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四家’는 참신한 詩風을 선도했다. 『韓客巾衍集』에는 이들의 초기 작품이 선집 되어 있는데, 자신만의 개성을 십분 발휘한 독창적 시세계가 구현 되어 있어 조선 후기의 새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061924
박종훈 (전남대학교)
2010
Korean
Lee Deokmu ; Saga(四家) ; Hangaekgunyounjib(韓客巾衍集) ; historical recognition ; pastorality ; 이덕무 ; 四家 ; 한객건연집 ; 역사의식 ; 농촌시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83-412(30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후기 ‘四家’는 참신한 詩風을 선도했다. 『韓客巾衍集』에는 이들의 초기 작품이 선집 되어 있는데, 자신만의 개성을 십분 발휘한 독창적 시세계가 구현 되어 있어 조선 후기의 새로...
조선 후기 ‘四家’는 참신한 詩風을 선도했다. 『韓客巾衍集』에는 이들의 초기 작품이 선집 되어 있는데, 자신만의 개성을 십분 발휘한 독창적 시세계가 구현 되어 있어 조선 후기의 새로운 시풍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논의는 ‘사가’라는 틀 안에서 이들의 공통적인 일면만을 고구한 채 개개인의 시세계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그 결과 또 다른 몰개성으로 치부될 지경에 이르렀다. 이에 본고에서는 동일한 시풍의 추구 속에서도 다른 ‘사가’와 변별되는 炯庵 李德懋만의 개성적인 시세계를 살펴보았다.
기발하고 신선한 발상과 시상의 오묘한 전개를 살펴보았다. 형암은 감각적인 시어를 활용하여 상상력을 배가시켰으며, 탁월한 시어의 조합과 시상의 공교로운 전개를 통해 개성적인 시세계를 구축했다. 또한 다양한 고사를 두루 활용하여 意味網이 넓으면서도 신선하고 흥미롭게 詩境을 열었다.
형암은 농촌 풍경을 청각이나 시각을 통해 섬세하고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생동감을 부여했으며, 직접적인 자신의 체험을 통해 조선의 實景을 그대로 담아냈고 조선적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려고 노력했다. 이를 위해 조선의 소재를 적극 활용하면서 조선에서만 느낄 수 있는 정서를 노래하여 조선의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작품을 남겼다. 또한 형암 농촌시의 특징은 농촌을 예술적 가치, 나아가 학술 및 참된 삶의 가치로 인식했다는 점이다.
형암은 역사적 현장을 방문하고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들을 회고하면서 이를 그대로 詩化했다. 비록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평가가 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형암의 의식을 간접적으로나마 파악할 수 있었다. 역사를 주제로 한 작품에서도 전반부에서는 역사적 사실을 언급했지만, 후반부에서는 현실의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이는 역사적 공간 역시 과거와 현재가 병존하며 교차하는 것으로 파악했기 때문이다. 또한 箕子를 전면에 내세워 우리 역사를 변증했는데, 이는 우리 역사에 대한 올바른 자각을 제기한 부분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aga(四家) led new poetic style in the late Josun. Their early poems were collected in Hangaekgunyounjib(韓客巾衍集). In the book included their poetic world demonstrated their own features, so this poem collection is a important material for u...
Saga(四家) led new poetic style in the late Josun. Their early poems were collected in Hangaekgunyounjib(韓客巾衍集). In the book included their poetic world demonstrated their own features, so this poem collection is a important material for understanding new poetic style in the late Josun. Nevertheless previous studies researched common side in the frame of Saga, and didn’t study each person’s poetic style concretely. As a result, their poetic style were considered another depersonalization. Therefore this paper study Hyungam Lee Deokmu(炯庵 李德懋)’s poetic style compared other Saga in common poetic style pursuit.
This paper look at new brilliant thinking and occult unfold of poetic concept. Hyungam doubled imagination using sensible poetic words, and constructed individual poetic style through combination of excellent poetic words and coincidental unfold of poetic concept. Also he opened new interesting poetic world using several historical events.
In case of Hyungam, he granted lifelike delicately and realistically describing landscape of the pastorality through hearing or vision. He included real scenary of Josun. Then he did effort to provide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Josun. For this he use materials of Josun positively and described emotion which was only felt in Josun and wrote poems including atmosphere of Josun. And features of Hyungam’s pastoral poems were awareness of artistic value on the pastorality and awareness of real value of life.
