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도 당신앙 속 여산신(女山神)의 흔적과 변주 = The Traces and Variation of Female Mountain Gods in Jeju Island's the Belief in D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750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Thesis, we looked back on the traces of the “female mountain god” that were rarely dealt with in the category of community beliefs on Jeju Island. In particular, the discussion aimed to concretely reconstruct the traces of the “sequence of female mountain gods” Jeju Island's Belief in Dang. which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Mt. Halla” and can be assumed as a “specific type” and “the sequencing of Belief in Dang” It is a common academic belief to regard the Seonma-Seonpa(Seon-Mago) in Jang Han-cheol'’s “Pyo-Hae-rok” as the same existence. but there were not a few discussions refuting this. As a result, based on the existence of the “Madame of Seonnyeo-guk” of Guayangdang, a person most similar to the Seonma-Seonpa(Seon-Mago), Jeju Island, which has been handed down, and the place of Gongju Mt.Mudeung, it was heard that similar gods can be found in several villages related to the god's faith in the middle of Jeju Island. These female mountain god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west direction as “female mountain gods with a history of overseas,” which had been differentiated and expanded as spouses of male gods of Mt. Halla descent. In addition, based on this assump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emale mountain gods and the goddess se-myung-ju was solved in relation to the goddess Beck-ju-to served by Songdang-Bonhyangdang and Sehwa-Bonhyangdang.
      번역하기

      In this Thesis, we looked back on the traces of the “female mountain god” that were rarely dealt with in the category of community beliefs on Jeju Island. In particular, the discussion aimed to concretely reconstruct the traces of the “sequence ...

      In this Thesis, we looked back on the traces of the “female mountain god” that were rarely dealt with in the category of community beliefs on Jeju Island. In particular, the discussion aimed to concretely reconstruct the traces of the “sequence of female mountain gods” Jeju Island's Belief in Dang. which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Mt. Halla” and can be assumed as a “specific type” and “the sequencing of Belief in Dang” It is a common academic belief to regard the Seonma-Seonpa(Seon-Mago) in Jang Han-cheol'’s “Pyo-Hae-rok” as the same existence. but there were not a few discussions refuting this. As a result, based on the existence of the “Madame of Seonnyeo-guk” of Guayangdang, a person most similar to the Seonma-Seonpa(Seon-Mago), Jeju Island, which has been handed down, and the place of Gongju Mt.Mudeung, it was heard that similar gods can be found in several villages related to the god's faith in the middle of Jeju Island. These female mountain god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west direction as “female mountain gods with a history of overseas,” which had been differentiated and expanded as spouses of male gods of Mt. Halla descent. In addition, based on this assump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emale mountain gods and the goddess se-myung-ju was solved in relation to the goddess Beck-ju-to served by Songdang-Bonhyangdang and Sehwa-Bonhyangda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제주도 당신앙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여산신의 흔적을 되짚었다. 특히 한라산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면서 특정 유형으로 묶일 만한 여산신들의 전모를 여러 당신본풀이 자료에 근거하여 톺아 보았다. 기록 문헌 속 한라산신, 당신앙 속 한라산계 신들은 대개 남성신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민간에서는 한라산신을 여성신으로 여기는 전승도 있다. 그간 학계에서는 장한철의 <표해록>에 등장하는 선마선파(선마고)를 설문대, 한라산 여산신, 당신 세명주와 동일한 존재로 보아 왔지만, 이에 대한 반론도 적지 않은 실정이다. 고찰 결과 선마선파는 과양당(광양당)의 ‘공주 무덤산(무등산) 선녜국대부인’과 가장 유사한 존재로 파악되었다. 또 중산간 지역 중 산신 신앙을 섬기는 곳에서도 이 여성신과 존재들이 여럿 확인되었다. 이 신들은 외래에서 출자한 여산신 유형으로, 선녀국 → 서녀국(西女國)⋅서역국(西域國) → 광주 무등산 → 서씨부인 등으로 출자처와 신명이 실재화 되는 변모를 겪었으며, 한라산계 남성신의 처신(妻神)으로서 역할이 분화되어 간 일면도 있었다. 더불어 이 여성신들에게 붙여진 ‘서벽좌(西壁座)’라는 수식어구는 산신적 속성을 띤 남녀신의 관계, 벡주또, 금벡조, 세명주라는 신명과도 긴밀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간 선마선파와 설문대만을 중심으로 한라산 여산신, 여산신에 대한 연구 성과가 집적되어 온바, 이 글은 설문대의 자장을 벗어나 실제 당신앙에서 선마선파의 실체와 여산신의 존재를 재구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나름의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제주도 당신앙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여산신의 흔적을 되짚었다. 특히 한라산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면서 특정 유형으로 묶일 만한 여산신들의 전모를 여러 당신본풀이 자...

      이 글에서는 제주도 당신앙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여산신의 흔적을 되짚었다. 특히 한라산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면서 특정 유형으로 묶일 만한 여산신들의 전모를 여러 당신본풀이 자료에 근거하여 톺아 보았다. 기록 문헌 속 한라산신, 당신앙 속 한라산계 신들은 대개 남성신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민간에서는 한라산신을 여성신으로 여기는 전승도 있다. 그간 학계에서는 장한철의 <표해록>에 등장하는 선마선파(선마고)를 설문대, 한라산 여산신, 당신 세명주와 동일한 존재로 보아 왔지만, 이에 대한 반론도 적지 않은 실정이다. 고찰 결과 선마선파는 과양당(광양당)의 ‘공주 무덤산(무등산) 선녜국대부인’과 가장 유사한 존재로 파악되었다. 또 중산간 지역 중 산신 신앙을 섬기는 곳에서도 이 여성신과 존재들이 여럿 확인되었다. 이 신들은 외래에서 출자한 여산신 유형으로, 선녀국 → 서녀국(西女國)⋅서역국(西域國) → 광주 무등산 → 서씨부인 등으로 출자처와 신명이 실재화 되는 변모를 겪었으며, 한라산계 남성신의 처신(妻神)으로서 역할이 분화되어 간 일면도 있었다. 더불어 이 여성신들에게 붙여진 ‘서벽좌(西壁座)’라는 수식어구는 산신적 속성을 띤 남녀신의 관계, 벡주또, 금벡조, 세명주라는 신명과도 긴밀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간 선마선파와 설문대만을 중심으로 한라산 여산신, 여산신에 대한 연구 성과가 집적되어 온바, 이 글은 설문대의 자장을 벗어나 실제 당신앙에서 선마선파의 실체와 여산신의 존재를 재구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나름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머리
      • Ⅱ. 한라산 여산신, 선마선파(詵麻屳婆)의 정체
      • Ⅲ. 여산신의 변모와 당신 세명주의 관련성
      • Ⅳ. 날머리
      • 참고문헌
      • Ⅰ. 들머리
      • Ⅱ. 한라산 여산신, 선마선파(詵麻屳婆)의 정체
      • Ⅲ. 여산신의 변모와 당신 세명주의 관련성
      • Ⅳ. 날머리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