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수주의자들의 저술에서 박정희는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 모순적 프레이밍의 정치동학과 박정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80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에서 보수주의의 정치적 기원은 모순적인 면이 있다. 보수주의자들이 지향하는 ‘자유민주주의’ 및 ‘시장경제’와 별로 관련이 없는 이승만과 박정희를 그 기원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박정희의 경우 이러한 모순은 더욱 심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보수주의자들은 박정희를 그들의 이념 체계 내로 편입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박정희는 ‘선별적 유인’과 같은 시장 기제를 통해 경제주체들에게 동기를 부여했으며, ‘실용주의’의 정치를 몸소 실천하여 오늘날의 자유민주주의를 가능케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박정희를 자신들의 이념 체계 내로 편입시키려는 보수주의자들의 노력은 필연적으로 ‘프레이밍(framing)’의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다. 그 시대의 역사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보다는, 자신들에게 유리한 부분만 선별적으로 보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말이다. 그 결과 보수주의자들의 노력은 또 다른 모순을 낳는다. 박정희를 정치적 기원으로 삼은 이상, 그들이 꿈꾸는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 경제로 충만한 ‘관념적인 우파의 나라’가 아니라 철 지난 냉전 논리가 지배하는 ‘반공국가’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한국에서 보수주의의 정치적 기원은 모순적인 면이 있다. 보수주의자들이 지향하는 ‘자유민주주의’ 및 ‘시장경제’와 별로 관련이 없는 이승만과 박정희를 그 기원으로 삼고 있기 때문...

      한국에서 보수주의의 정치적 기원은 모순적인 면이 있다. 보수주의자들이 지향하는 ‘자유민주주의’ 및 ‘시장경제’와 별로 관련이 없는 이승만과 박정희를 그 기원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박정희의 경우 이러한 모순은 더욱 심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보수주의자들은 박정희를 그들의 이념 체계 내로 편입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박정희는 ‘선별적 유인’과 같은 시장 기제를 통해 경제주체들에게 동기를 부여했으며, ‘실용주의’의 정치를 몸소 실천하여 오늘날의 자유민주주의를 가능케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박정희를 자신들의 이념 체계 내로 편입시키려는 보수주의자들의 노력은 필연적으로 ‘프레이밍(framing)’의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다. 그 시대의 역사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보다는, 자신들에게 유리한 부분만 선별적으로 보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말이다. 그 결과 보수주의자들의 노력은 또 다른 모순을 낳는다. 박정희를 정치적 기원으로 삼은 이상, 그들이 꿈꾸는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 경제로 충만한 ‘관념적인 우파의 나라’가 아니라 철 지난 냉전 논리가 지배하는 ‘반공국가’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litical origin of conservatism in Korea is contradictory. This is because it is based on Rhee Syng-man and Park Chung-hee, who have little to do with ‘liberal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pursued by conservatives, are their origin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ark Chung-hee, this contradiction is bound to be even more severe. and in this context conservatives are making great efforts to incorporate Park Chung-hee into their ideological system. Park Chung-hee motivated economic actors through market mechanisms such as ‘selective incentives’, and enabled today’s liberal democracy by practicing the politics of ‘pragmatism’. However, conservatives’ efforts to incorporate Park Chung-hee into their ideological system inevitably go through the process of ‘framing’. Rather than an overall analysis of the history of the period, they are making the mistake of selective viewing only the areas in their favor. As a result, conservatives" efforts create another contradiction. As long as Park Chung-hee is a political origin, the Republic of Korea they dream of is not ‘a country of ideological right’ full of liberal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but ‘an anti-communist country’ dominated by outdated Cold War logic.
      번역하기

      The political origin of conservatism in Korea is contradictory. This is because it is based on Rhee Syng-man and Park Chung-hee, who have little to do with ‘liberal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pursued by conservatives, are their origins. I...

      The political origin of conservatism in Korea is contradictory. This is because it is based on Rhee Syng-man and Park Chung-hee, who have little to do with ‘liberal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pursued by conservatives, are their origin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ark Chung-hee, this contradiction is bound to be even more severe. and in this context conservatives are making great efforts to incorporate Park Chung-hee into their ideological system. Park Chung-hee motivated economic actors through market mechanisms such as ‘selective incentives’, and enabled today’s liberal democracy by practicing the politics of ‘pragmatism’. However, conservatives’ efforts to incorporate Park Chung-hee into their ideological system inevitably go through the process of ‘framing’. Rather than an overall analysis of the history of the period, they are making the mistake of selective viewing only the areas in their favor. As a result, conservatives" efforts create another contradiction. As long as Park Chung-hee is a political origin, the Republic of Korea they dream of is not ‘a country of ideological right’ full of liberal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but ‘an anti-communist country’ dominated by outdated Cold War logi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I. 서론
      • Ⅱ. 한강의 기적
      • Ⅲ. 실용주의의 정치
      • Ⅳ. 진행형의 정치
      • 국문요약
      • I. 서론
      • Ⅱ. 한강의 기적
      • Ⅲ. 실용주의의 정치
      • Ⅳ. 진행형의 정치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영, "한국의 경제성장 : 국가주도론과 기업주도론" 자유기업센터 1998