Hyungam visited historical site and retrospected on historical events or people. Which was written by him to poems. Although historical events or people weren’t directly showed in poems, Hyungam’s recognition on history was indirectly understood. In a poem focused on history, he described historical facts in the first half but he expressed reflection of reality in the other half. This was a result from now space which had mixed with the past and present. Then he more stressed on the present than the past. In other poem, he proposed a right self-awareness that we should look history objectively, through proof on our history standing on Gija(箕子).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재일, "李德懋의 農村詩에 대한 考察"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33 : 1999
2 李庚秀, "李德懋의 神韻論 受容과 漢詩의 文藝美" 한국한시학회 (12) : 13-42, 2004
3 金王奎, "李德懋의 漢詩硏究" 근역한문학회 9 : 1991
4 李和炯, "李德懋의 文學硏究" 集文堂 1994
5 권정원, "李德懋의 公安派 批評理論의 受容樣相" 한국한문교육학회 25 (25): 725-754, 2005
6 남재철, "李德懋 詩에 나타나는 奇詭尖新의 美學" 한국한시학회 (15) : 107-140, 2007
7 李學堂, "李德懋 法古創新 主張의 形成 過程 小考" 동방한문학회 (29) : 263-293, 2005
8 김병국, "청장관 이덕무 문학의 사상적 기반과 公安派 詩論의 수용 양상 연구" 한국사상문화학회 (38) : 7-42, 2007
9 박종훈, "조선 후기 王士禎 神韻 詩論 수용 양상-漢詩 四家를 중심으로" 태동고전연구소 24 : 2008
10 신재환, "조선 후기 淸代 性靈派 작가 소개 小攷- 漢詩四家를 중심으로 -" 영남중국어문학회 (39) : 23-43, 2002
1 류재일, "李德懋의 農村詩에 대한 考察"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33 : 1999
2 李庚秀, "李德懋의 神韻論 受容과 漢詩의 文藝美" 한국한시학회 (12) : 13-42, 2004
3 金王奎, "李德懋의 漢詩硏究" 근역한문학회 9 : 1991
4 李和炯, "李德懋의 文學硏究" 集文堂 1994
5 권정원, "李德懋의 公安派 批評理論의 受容樣相" 한국한문교육학회 25 (25): 725-754, 2005
6 남재철, "李德懋 詩에 나타나는 奇詭尖新의 美學" 한국한시학회 (15) : 107-140, 2007
7 李學堂, "李德懋 法古創新 主張의 形成 過程 小考" 동방한문학회 (29) : 263-293, 2005
8 김병국, "청장관 이덕무 문학의 사상적 기반과 公安派 詩論의 수용 양상 연구" 한국사상문화학회 (38) : 7-42, 2007
9 박종훈, "조선 후기 王士禎 神韻 詩論 수용 양상-漢詩 四家를 중심으로" 태동고전연구소 24 : 2008
10 신재환, "조선 후기 淸代 性靈派 작가 소개 小攷- 漢詩四家를 중심으로 -" 영남중국어문학회 (39) : 23-43, 2002
11 류재일, "이덕무의 시문학연구" 태학사 1998
12 金澤榮, "韶濩堂集"
13 "韓客巾衍集" 국립중앙도서관
14 李德懋, "靑莊館全書"
15 오수경, "雅亭 李德懋의 詩論과 朝鮮風의 성격" 한국한문학회 9 : 1987
16 박종훈, "薑山 李書九의 初期 詩 考察 - 「韓客巾衍集」을 중심으로" 동양고전연구소 (16) : 85-115, 2009
17 宋永珠, "王士禎과 李德懋의 詩論比較 試探. in: 동방문학비교연구총서"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1992
18 이경수, "漢詩 四家의 淸代詩 受容 硏究" 태학사 1995
19 박종훈, "泠齋 柳得恭의 초기 詩 考察 -『韓客巾衍集』을 중심으로-" 한국고시가문학회 (23) : 203-238, 2009
20 朴齊家, "楚亭全書" 아세아문화사 1992
21 박종훈, "楚亭 朴齊家 初期 詩 考察 ― ≪韓客巾衍集≫의 評語를 中心으로" 한국언어문화학회 (35) : 143-170, 2008
22 鄭良婉, "朝鮮後期 漢文學 作家論" 集文堂 1994
23 "國譯 新增東國輿地勝覽" 민족문화추진회 1985
24 안대회, "18세기 한국 한시사 연구" 소명출판 199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한문1 교과서 읽기영역 분석
고전 검사 이론에 의한 한문과(漢文科) 평가 문항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7-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근역한문학회(槿域漢文學會) -> 근역한문학회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7 | 0.53 | 1.005 | 0.39 |
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영미문학과 소통
동서대학교 강옥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