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통합예술치료의 특성에 입각하여 군 비전켐프에 입소한 복무 부적응 병사를 대상으로 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개인의 억압되었던 내면의 감정을 표면으로 가져옴으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439858
강릉 : 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2014. 2
2014
한국어
강원특별자치도
92 p. ; 26 cm
지도교수: 이원웅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통합예술치료의 특성에 입각하여 군 비전켐프에 입소한 복무 부적응 병사를 대상으로 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개인의 억압되었던 내면의 감정을 표면으로 가져옴으로...
본 연구는 통합예술치료의 특성에 입각하여 군 비전켐프에 입소한 복무 부적응 병사를 대상으로 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개인의 억압되었던 내면의 감정을 표면으로 가져옴으로써, 행복감과 적응을 도모하도록 하였으며, 병사들의 부적응 주요증상이자 위험요인인 우울과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는 치료적 접근방법의 하나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아트테라피 비전캠프 프로그램은 Ryff(1989)의 다차원 모델을 기본모형으로 하고, Fordyce(1977, 1983)의 행복감 모델을 참고하여, 개인의 심리적 적응력 증진에 목표를 두었으며, 각종 예술분야를 접목한 활동을 중심으로 한 통합예술치료의 단계와 세부목표에 맞추어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에 비전캠프 입소 병사 42명을 대상으로 총 16회기의 아트테라피 비전캠프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우울점수는 32점에서 10점으로 22점 감소하였다. 우울 점수를 단계적으로 살펴보면, 사전에는 32점이었고 5회기 때 14점으로 급격히 낮아졌으나, 12회기에 19점으로 증가하다가 사후 10점으로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불안점수는 41점에서 14점으로 27점 감소하였다. 불안 점수를 단계적으로 살펴보면, 사전에는 41점이었고 5회기와 12회기 각각 27점과 18점으로 점점 감소하였고, 사후에는 14점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트테라피 비전캠프 프로그램이 부적응 병사의 우울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결과이며, 특히 우울의 모든 하위요인 즉, 정서적 증상, 인지적 증상, 동기적 증상, 생리적 증상에서도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중 정서적 증상과 생리적 증상은 사전․사후검사까지 지속적으로 감소를 보여주는 것은 본 연구의 아트테라피 비전캠프 프로그램이 갖고 있는 특성인 예술활동, 표현활동 중심의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긍정적인 경험을 하게하여 억눌려있던 우울한 감정을 해소하고, 부대 적응 및 부대 내 대인관계에서 위축되었던 대상자로 하여금 여러 가지 측면에서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타인을 이해하면서 실험 전보다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결과이다. 또한 병사의 군 복무 중 적응과정에서 현실도피적이고 방어적이며, 무력감과 움츠리는 등 불안이나 갈등을 나타낼 수 있는데, 본 연구의 불안점수 변화로 볼 때, 아트테라피 비전캠프 프로그램을 통해 외향적 표출과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본 연구의 실험처치가 불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어, 복무 부적응 병사의 대인관계 및 불안개선을 위한 정신역동적 치료접근법으로서 의의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적용한 아트테라피 비전캠프 프로그램은 복무 부적응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을 예측하는 우울과 불안에 대하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