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시각장애학교 초등부 교사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실태 및 개선 방안 = The Actual State on the Actual Experience Learning of the Primary Teacher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Schools and Amelioration Strateg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17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ctual state, problems and amelioration method, and analyze some difference. In order to carry out the purposes,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tions items are composed of, according to the areas concerning the recognition of actual experience learning, actual state, problems and amelioration method.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in the area of the need for the actual experience learning, public schools appear higher than private and national schools and, in the area of the interest degree and the need for the previous education, advanced teacher are higher than lower class teachers and in the area of actual experience carry out inning, the inning of public and private schools is once per month, each, and public schools are two innings per semester and regardless of the inning, there are the most carry out innings according to careers. According to the career, there is one inning per month among under five years and over eleven years, and from six to ten years there are the most cases regardless of the innings, according to theme to carry out among actual experience lesson places, the item the students experience directly, that is, most used in museum and learning places, is most, and in the area of previous activity methods. According to career and age, 'Teachers' explanation is most.
      Second, among the problems in the time of real experience learning, there is the most innings in that it is the most difficult to control owing to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behavior handicaps. So the most desirable form is that both male teachers and female teachers have the most correlations between schools and homes. In the area of training contents, the twenties, there are the most cases as to the information delivery concerning the visually handicapped actual information delivery concerning the visually handicapped' actual experience learning text and among over the thirtieth and fortieth the visually handicapped' actual area experience learning adaption methods are most founded on education curriculums. As to demanded items concerning actual experience institution, touching experience learning is most and as for actual experience learning activation strategies, there are the most cases of the development of various actual experience learning places.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ctual state, problems and amelioration method, and analyze some difference. In order to carry out the purposes,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tions items are composed of, according to 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ctual state, problems and amelioration method, and analyze some difference. In order to carry out the purposes,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tions items are composed of, according to the areas concerning the recognition of actual experience learning, actual state, problems and amelioration method.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in the area of the need for the actual experience learning, public schools appear higher than private and national schools and, in the area of the interest degree and the need for the previous education, advanced teacher are higher than lower class teachers and in the area of actual experience carry out inning, the inning of public and private schools is once per month, each, and public schools are two innings per semester and regardless of the inning, there are the most carry out innings according to careers. According to the career, there is one inning per month among under five years and over eleven years, and from six to ten years there are the most cases regardless of the innings, according to theme to carry out among actual experience lesson places, the item the students experience directly, that is, most used in museum and learning places, is most, and in the area of previous activity methods. According to career and age, 'Teachers' explanation is most.
      Second, among the problems in the time of real experience learning, there is the most innings in that it is the most difficult to control owing to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behavior handicaps. So the most desirable form is that both male teachers and female teachers have the most correlations between schools and homes. In the area of training contents, the twenties, there are the most cases as to the information delivery concerning the visually handicapped actual information delivery concerning the visually handicapped' actual experience learning text and among over the thirtieth and fortieth the visually handicapped' actual area experience learning adaption methods are most founded on education curriculums. As to demanded items concerning actual experience institution, touching experience learning is most and as for actual experience learning activation strategies, there are the most cases of the development of various actual experience learning pla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국 시각장애학교 초등부 교사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인식 및 실태와 개선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인식과 실태 그리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영역으로 문항을 구성하여 이들에 대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필요성은 공립학교가 사립이나 국립학교보다 더 높게 인식하고,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사전교육의 필요성은 고학년 담당교사가 저학년 담당교사보다 더 높았다. 현장체험학습 실시 횟수는 국립과 사립학교가 ‘월1회’, 공립학교가 ‘한 학기에 2회’와 ‘횟수에 상관없이 주제에 따라 실시’가 가장 많았고. 경력별로는 5년 이하와 11년 이상은 ‘월1회’, 6~10년은 ‘횟수에 상관없이 주제에 따라 실시’가 가장 많았다. 현장체험학습 장소로는 ‘박물관’과 학습 장소에서 많이 활용하는 방법은 ‘아동이 직접 체험하기’가 가장 많았고, 사전활동 방법은 경력별, 연령별에서 ‘교사가 체험 장소와 내용에 관해 설명하기’가 가장 많았다. 둘째, 현장체험학습 시의 문제점은 ‘중복장애아동의 행동장애로 인해 통제가 어렵다’가 가장 많았고, 현장체험학습을 위한 바람직한 형태는 남녀교사 모두 ‘학교와 가정의 연계 형태’가 가장 많았다. 현장체험학습을 위한 연수내용은 20대는 ‘시각장애아동의 현장체험학습지에 대한 정보전달’, 30대와 40대 이상은 ‘교육과정에 의거한 시각장애아동의 현장체험학습 적용방법’이 가장 많았다. 현장체험기관에 대한 요구 사항은 ‘만지기 체험학습’이 가장 많았고, 현장체험학습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다양한 현장체험학습 장소 개발’이 가장 많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전국 시각장애학교 초등부 교사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인식 및 실태와 개선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인식과 실태 그리고 문제점과 ...

