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체화는 주체가 생성되는 과정이며, 존재를 붙잡으려는 노력이다. 보통청소년기에 정체성이 확립되는 과정이나 정신 병리적 주체를 정상화하는 치유를 주체화에서 강조한다. 하지만 필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37784
2017
Korean
정신분석 ; 주체화 ; 부성은유 ; 구조적 진단 ; 충동 ; 증상 ; 욕망의 윤리 ; Psychanalysis ; Subjectivization ; Paternal metaphor ; Structural diagnosis ; Drive ; Symptom ; Ethics of desire
KCI등재
학술저널
77-105(29쪽)
1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주체화는 주체가 생성되는 과정이며, 존재를 붙잡으려는 노력이다. 보통청소년기에 정체성이 확립되는 과정이나 정신 병리적 주체를 정상화하는 치유를 주체화에서 강조한다. 하지만 필자...
주체화는 주체가 생성되는 과정이며, 존재를 붙잡으려는 노력이다. 보통청소년기에 정체성이 확립되는 과정이나 정신 병리적 주체를 정상화하는 치유를 주체화에서 강조한다. 하지만 필자는 주체화에서 욕망의 주체가 태어나고, 스스로의 존재를 정립하는 역동성에 초점을 맞추려고 한다. 부성은유를 통해 신경증 주체가 태어나는데 이것이 주체화의 첫 번째 계기이다. 신경증 주체는 기표에 의해 소외되지만 대타자 속의 빈곳을 발견하면서 자신을 결여의 상관물로 구성한다. 다음으로 충동의 순환과 증상과의 동일시가 중요하다. 충동이 능동성-수동성처럼 반대 방향으로 전환하는 순환의 과정에서 새로운 주체가 출현한다. 또 증상을 드러내고 의미를 부여할 때 주체가 개입할 수밖에 없으며 이 과정이 증상이자 주체화다. 증상은 존재의 발현이자, 향유의 대상으로 주체는 증상을 자기의 것으로 삼으면서 스스로를 구성한다. 정신분석의 윤리는 욕망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며, 존재에 대한 갈망인 욕망은 결국 불가능성을 향하게 되어 있다. 분석의 최종 목표도 따라서 치유가 아니라 주체화로 귀결되어야 한다. 주체화는 이처럼 욕망의 윤리가 의미하는 이론적, 실천적 의미를 드러내 줄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ubjectivization is the process by which a subject is created, and the efforts to capture his existence. It usually emphasize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elf-identity in adolescence and the healing that normalizes the psychopathological subject. How...
Subjectivization is the process by which a subject is created, and the efforts to capture his existence. It usually emphasize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elf-identity in adolescence and the healing that normalizes the psychopathological subject. However, I will focus on subjectivity in the ethical context in which the subject of desire is created and achieves its own existence. The neurotic subject is born through paternal metaphor, which is the first moment of subjectivization. This neurotic subject is alienated by the signifier, but finds an empty place in the Other, and constitutes himself as a correlation of lack. Next, the cycle of drive and identification with symptom is important. The drive makes a new subject possible in the course of switching to the opposite direction as active passivity. Additionally, when revealing symptoms and giving meaning, the subject has to intervene, and this process is symptom and subjectivization. Symptoms are manifestations of existence, objects of enjoyment, and the subject forms himself by taking symptoms as his own. The ethics of psychoanalysis are to act in accordance with desire, and desire as a desire for existence is eventually directed toward impossibility. The final goal of the analysis should therefore result in subjectivization, not healing. Subjectivization is an important concept that can reveal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meaning of the ethics of desire.
