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시민참여 유형이 등장하고 있다. 지역과 사회 문제 해결과정에서 문제를 발굴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낼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 대안까지 직접 실행할 수 있는 시민주도 시민참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32487
2020
-
시민참여유형 ; 시민주도 ; 실행제안 ; 제도화 ; 주민참여예산 ; citizen participation ; citizen control ; citizen action ; institution redesign
350
KCI등재
학술저널
1-22(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다양한 시민참여 유형이 등장하고 있다. 지역과 사회 문제 해결과정에서 문제를 발굴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낼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 대안까지 직접 실행할 수 있는 시민주도 시민참여 ...
다양한 시민참여 유형이 등장하고 있다. 지역과 사회 문제 해결과정에서 문제를 발굴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낼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 대안까지 직접 실행할 수 있는 시민주도 시민참여 활동 공간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유형의 시민주도 시민참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최근 다양한 이름으로 전개되고 있는 시민주도 시민참여 사례들을 유형화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유형의 시민주도 시민참여를 제도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기존 시민참여 제도의 개선과 연계를 중심으로 탐색적 수준에서 제시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per is an exploratory study on institutional redesign for citizen driven participation from the lessons of new emerging types of citizen driven participation cases in Korea. The paper suggests policy recommendations to redesign the institutional...
The paper is an exploratory study on institutional redesign for citizen driven participation from the lessons of new emerging types of citizen driven participation cases in Korea. The paper suggests policy recommendations to redesign the institutional logic and rules of traditional citizen participation system in Korea in order to accommodate a new trend of citizen driven particip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조직시민행동의 효과 : 공공봉사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공공기관의 특성에 따른 경영실적 평가의 합리성 제고 방안 : 문체부 소관 기타공공기관 및 단체를 중심으로
지방정부간 협력의 발생과 활성화의 영향요인 : 영과잉 가산자료 분석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