      2 김인영, "한국경제성장과 삼성의 자본축적" 32 (32): 111-131, 1998

      3 Koo, Hagen,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 창작과 비평사 2002

      4 구본호, "한국 근대화, 기적의 과정" 월간조선사 183-205, 2005

      5 앰스덴, 앨리스, "한국 근대화, 기적의 과정" 월간조선사 367-393, 2005

      6 김정렴, "최빈국에서 선진국 문턱까지 : 한국 경제정책 30년사" 랜덤하우스 중앙 2006

      7 박정희, "지도자도" 도서출판 기파랑 2017

      8 김광모, "중화학공업에 박정희의 혼이 살아 있다" 도서출판 기파랑 2015

      9 임혁백, "유신의 역사적 기원 : 박정희의 마키아벨리적인 시간(下)" 14 (14): 115-146, 2005

      10 임혁백, "유신의 역사적 기원 : 박정희의 마키아벨리적인 시간(上)" 13 (13): 223-258, 2004

      1 김인영, "한국의 경제성장 : 국가주도론과 기업주도론" 자유기업센터 1998

      2 김인영, "한국경제성장과 삼성의 자본축적" 32 (32): 111-131, 1998

      3 Koo, Hagen,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 창작과 비평사 2002

      4 구본호, "한국 근대화, 기적의 과정" 월간조선사 183-205, 2005

      5 앰스덴, 앨리스, "한국 근대화, 기적의 과정" 월간조선사 367-393, 2005

      6 김정렴, "최빈국에서 선진국 문턱까지 : 한국 경제정책 30년사" 랜덤하우스 중앙 2006

      7 박정희, "지도자도" 도서출판 기파랑 2017

      8 김광모, "중화학공업에 박정희의 혼이 살아 있다" 도서출판 기파랑 2015

      9 임혁백, "유신의 역사적 기원 : 박정희의 마키아벨리적인 시간(下)" 14 (14): 115-146, 2005

      10 임혁백, "유신의 역사적 기원 : 박정희의 마키아벨리적인 시간(上)" 13 (13): 223-258, 2004

      11 김형아, "유신과 중화학공업 : 박정희의 양날의 선택" 일조각 2005

      12 박정희, "우리 민족의 나갈 길" 도서출판 기파랑 2017

      13 Hobsbawm, Eric. J., "역사론" 민음사 2002

      14 Carr, Edward H., "역사란 무엇인가" 까치글방 1987

      15 Markovits, Daniel, "엘리트 세습: 중산층 해체와 파멸을 가속하는 능력 위 주 사회의 함정" 세종서적 2020

      16 이도성, "실록 박정희와 한일회담" 한송 1995

      17 Henry, Todd A., "서울, 권력 도시: 일본 식민 지배와 공공공간의 생활 정치" 도서출판 산처럼 2020

      18 Harari, Yuval Noah, "사피엔스" 김영사 2014

      19 임혁백, "비동시성의 동시성 : 한국 근대정치의 다중적 시간"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14