참고문헌 (Reference)
1 지그문트 바우만, "희망, 살아 있는 자의 의무" 궁리 2014
2 김숙현, "햄릿 캐릭터에 재현된 라캉의 주체화 연구" 한국연극학회 1 (1): 241-268, 2011
3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2012
4 조엘 도르, "프로이트‧라깡 정신분석임상" 아난케 2005
5 이수진, "청소년의 주체화를 위한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사례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0 (10): 27-45, 2013
6 미국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정신질환의 질환 및 통계 편람, DSM-5" 학지사 2016
7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열린책들 2004
8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병리학의 문제들" 열린책들 2004
9 슬라보예 지젝,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인간사랑 2013
10 김석, "에크리, 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살림 2007
1 지그문트 바우만, "희망, 살아 있는 자의 의무" 궁리 2014
2 김숙현, "햄릿 캐릭터에 재현된 라캉의 주체화 연구" 한국연극학회 1 (1): 241-268, 2011
3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2012
4 조엘 도르, "프로이트‧라깡 정신분석임상" 아난케 2005
5 이수진, "청소년의 주체화를 위한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사례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0 (10): 27-45, 2013
6 미국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정신질환의 질환 및 통계 편람, DSM-5" 학지사 2016
7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열린책들 2004
8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병리학의 문제들" 열린책들 2004
9 슬라보예 지젝,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인간사랑 2013
10 김석, "에크리, 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살림 2007
11 에드워드 E. 스미드, "애트키슨과 힐가드의 심리학 원론" 박학사 2011
12 강경덕, "알튀세르와 버틀러, 발리바르 - 주체화 양식의 논점과 일반화" 철학연구소 (53) : 159-206, 2016
13 알렌카 주판치치, "실재의 윤리" 도서출판b 2004
14 김석, "소외와 분리: 욕망의 윤리가 발생하는 두 가지 결정적 순간"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10 (10): 55-76, 2008
15 슬라보예 지젝,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기" 도서출판 b 2007
16 김석, "배제와 폭력: 공동선을 향하여" 한국프랑스문화학회 (31) : 331-358, 2015
17 심세광, "미셸 푸코에 있어서 주체화와 실존의 미학" 프랑스학회 (32) : 177-211, 2005
18 필립 라쿠-라바르트, "문자라는 증서" 문학과지성사 2011
19 김석, "라캉과 지젝-주체화 윤리와 공동선을 향한 혁명-"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5 (25): 7-36, 2014
20 브루스 핑크, "라캉과 정신의학" 민음사 2002
21 조엘 도르, "라깡과 정신분석임상 : 구조와 도착증" 아난케 2013
22 딜런 에반스, "라깡 정신분석 사전" 인간사랑 1998
23 클레어 콜브록, "들뢰즈 이해하기" 그린비 2007
24 지그문트 프로이트, "끝낼 수 있는 분석과 끝낼 수 없는 분석" 도서출판b 2004
25 지그문트 프로이트, "꿈의 해석" 열린책들 2004
26 Lacan, Jacques, "Écrits" Éditions du Seuil 1966
27 Michèle Bertrand, "Qu’est-ce que la subjectivation?" Editions Cazaubon (96) : 2005
28 Kristeva, Julia, "Polylogue" Éditions du Seuil 1977
29 Ansaldi, Jean., "Lire Lacan, L’éthique de la psychanalyse: Le Séminaire VII" Champ social Éditions 2014
30 Lacan, Jacques, "Le Séminaire XI, Les quatre concepts fondamentaux de la psychanalyse" Éditions du Seuil 1964
31 Lacan, Jacques, "Le Séminaire X : L’angoisse" Éditions du Seuil 2004
32 Lacan, Jacques, "Le Séminaire VII : L’éthique de la psychanalyse" Éditions du Seuil 1991
33 Lacan, Jacques, "Le Séminaire VI : Le désir et son interprétation" Éditions de la Martinière 2013
34 Lacan, Jacques, "Le Séminaire II : le moi dans la théorie de Freud et dans la technique de la psychanalyse" Éditions du Seuil 1978
35 Richard, François, "La Subjectivation" Dunod 2006
36 Cahn, Raymond., "L'adolescent dans la psychanalyse: aventure de la subjectivation" P.U.F 2002
37 Bernard Penot, "Jacques Lacan, Une oeuvre au fil du miroir" Éditions in Press 2010
38 Durarc, François., "Jacques Lacan, Une oeuvre au fil du miroir" Éditions in Press 2010
39 Lacan Jacques, "Conference a Geneve sur le symptome" Société Psychanalytique de Paris (5) : 1985
40 Swan, Melanie, "Cognitive Enhancement as Subjectivation : Bergson, Deleuze & Simondon" LAP Lambert 2015
41 Balmès, François., "Ce que Lacan dit de l’être" PUF 1999
생태인문학을 활용한 자기서사 치유 및 평생교육의 가능성 -실버 인문학 강독모임을 중심으로-
청소년 시에 나타난 심리적 문제와 문학교육의 방향 -학교 폭력 문제를 중심으로-
문학치료를 통한 초등학생 통일교육 사례 연구 - 극본 <들판에서>의 감상과 창작 활동을 중심으로 -
간략식 자기서사와 정서반응형 자기서사 진단도구의 상관관계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1 | 1.231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