 의한 복합명사 형성 연구" 서울대학교 2000

      17 최현배, "우리말본(다섯번째 고침)" 정음사 1937

      18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어문각

      19 최형용, "어근과 어기에 대하여" 4 (4): 301-318, 2002

      20 임홍빈, "사이시옷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국어학회 (10) : 1-35, 1981

      21 최상진, "복합명사 어순에 있어서의 공감도 연구" (11) : 53-69, 1992

      22 채완, "병렬의 어순과 사고방식" 국어학회 (14) : 463-477, 1985

      23 왕문용, "명사 관형구성에 대한 고찰" (4) : 139-157, 1989

      24 시정곤, "규칙은 과연 필요 없는가?" 1 (1): 261-283, 1999

      25 고영근, "국어형태론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26 송철의, "국어의 파생어형성 연구" 태학사 1992

      27 임홍빈, "국어의 재귀사 연구" 신구문화사 1987

      28 이남순, "국어의 부정격과 격표지 생략" 탑출판사 1988

      29 김창섭,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연구" 태학사 1996

      30 최형용, "국어의 단어 구조에 대하여" 1 (1): 245-260, 1999

      31 임지룡, "국어에 내재한 도상성의 양상과 의미 특성" 한글학회 (266) : 169-205, 2004

      32 이기문, "국어사개설(개정판)" 탑출판사 1972

      33 이익섭, "국어문법론강의" 학연사 1999

      34 임홍빈, "국어문법론 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5

      35 채현식, "국어 어휘부의 등재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4

      36 심재기, "국어 어휘론 신강" 태학사 2000

      37 채완, "국어 어순의 연구" 탑출판사 1986

      38 채완, "국어 어순의 기능적 고찰" (20) : 103-119, 1990

      39 성기철, "국어 어순 연구" 한글학회 (218) : 101-138, 1992

      40 김승렬, "국어 어순 연구" 한신문화사 1988

      41 권용경, "국어 사이시옷에 대한 통시적 연구" 서울대 2001

      42 이선웅, "국어 명사의 논항구조 연구" 월인 2005

      43 임홍빈, "국어 명사구와 조사구의 통사 구조에 대하여" (24) : 1-62, 1999

      44 최경봉, "국어 명사 관형구성의 의미결합 관계에 대한 고찰" 국어학회 (26) : 33-58, 1995

      45 김봉모, "국어 매김말 연구" 부산대 1983

      46 시정곤, "국어 단어형성의 원리(수정판)" 한국문화사 1998

      47 최형용, "국어 단어의 형태와 통사" 태학사 2003

      48 임홍빈, "국어 굴절의 원리적 성격과 재구조화-‘교착소’와 ‘교착법’의 설정을 제안하며" (22) : 93-163, 1997

      49 김봉모, "국어 ‘N1-N2’ 구조 연구(새결박태권선생회갑기념논총)" 443-459, 1984

      50 이남순, "격표지의 비실현과 생략" 국어학회 (31) : 339-360, 1998

      51 최형용, "격조사의 핵성에 대하여(우리말 연구 서른아홉 마당-임홍빈선생회갑기념논총)" 401-418, 2004

      52 한정한, "격조사는 핵이 아니다" 한글학회 260 : 149-182, 2003

      53 임홍빈, "가변 중간 투사론-표면구조 통사론을 위한 제언" 127-147, 1999

      54 최형용, "‘줄임말’과 통사적 결합어" 국어국문학회 135 : 2003

      55 최형용, "‘술래잡기’에 대하여(이병근선생퇴임기념 국어학논총)" 1019-1033, 2006

      56 시정곤, "‘X를 하다’와 ‘X하다’의 상관성" 국어학회 (24) : 231-258, 1994

      57 Plag. I, "Word-Formation in English"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58 Hawkins. J. A, "Word Order Universals" New York: Academic Press 1983

      59 Aronoff. M, "Word Formation in Generative Grammar" Cambridge: MIT Press 1976

      60 Greenberg. J. H, "Universals of Language" Cambridge: MIT Press 1966

      61 Haspelmath. M, "Understanding Morphology" London: Arnold 2002

      62 Lees. R, "The Grammar of English Nominalization" Hague: Mouton 1960

      63 Chomsky. N, "Remarks on Nominalization, In Readings in English Transformational Grammar" Ginn and Company 184-221, 1970

      64 Jang, Yong-Seon, "On constraining incorporation in Korean word formation" Australia: Griffith University 1996

      65 Aronoff. M, "Morphology by Itself" Cambridge: MIT Press 1994

      66 Aronoff. M, "Morphology and the lexicon: lexicalization and productivity(The Handbook of morphology)" Oxford: Blackwell 237-247, 1998

      67 Spencer. A, "Morphological Theory" Oxford: Blackwell 1991

      68 Bloomfield. L, "Language" New York: Holt 1933

      69 Baker, M. C, "Incorporation : A Theory of Grammatical Function Changing"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70 Scalise. S, "Generative Morphology" Dordrecht: Foris 1984

      71 Bauer, L, "Compounding" Berlin: Walter de Gruyter 1 : 695-707, 2001

      72 Tomlin. R. S, "Basic Word Order" Croom Helm: Kent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72 1.37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