      20 이영훈, "반일종족주의: 대한민국 위기의 근원" 미래사 10-21, 2019

      21 조갑제, "박정희의 결정적 순간들 : 62년 생애의 62개 장면" 도서출판기파랑 2009

      22 김광동, "박정희새로 보기: 오늘에 되살릴 7가지 성공모델" 도서출판 기파랑 37-63, 2017

      23 오원철, "박정희는 어떻게 경제강국 만들었나" 동서문화사 2006

      24 류석춘, "박정희는 노동자를 착취했는가 : 대한민국 기능공의 탄생과 노동귀족의 기원" 도서출판 기파랑 2018

      25 이강호, "박정희가 옳았다 : 5·16과 10월유신의 정치경제학" 도서출판기파랑 2019

      26 좌승희, "박정희, 동반성장의 경제학" 도서출판 기파랑 2018

      27 김은구, "박정희, 그리고 사람: 대한민국을 사랑한 대통령" 미래사 58-64, 2018

      28 현진권, "박정희, 그리고 사람: 대한민국을 사랑한 대통령" 미래사 104-112, 2018

      29 이주천, "박정희, 그리고 사람: 대한민국을 사랑한 대통령" 미래사 182-190, 2018

      30 전인권, "박정희 평전 : 박정희의 정치사상과 행동에 관한 전기적 연구" 이학사 2006

      31 송철원, "박정희 쿠데타 개론" 현대사기록연구원 2020

      32 박명림, "박정희 시대와 한국 현대사" 도서출판 선인 31-79, 2006

      33 Kang, David C., "박정희 시대와 한국 현대사" 도서출판 선인 81-139, 2006

      34 윤주진, "박정희 새로 보기: 오늘에 되살릴 7가지 성공모델" 도서출판 기파랑 237-267, 2017

      35 김용삼, "박정희 새로 보기: 오늘에 되살릴 7가지 성공모델" 도서출판 기파랑 107-147, 2017

      36 이영훈, "박정희 새로 보기: 오늘에 되살릴 7가지 성공모델" 도서출판 기파랑 11-35, 2017

      37 남정욱, "박정희 새로 보기: 오늘에 되살릴 7가지 성공모델" 도서출판 기파랑 65-105, 2017

      38 좌승희, "박정희 살아있는 경제학" 도서출판 백년동안 2015

      39 왕혜숙, "박정희 바로 보기: 우리가 알아야 할 9가지 진실" 도서출판 기파랑 287-327, 2017

      40 김인영, "박정희 바로 보기: 우리가 알아야 할 9가지 진실" 도서출판 기파랑 37-66, 2017

      41 여명, "박정희 바로 보기: 우리가 알아야 할 9가지 진실" 도서출판 기파랑 67-87, 2017

      42 류석춘, "박정희 바로 보기: 우리가 알아야 할 9가지 진실" 도서출판 기파랑 163-185, 2017

      43 손덕호, "박정희 前 대통령 서거 40주기 추도식 ... 국립현충원서 열려"

      44 조희연, "동원된 근대화 : 박정희 개발동원체제의 정치사회적 이중성" 도서출판 후마니타스 2010

      45 김영명, "대한민국 정치사 : 민주주의의 도입, 좌절, 부활" 일조각 2013

      46 이동원, "대통령을 그리며" 고려원 1992

      47 김호진, "대통령과 리더십" 청림출판 2006

      48 Diamond, Jared, "대변동: 위기, 선택, 변화" 김영사 2019

      49 정광민, "김일성과 박정희의 경제전쟁" 도서출판 산지니 2020

      50 강상중, "기시 노부스케와 박정희 : 다카키 마사오, 박정희에게 만주국이란 무었이었는가" 도서출판 책과 함께 2012

      51 Gramsci, Antonio, "그람시의 옥중수고 1, 2" 거름 1971

      52 Benedict, Ruth F., "국화와 칼: 일본 문화의 틀" 을유문화사 1946

      53 박정희, "국가와 혁명과 나" 도서출판 기파랑 2017

      54 이기홍, "경제근대화의 숨은 이야기 : 국가장기경제개발 입안자의 회고록" 보이스사 1999

      55 김일영, "건국과 부국 : 현대한국정치사강의" 생각의 나무 2005

      56 정찬, "[리서치뷰] 전현직 대통령 호감도 ‘박정희 31%-노무현 22%-문재인21%’"

      57 Bell, Daniel, "The End of Ideology: The Exhaustion of Political Ideas in the Fifties" Free Press 1960

      58 Jessop, Bob, "The Capitalists State: Marxist Theories and Method" New York University Press 1982

      59 Moore Jr., Barrington, "Social Origins of Dictatorship and Democracy" Beacon Press 1966

      60 Swanstrom, Todd, "Semisovereign Cities: The Politics of Urban Development" 21 (21): 83-110, 1988

      61 Alavi, Hamza, "Politics and State in the Third World" Macmillan 1983

      62 Stone, Deborah A., "Policy Paradox: The Art of Political Decision Making" W. W. Norton & Company 2012

      63 Pontusson, Jonas, "Inequality and Prosperity: Social Europe vs. Liberal America" Cornell University Press 2005

      64 Fiorina, Morris P., "America’s Polarized Politics: Causes and Solutions" 11 (11): 852-859, 2013

      65 Hacker, Jacob S., "American Amnesia: How the War on Government Led Us to Forget What Made America Prosper" Simon & Schuster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6 1.56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37 2.253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