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고통 감내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생활스트레스를 통제한 상태에서 고통 감내력 총점과 각 하위요인이 심리적 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888053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아동복지학과 아동심리치료전공 , 2018. 8
2018
한국어
서울
61 ; 26 cm
지도교수: 진미경
I804:11043-00000006747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고통 감내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생활스트레스를 통제한 상태에서 고통 감내력 총점과 각 하위요인이 심리적 안...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고통 감내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생활스트레스를 통제한 상태에서 고통 감내력 총점과 각 하위요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독립적인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및 인천지역에 위치한 대학교 재학생 3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 고통 감내력 척도(DTS), 심리적 안녕감 척도(PWB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인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고통 감내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을 통제한 상태에서 생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활스트레스는 성별의 영향력과 독립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고통 감내력(조절, 감내력 및 몰두, 평가)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통 감내력 하위요인 중 감내력 및 몰두와 평가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고통 감내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통 감내력 총점, 그리고 하위요인 중에서는 평가가 생활스트레스의 영향력과는 독립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고통 감내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고, 나아가 생활스트레스와 독립적으로 고통 감내력 총점과 각 하위요인의 추가적인 영향력까지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스트레스와 고통 감내력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and distress tolerance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investigate the independent influence of the total score of distress tolerance with each sub-f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and distress tolerance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investigate the independent influence of the total score of distress tolerance with each sub-factor on psychological well-being, controlling their life stress.
A survey targeting 362 students who are attending the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has been conducted to proceed this study, and the measurement tools were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distress tolerance sca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3.0 program.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heck the 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check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and distress tolerance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ife stress showed the negative impact significantly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dependently of the influence of gender, upon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check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n condition that the gender is controlled.
Second, tolerance and absorption, and appraisal among sub-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distress tolerance (regulation, tolerance and absorption, appraisal) showed the positive impact significantly to psychological well-being, up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check the effects of the distress tolera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check the independent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distress tolerance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total score of distress tolerance and appraisal of the sub-factors showed the positive impact significantly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dependently of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In conclusion, this study validated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and distress tolerance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vestigate the additional effects of the total score of distress tolerance and its sub-factors. These made us find the importance of life stress and distress tolerance that affect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since it offers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that promote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various difficulties in their daily life.
목차 (Table of Contents)