      본 연구는 전국 시각장애학교 초등부 교사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인식 및 실태와 개선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인식과 실태 그리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영역으로 문항을 구성하여 이들에 대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필요성은 공립학교가 사립이나 국립학교보다 더 높게 인식하고,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사전교육의 필요성은 고학년 담당교사가 저학년 담당교사보다 더 높았다. 현장체험학습 실시 횟수는 국립과 사립학교가 ‘월1회’, 공립학교가 ‘한 학기에 2회’와 ‘횟수에 상관없이 주제에 따라 실시’가 가장 많았고. 경력별로는 5년 이하와 11년 이상은 ‘월1회’, 6~10년은 ‘횟수에 상관없이 주제에 따라 실시’가 가장 많았다. 현장체험학습 장소로는 ‘박물관’과 학습 장소에서 많이 활용하는 방법은 ‘아동이 직접 체험하기’가 가장 많았고, 사전활동 방법은 경력별, 연령별에서 ‘교사가 체험 장소와 내용에 관해 설명하기’가 가장 많았다. 둘째, 현장체험학습 시의 문제점은 ‘중복장애아동의 행동장애로 인해 통제가 어렵다’가 가장 많았고, 현장체험학습을 위한 바람직한 형태는 남녀교사 모두 ‘학교와 가정의 연계 형태’가 가장 많았다. 현장체험학습을 위한 연수내용은 20대는 ‘시각장애아동의 현장체험학습지에 대한 정보전달’, 30대와 40대 이상은 ‘교육과정에 의거한 시각장애아동의 현장체험학습 적용방법’이 가장 많았다. 현장체험기관에 대한 요구 사항은 ‘만지기 체험학습’이 가장 많았고, 현장체험학습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다양한 현장체험학습 장소 개발’이 가장 많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헌민, "현장체험학습이 지도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4학년 사회과를 중심으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 최충선,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초등아동의 인식 조사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 김윤정, "특수학교의 현장학습 실태 및 개선방안"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4 김길례,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 현장 체험학습에 대한 인식 실태조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5 정인자, "초등아동들의 현장체험 학습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6 김성춘, "초등사회과 환경교육에서 지역사회 현장체험학습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7 김정식, "초등 사회과 현장 체험학습에 관한 인식 조사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 김연숙, "지역사회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9 진미석, "중아동 진로탐색을 위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10 유윤재, "제7차 교육과정 시행에 따른 학습현장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25 : 11-30, 2001

      1 임헌민, "현장체험학습이 지도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4학년 사회과를 중심으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 최충선,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초등아동의 인식 조사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 김윤정, "특수학교의 현장학습 실태 및 개선방안"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4 김길례,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 현장 체험학습에 대한 인식 실태조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5 정인자, "초등아동들의 현장체험 학습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6 김성춘, "초등사회과 환경교육에서 지역사회 현장체험학습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7 김정식, "초등 사회과 현장 체험학습에 관한 인식 조사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 김연숙, "지역사회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9 진미석, "중아동 진로탐색을 위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10 유윤재, "제7차 교육과정 시행에 따른 학습현장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25 : 11-30, 2001

      11 백정미, "유치원 현장학습의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2 채명숙, "시각장애학교의 현장학습 운영 사례" 4 : 16-24, 2003

      13 김효미, "시각장애학교 유치부 현장견학의 문제와 개선방안"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2

      14 박순희, "시각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2005

      15 이해균, "시각장애아동의 교수-학습전략" 국립특수교육원 2001

      16 차순경, "생태학적 현장학습이 정신지체아동의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17 한승숙, "사회과 현장학습이 아동"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Visually Impaired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시각장애연구회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64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